• Title/Summary/Keyword: 고효율

Search Result 7,520, Processing Time 0.073 seconds

PC1D Simulation for Optimization of High Efficiency Silicon Solar Cell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PC1D 최적화)

  • Yi, Young-Seok;Han, Kyu-Min;Kim, Kyung-Hae;Yi, Jun-S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c
    • /
    • pp.207-208
    • /
    • 2007
  • 높은 효율의 태양전지의 개발은 태양전지 상용화에 꼭 필요한 일이다.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태양전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PC1D를 이용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n 접합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특히 웨이퍼 표면의 texturing과 doping 농도를 변화시켜 최적의 요건을 찾고자하였다. texture depth = 3um, texture angle=$80^{\circ}$, base의 비저항=$0.1{\ell}{\cdot}cm$, emitter doping 농도=$5e+18cm^{-3}$에서 20.37%의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

  • PDF

흡수식 고효율화 방안

  • 문인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3
    • /
    • pp.29-32
    • /
    • 2004
  • 이중효용 흡수냉동기의 고효율화 방안과 당사(한국 캐리어)에서 개발한 흡수식 냉동기를 소개 하고자 한다. 흡수냉동기는 1777년 영국의 NAIRNE에 의해 흡수냉동기 이론을 발표한 이후 1945년 미국 CARRIER사가 냉매로서 물, 흡수제로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이용한 일중 효용 흡수냉동기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면서 공조용 및 산업용 냉방기기로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흡수식 기술은 일본에서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를 개발하면서 공조용 및 산업용 냉. 난방기기로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고 효율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COP 1.2-l.3)를 개발하여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또한 삼중효용 흡수냉온수기(COP 1.6)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흡수냉동기 시장은 일본 및 중국을 중심으로 고 효율 흡수냉동기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아직 일본기술에 의존한 표준 COP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COP 1.01)를 제작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중효용 흡수냉동기의 고효율화 방안과 당사(한국 캐리어)에서 개발한 흡수식 냉동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igh Efficiency 2kW Bridgeless PFC Converter for using DSP (DSP를 이용한 2kW급 고효율 Bridgeless PFC Converter)

  • Lee, Yun-Jae;Yoo, Gwang-Min;Shin, Heon-Cheol;Ko, Don-Yeol;Jung, Ho-Chul;Jeong, Yu-Seok;Lee, Jun-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359-360
    • /
    • 2010
  • 최근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원유가의 급등으로 인해 에너지 소비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이 증폭되어 에너지를 소비하는 측의 효율개선에 대한 요구가 급등하고 있으며 전력변환기 시장에서도 효율이 전력변환기의 사용자의 선택기준이 될 정도로 매우 강력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DSP(TMS320F28035)를 이용한 2kW급 고효율 Bridgeless PFC Converter를 제안한다. 제안된 Converter를 실험을 통해 고효율과 고전력밀도의 기능을 검증하였다.

  • PDF

넓은 출력범위를 갖는 LED 조명을 위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를 통합한 고효율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

  • Baek, Jae-Il;Lee, Jae-Beom;Kim, Jae-Guk;Mun, Geon-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03-204
    • /
    • 2014
  • 본 논문은 넓은 출력범위를 갖는 LED 조명을 위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를 통합한 고효율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넓은 출력 범위에서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는 낮은 시비율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영전압 스위칭이 어려워 전 출력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하프-브릿지 LLC 컨버터는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를 갖지만 큰 코어 손실로 높은 효율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의 스너버 다이오드를 스위치로 변경한 새로운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낮은 출력범위에서는 스너버 스위치를 꺼서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로 동작시키며, 높은 출력 범위에서는 스너버 스위치를 켜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로 동작시켜 전 출력 범위에서 고효율을 달성 할 수 있다.

  • PDF

Local-Back Contact Solar Cell adapted Laser ablation on ONO structure passivation layer

  • Gong, Dae-Yeong;Yu, Gyeong-Yeol;Lee, Ju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325-325
    • /
    • 2010
  • 최근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태양전지의 Voc와 Isc의 증가를 통한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후면 passiva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Local-Back Contact은 최적화된 후면 passivation 박막을 이용한 태양전지 제조방법이다.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최적의 laser 가공 조건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의 LBC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ONO 구조의 후면 passivation 박막에 laser ablation 조건을 가변하여 LBC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laser는 355nm 파장을 갖는 UV laser를 사용하였다. laser 파워는 5W, 주파수는 30kHz로 하였을 때 폭 20um, 깊이 5um의 홀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후면 접촉 면적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laser ablation 간격을 300um, 500um, 700um으로 가변하여 공정을 진행하였다. 태양전지 제조 결과 spacing 300um일 경우 효율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laser ablation의 데미지를 줄이기 위한 FGA 처리시 웨이퍼 표면의 데미지를 줄여 carrier lifetime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후면 passivation 극대화 및 접촉면적 가변을 통한 고효율 LBC 태양전지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Vibration Signal-based Deep Learning Model for Bearing Diagnosis (인공신경망과 베이지안 최적화 모델을 이용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제안 방법)

  • Kim, San;Kim,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58-1260
    • /
    • 2022
  • 재료공학에서 머신러닝을 이용해 목적 성능에 부합하는 물질의 조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있다. 물질의 성능은밀도 범함수 계산을 통해 시뮬레이션 할 수 있지만, 계산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를 만들기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조성을 추천하는 심층신경망과 베이지안 최적화 모델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높은 전력효율이 예상되는 페로브스카이트 조성을 심층신경망과 베이지안 최적화 방법을 통해 추천하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심층신경망 모델은 주어진 조성과 실험조건에서 예상되는 전력효율을 예측해 베이지안 최적화를 통한 탐색과정에서 소요되는 실험비용을 줄인다. 베이지안 최적화 모델은 실험공간을 입력으로 받아 고효율이 예상되는 실험조건을 출력하는데, 미리 설정한 실험공간만을 탐색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가능한 출력값만을 제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심층신경망과 베이지안 최적화 방법을 조합해 주어진 실험공간을 탐색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LC 병렬공진을 이용한 초장수명 고효율 수동형 LED 구동회로 개발

  • Lee, Eun-Su;Choe, Bo-Hwan;Kim, Bong-Cheol;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5-156
    • /
    • 2012
  • 본 논문은 역률과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동형 LED 구동회로를 제시한다. 제안된 수동형 LED 구동회로는 능동형(SMPS 방식) LED 구동회로에 비하여 초장수명과 고효율 특성을 가진다. 특히 능동형 LED 구동회로 내부의 능동소자(스윗칭 소자)로 인한 짧은 수명 및 효율 감소를 수동소자만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역률은 0.98, 입력전류의 총 고조파 왜율은 16%, LED 드라이버의 효율은 95%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수동형 LED 구동회로의 설계 과정을 소개하며, 이론과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Damping characteristics of high efficiency direct-coupled propeller with 10MW class (고효율 직결식 10MW급 프로펠러의 감쇠특성에 관한 연구)

  • Kim, Yang-Gon;Hwang, Sang-Jae;Kim, Ue-K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1 no.4
    • /
    • pp.310-315
    • /
    • 2017
  • Recently constructed ships are equipped with high efficiency propeller for low fuel consumption and comfortable operation. Based on the torsional vibration analysis of the shaft system of the high efficiency propeller, using the propeller damping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propeller designs, a considerable amount of analysis errors are found to be generated. These errors are expected to increase as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vibration propellers continues. In this paper, errors in torsional vibrat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various propeller damping methods, are reviewed. In addition, a propeller damping method suitable for use at present is suggested by reviewing the comparison results of analysis and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the propeller damping methods for vessels adopting the high efficiency direct-coupled propeller with 10MW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