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환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초

2009년 인천지역의 볼거리 유행 : 단일기관 연구 (Mumps outbreak in Incheon, Korea, 2009)

  • 조선영;이수영;강진한;황희승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67-71
    • /
    • 2010
  • 목 적 : 최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볼거리로 내원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여, 지역 사회의 해당 질환의 역학적 변화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급증과 연관된 요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연구병원에 볼거리로 입원한 20세 미만의 환자66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양상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기간별로 최근 1년 급증기(2009)와 그 이외 9년 비급증기(2000-2008)로 양분하여 비교 하였다. 결 과 : 10년 동안 볼거리 입원환자 총 66명 중 35명(53%)이 최근 1년 급증기에 입원하였다. 그 이외 9년 비급증기의 입원환자수는 31명(47%)으로 연평균 $3.1{\pm}2.8$명이었다. 급증기 환자의 대부분 MMR백신을 1회 접종(62.9%)받은, 1993년 이전 출생(77.1%)한, 15-19세 연령군(80.0%)의 청소년들이었다. 볼거리 접촉력과 환자의 거주 주소지는 비급증기와 급증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급증기에 고환염과 그 연관된 증상을 보인 환자가 많다는 것 이외, 기간별로 주 증상, 합병증 및 검사실 소견에서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점은 없었다. 결 론 : 최근 1년 연구병원에 볼거리 입원환자가 급증하였고 이들 대부분은, 볼거리에 자연 노출되거나 2회 MMR접종 기회가 적었던, 1993년 이전 출생한 15세 이상 청소년들이었다. 향후 광범위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볼거리 감염에 감수성이 높은 연령층에 대한 추가접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게르마늄을 함유한 상추의 단일 경구투여 독성 검사 (Oral Single-dose Toxicity Studies on Germanium-fortified Lettuce, in Mouse)

  • 김종진;최지나;조주식;허종수;이성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8
    • /
    • 2009
  • 유기게르마늄과 무기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양액 재배한 상추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게르마늄 함유 상추의 생쥐(C57BL/6)에 대한 단회 경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전 기간 동안 사망한 실험동물은 없었으며, 일반증상과 임상증상도 관찰되지 않았고, 부검 결과 어떠한 육안적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 간의 체중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의 사료 소비량과 물 섭취량은 수컷에 비해 약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에 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의 장기 무게가 모두 약간 감소하는 경우(흉선, 오른쪽 난소)와 악간 증가하는 경우(왼쪽 난소)가 있었고, 수컷의 경우에도 흉선, 심장, 오른쪽 신장, 왼쪽 부고환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고, 왼쪽 신장과 좌우 고환의 무게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역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암수 간의 몸무게에 대한 상대적인 장기 무게의 차이는 모두 정상적인 범위내에 속하였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 결과, 수컷의 경우에는 GPT와 GOT 측정값이 대조군에 비해 $Ge_{132}$를 함유한 상추를 먹인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H 측정값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수컷의 혈소판(PLT)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아니었다. LPS와 Con A 자극에 대해 비장세포의 증식반응과, 비장세포 내 B세포, 보조 T세포, 세포독성 T세포의 비율은 유의한 파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GeO_2$Ge_{132}$ (60 mg/kg)출 함유한 상추 분말을 식약청 고시에 명시된 최고농도인 2,000 mg/kg을 단회 결구 투여하였을 때, 시료와 관련된 특기할만한 독성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로비노 증후군(Robinow syndrome) 환자의 전신마취 하 과잉치 발치 (MESIODENS EXTRACTION OF A PATIENT WITH ROBINOW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 박성희;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
    • /
    • 2016
  • 저자는 과잉치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며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2세 7개월의 로비노 증후군 증례를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의 전신 소견으로는 대두증, 전두부 돌출, 양안격리증, 넓은 안검렬, 들창코, 콧등 함몰, 삼각형의 입술을 포함하는 특이한 안모와 짧은 손,발가락, 소음경을 포함한 잠복고환 및 발달지연이 관찰되었다. 구내 소견으로는 수술받은 구순열과 하악골 저성장, 치아맹출지연, 치은비대, 과잉치가 관찰되었다. 로비노 증후군 환아는 전신마취 하에서 성공적으로 치과 치료가 가능했다. 치과의사는 치과 치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의 긴장저하, 발달, 호흡, 섭식 등 의 전신적인 상태를 항상 고려해야 한다. 또한, 로비노증후군 환자가 두개 안면부의 이형성과 맹출장애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접근해야 하며, 환자가 성장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백악기 영동층군에서 산출된 구과류 화석의 특징과 고기후적 의미

  • 서지혜;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9-244
    • /
    • 2006
  • 충청북도 영동 지역에 분포하는 영동층군은 옥천변성대에 있는 소규모 퇴적분지중의 하나이다. 영동층군의 지질과 고생물에 관한 연구는 옥천변성대의 조구조운동과 관련한 퇴적분지 발달 규명과 아울러 경상분지와의 상호대비가 가능케 함으로써 이 시기의 한반도의 지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김규봉 등, 1986). 영동층군의 층서고생물학적 연구는 김규봉 등(1986), 전희영 등(1993), 최성자 등(1995)등의 연구가 있다. Shimamura (1927)는 영동층군에서 케이로레피드과(Cherolepidiaceae)에 속하는 식물화석의 산출을 처음 보고하였다. 이후 전희영 등(1993), 최성자 등(1995)이 영동층군에서 케이로레피드과에 속하는 식물화석을 다시 보고함으로써 영동층군에서 식물화석이 많이 산출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화석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야외지질조사를 통하여 영동층군의 기존 화석산지와 새로운 화석산지로부터 많은 식물 화석을 채집하였다. 식물 화석은 모두 인상화석으로 보존되었으며 세일층의 층리면에 평행하게 밀집된 상태로 나타나지만 대부분 파편상으로 나타난다. 식물화석은 고환경이나 고생태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과거의 기후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시자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케이로레피드과의 식물은 백악기의 대표적인 고기후의 지시자로서 잘 알려져 있다. 케이로레피드과의 식물은 분류상 구과류에 속하며 백악기에 걸쳐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화석이다. 본 연구는 영동층군에서 산출된 구과류 화석을 대상으로 고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산출화석의 특징을 기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화석의 고식물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산출 화석의 특징과 지질학적 특징을 통해 중생대 백악기 영동지역의 고기후를 해석함으로써 고기후적 및 고생태학적 의미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

  • PDF

홍삼 및 도라지 분말이 흰쥐의 혈청 및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ellflower(Platycodon glandiflorum) and Red Ginseng on Hypercholesterolemic Rats)

  • 노경희;김을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3-420
    • /
    • 1984
  • 실험적 고콜레스테롤형중(hypercholesterolemia)의 흰쥐(수컷)를 표준 식이군,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대조 식이군, 콜레스테롤과 도라지 분말을 첨가한 도라지 식이군, 콜레스테롤과 홍삼 분말을 첨가한 홍삼 식이군으로 2주동안 사육하여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 증가는 표준 식이군에 비하여 도라지 식이굴이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이것은 처음 2일 동안의 새로운 식이에 대한 적응이 영향을 미친 것이며, 그 이후의 증체량과 식이효율은 모두 동일하였다. 2. 장기 중량에 있어서는 간 중량은 표준 식이군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을 식이 중에 첨가한 3군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또한 유백색을 띠었다. 신장의 증량은 표준 식이군보다 다른 3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심장, 부신, 고환은 변화가 없었으며 비장은 도라지 식이군이 약간 증가된 경향을 나타냈다. 3. 도라지 식이군이나 홍삼 식이군이 혈장 중 HDL-콜레스테롤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의 저하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4. 도라지 식이군이나 홍삼 식이군이 간 지질 중 총 지질이나 총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지는 못했으나 도라지 분말 첨가 식이는 간의 중성 지방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Lipid Profiles in Mice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담효동;류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41-648
    • /
    • 2015
  •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체중이 모두 control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혈장과 간장의 TG, TC 및 혈장 LDL-C 농도도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혈장 HDL-C의 농도는 control군이 normal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DA-200군, DE-200군은 normal군의 수준까지 증가하였다(P<0.05). 간장, 비장, 고환 지방의 상대 무게와 혈장 인슐린 농도는 normal군에 비해 control군이 매우 높았으나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는 추출방법에 상관없이 농도에 비례적으로 인슐린 농도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모든 황칠나무 투여군의 간 조직 AST, ALT 활성과 MDA 농도 및 SOD 활성도 변화되었는데 AST, ALT 활성과 MDA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낮아졌고 SOD 활성은 control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특히 DE-200군의 ALT 활성 및 DA-200군, DE-200군의 MDA 농도가 normal군의 수준까지 감소되었다(P<0.05). 또한 hematoxylin과 eosin 염색을 통해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간세포의 지질 침착 정도를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추출용매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 지질 상태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아 고환고정술 및 탈장수술후 통증감소를 위한 장골서혜/장골하복 신경차단과 미추차단의 비교 (Effect of Ilioinguinal-hypogastric Nerve Block and Caudal Block on Post-operative Pain after Orchiopexy and Herniorrhaphy in Pediatric Surgery)

  • 문선애;이현화;김건식;신옥영;권무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145-15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lioinguinal-hypogastric nerve blocks(IHNB) and caudal block in producing post-orchiopexy and post-heniorrhaphy analgesia in children. Forty consenting healthy children, ages 3~10yr,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caudal bupitvacaine (0.125%, 0.5ml/kg), or IHNB bupivacaine (0.25%, 0.3 ml/kg). Blocks were performed following the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be fore the operation. Pre-anesthetic medication in form of atropine 0.01 mg/kg, droperidol 0.05 mg/kg were given intramuscularly one hour before induction to 40 children. Children were induced with thiopental sodium 5 mg/kg and succinylcholine 1 mg/kg intravenously.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oxygen-nitrous oxide ($FiO_2$ 0.3) and ethrane. When the patients stabilized after induction. IHNB was done in the supine position and caudal block was done in the lateral position. The local anaesthetic was injected after negative aspiration. Postoperative pain was assessed with face pain rating scale (RPRS) at rest on discharge of recovery room, and 5 hours after discharge of recovery room, and the "red and white" visual analogue scale (VAS) at rest and mobilization from supine to sitting position on discharge of recovery room, and 5 hours after discharge of recovery room. Post-operative recovery was quiet and comfortable, without side effect. Relief of ain was complete in both IHNB group and caudal group. Surgeons, parents and recovery room personnel were satisfied. There were no surgical or anesthetic complications. In our study, the postpoerative pain scores were similar in both IHNB group and caudal group. IN conclusion, we found that both IHNB and caudal blocks before the start of surgery for orchiopexy & herniorrhaphy are safe and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postoperative pain of children.

  • PDF

환경친화지정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Friendly Firms)

  • 노상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3호
    • /
    • pp.499-518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친화기업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네 가지 가설을 검정하였다. 첫째 가설은 환경친화기업의 경영성과는 일반기업에 비해 저조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환경부담률이 높은 환경친화기업일수록 경영성과는 저조하다는 것이며, 셋째는 중소기업 환경친화기업은 대기업 환경친화기업에 비해 경영성과가 저조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은 장기 환경친화기업은 단기 환경친화기업보다 경영성과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환경친화기업의 수익성은 5% 유의수준하에서 일반기업보다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어 첫째 가설은 지지된다고 할 수 없다. 둘째, 고비용 환경친화기업의 안정성이나 성장성은 저비용 환경친화기업과 차이가 없으나 수익성은 저비용 환경친화기업의 수익성보다 10% 유의수준하에서 높아 둘째 가설 역시 만족되지 않는다. 셋째, 2001년 기준으로는 5% 유의수준하에서 중소기업 환경친화기업의 수익성은 생산효율성의 차이로 인해 대기업 환경친화기업의 수익성보다 크나 2002년 기준으로는 수익성과 성장성은 별다른 차이가 없고 대기업의 안정성은 5% 유의수준하에서 중소기업보다 안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장기 환경친화기업은 단기 환경친화기업에 비해 환경개선 know-how의 축적으로 인한 이익(first-mover advantage)을 누릴 것이라는 주장과는 달리 장기 환경친화기업과 단기 환경친화기업 간의 수익성은 5% 유의수준하에서도 차이는 없으나 안정성은 단기 환경친화기업이 장기 환경친화기업보다 10% 유의수준하에서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란이 되어온 환경경영의 수행이 비용부담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가설이나 고환경 비용산업의 경영성과가 저조할 것이라든지 기업의 규모에 따라 환경성과 상이하다든지 환경경영의 연수에 따라 경영성과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가설은 우리나라 환경친화기업의 경우 대체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우 고환 간질세포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the Leydig cell in Korean native cattle (Bos taurus coreae))

  • 태현진;안동춘;이영덕;나성진;박병용;김인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1-149
    • /
    • 2016
  • Changes in the Leydig cell from pre-puberty to adulthood were studied in Korean native cattle. Eight groups of male cattle aged 14, 17, 20, 25, 30, 35, 40 and 104 weeks (n=7 cattle per group) after birth were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Leydig cell of the Korean native catt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estes of cattle were fixed by perfusion using a fixative containing 2.5% glutaraldehyde in cacodylate buffer, processed and embedded in Epon-araldite. Using $1{\mu}m$ section stained with methylene blue-azure I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ereological) morp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he average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s gradually increased with age from 14 ($75.56{\mu}m$) to 104 weeks ($298.9{\mu}m$). The volume density of the seminiferous tubules increased with age from 54.2% at week 14 to 76.9% at week 104. The volume density of the interstitium represents 45.52% at week 14. This proportion progressively diminishes during development to reach a value of 23.14% at week 104. The volume density of Leydig cells decreased almost linearly from 14 (20.71%) to 104 weeks (5.28%). The absolute volume of Leydig cells per testi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4 to 104 weeks. The number of Leydig per testis have almost linearly increased from 14 to 104 weeks. The average volume of a Leydig cell reached maximum size by 104 weeks ($2553{\mu}m^3$). These data suggested development of Leydig cell can be classified as the fetal and immature adult Leydig cells (14~35 weeks), and the adult Leydig cells (40~104 wee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