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환경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초음파에서 보이는 다양한 고환 내 저음영 병변 (Various Intratesticular Hypoechoic Lesions on Scrotal Sonography)

  • 조정인;양달모;김현철;김상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861-875
    • /
    • 2022
  • 고주파 탐촉자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는 음낭 검사의 일차선택 영상기법이다. 대부분의 고환 내 병변은 초음파 검사에서 저음영 병변으로 보인다. 고환 내 저음영 병변을 악성 혹은 양성 병변으로 구별하는 것은 중요한데, 병변의 악성 혹은 양성 여부에 따라 병변의 치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임상화보에서는 고환의 낭성 병변, 고환 종양, 고환의 염증성 병변, 고환 구역성 경색증, 그리고 고환 외상 등 다양한 고환 내 저음영 병변의 초음파 소견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강원도 중부(주문진-양양) 해안평야의 형성과정과 고환경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its Paleoenvionment of the Middle Part of the Coastal Plain Gangweondo, Korea.)

  • 오건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8
    • /
    • 1996
  • 강원도 주문진에서 양양에 이르는 해안평야의 지형형성과 고환경을 신석기유적의 기초조사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4기 최종빙기의 최성 기에 해당되는 15,000y.B.P. 경에는 연구지역은 해수면의 하강에 따른 연장하천의 개석곡으 로서 아한대의 침엽수림의 육상영역하에 있었다. 2. 15,000y.B.P.경 이후 해수면은 기온의 호 전으로 7,500y.B.P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개석곡은 연장하천의 후퇴로 육성에서 얕은 하성으로 바뀌었다. 3 해수면 상승은 7,500y.B.P. 이후 빨라지면서 해진 (transgression)으로 되었고 그결과 개석곡은 4,000y.B.P.경에 이르러 하성에서 내만 또는 익 곡의 기수성으로바뀌게 되었다, 이 기간은 후빙기의 이른바 고온기(hypsithermal period)로 서 낙엽활엽수 시대였고 내만 또는 익곡의 가장자리에서는 수생식물이 생육하는 습지환경으 로 변모되었다. 4. 개석곡을 내만 또는 익곡으로 변모시킨 해진은 1,500yB.P.경까지 이어지 면서 지금의 고도에서 안정되었다. 그 결과 내만 또는 익곡의 만입부에서 사주가형성되면서 내만 또는 익곡은 곳에 따라 담수 또는 기수역의 석호로 변하였고 기후는 이전의 고온시대 와는 달리기온은 조금식 하강하는 한랭기후로 서서히 변모시켰다. 5. 석호는 1,000y.B.P. 경 에 이르는 동안 배후로부터 운반된 하천의 토사와 전면의 풍성사 그리고 무성하게 생육하는 수생식물에 의해 서서히 고석호로 등장되기 시작되었다. 6. 1,000y.B.P.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하천의 토사와 풍성사의 퇴적증가로 육화가 가속되면서 본래의 개석곡은 매적곡으로 등장되었고 그 결과 지금의 해안평야가 형성되었다.

  • PDF

비촉지성 정류고환의 진단 방법의 평가 (Evaluation of diagnostic methods in children with nonpalpable undescended testis)

  • 석노성;서홍진;이동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32-736
    • /
    • 2006
  • 목 적 : 정류고환은 소아비뇨기영역에서 가장 흔한 기형으로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며, 그 중 비촉지성 정류고환은 전체 정류고환 중 약 20%를 차지한다. 비촉지성 정류고환의 진단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아직 확립되지 않아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비촉지성 정류고환의 진단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수술한 정류고환 129례 중 비촉지성 정류고환 31례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 전신마취하 신체검사, 복강경검사를 실시한 후 각 검사의 효과와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비촉지성 정류고환 31례에서 초음파검사상 13례(41.9%)에서 고환을 발견하였고 18례(58.1%)에서 고환을 발견할 수 없었고, 전신마취하 신체검사상 15례(48.4%)에서 고환을 촉지하였고 16례(51.6%)에서 고환을 촉지할 수 없었다. 초음파 검사와 전신마취하 신체검사에서 고환을 발견 못한 16례를 대상으로 복강경 검사를 실시하여 16례 고환 모두의 위치와 상태를 알 수 있었다. 결 론 : 신체검사상 고환을 촉지할 수 없는 비촉지성 정류고환에서 초음파검사, 전신마취하 신체검사, 복강경검사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비용과 효과 면에서 가장 좋은 진단과정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