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호소 점토층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The Origin of Paleo-Lacustrine Deposits at Yeoncheon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26
    • /
    • 2007
  • 본 논문은 용암댐에 의해 형성된 고호소층인 연천읍 일대 점토층에 대한 주원소, 희토류원소 등의 이화학적 분석과 $^{14}C$ 및 OSL 연대측정을 통해 고호소층의 형성시기와 물질의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고호소변 점토층(YC1)의 OSL 연대는 $11{\sim}13$만년으로 분석되어, 고호소층은 약 13만년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최소한 2만년 이상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지 분석을 위해 고호소점토층(YC1, 2)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양한 지형 구성물질과의 대비를 통해 기원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차탄천 중류 하안의 선상지 퇴적물(YC8)과 용암대지 표면의 점토층(YC2)에서 물질의 유사도가 가장 높으며, 고호소저 점토층(YC2)과 서쪽 산록의 사면 풍화물(YC5)간에도 유사도가 높으며, 차탄천의 현 하상 퇴적물(YC7), 고호소변 점토층(YC1), 동쪽 산록의 사면운반 물질(YC4) 사이에서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Geomorphic Processes of the Terraces at Lower Reach of Yeongpyeong River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16-729
    • /
    • 2005
  • 한탄강의 지류인 영평천 하류에는 T4면에서 T1면까지 4단의 단구 지형면이 확인된다. 이 일대에는 신생대 제4기에 영평천의 하구로부터 약 4.5km까지 용암류가 역류하여 용암댐에 의한 고호소가 형성되었다. 본 논문은 성동리에서 궁평리까지의 영평천 하류에 분포하는 단구면의 퇴적층에 대한 층서 및 퇴적물 분석과 OSL 연대측정을 통하여 단구지형의 형성과정을 검토하였다. 가장 오래된 T4면은 용암대지 하부에 위치한 고호소 이전의 하성층이다. T3면과 T2면은 $3{\~}4m$ 이상의 두꺼운 모래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부에는 역층이 존재하며, 상부 모래층은 내부에 수평의 점토층이 교호하고 있어, 용암댐 고호소 상태에서 이루어진 호성단구로 파악된다. T1면은 하상 비고가 가장 낮고 퇴적물이 신선한 것으로 보아서 용암댐 개석 이후에 형성된 하성층으로 보인다. T3면에서 실시된 OSL 연대측정의 결과, 퇴적층의 형성시기는 약 $3{\~}4$만년 전으로 측정되어, 이 일대는 용암댐 형성이후 3만년 전까지 호소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곡 용암대지 물거미 서식지의 지형특성과 식생 분포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Geo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pider(Argyroneta aquatica) Habitat in the Jeongok Lava Plateau, Central Korea)

  • 이민부;이상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7-73
    • /
    • 2017
  • The formation of the lava dam of the paleo lake blocked the entrance to the Chatancheon River on the Jeongok lava plateau and it suddenly transformed the terrestrial ecosystem into the aquatic one by the overflow. The spiders in the lava dam adapted in the wetland and evolved into water spiders that could survive by forming bubble houses. Since then, the lava dam was connected to the present Hantangang River due to the dissection and the lake became a terrestrial environment, a small area of marsh composed of primarily clay soil layer. Change in water level of the habitat and thus the extension of the terrestrial area made the species a endangered now.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of wetness and plant habitats of the vascular plant in the water spider habit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otal 180taxa are of 55 (30.6%) wetland plant groups and of 113 (62.8%) upland plant groups except facultative plant groups. Among the wetland plant groups, the Isachne globosa community occupied the largest area, where the water spiders were most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he types of vascular plant specie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sustaining healthy wetland ecosystem and the restoration of the habitat for the water spi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