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형연료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폐기물고형연료 열병합 발전설비

  • Jo, Yong-Gi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3
    • /
    • pp.47-50
    • /
    • 2012
  • 이 글에서는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품의 특성과 폐기물고형연료, 유연탄 흔소 유동층 보일러의 구성 및 익산 열병합발전설비 적용사례 등을 소개하고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부각되는 폐기물고형연료 열병합 발전설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solid fuel in a pilot scale CFBC (Pilot 규모 CFBC에서의 폐기물 고형연료 연소시험)

  • Shun, Dowon;Bae, Dal-Hee;Jo, Sung-Ho;Lee, Seung Y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07.2-207.2
    • /
    • 2010
  • 자원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조항 등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제반 규정이 도임된 2006년 이후 폐기물 고형연료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되고 정부 및 산업계의 사업추진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RDF를 전용으로 연소하는 pilot plant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제작 건설하고 RDF 연료를 연소하여 성능특성과 운전특성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8ton/h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건설하였으며, 건설 전 과정을 연구진이 감리하고 관리하였다. 보일러의 스팀사양은 $450^{\circ}C$와 38ata로 하였다. 또한 시운전 및 정상운전을 위한 운전체계를 자체적으로 수립하였다. 설치된 보일러는 장시간의 운전과 반복 실험을 통해 상용 규모 보일러의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운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RPF와 RDF 각 일종을 입수하여 연소실험을 수행하고 그 특성 자료를 비교하였다. 폐기물 고형연료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뛰어난 연소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연특성도 양호하였다. 성형된 RDF는 장기간의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연소특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HCl의 배출 특성은 환경 규제치를 넘어 섰으며 별도의 배가스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환경기준을 맞출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60ton/h급 상용규모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설계하였다. 보일러의 용량은 10MWe 발전과 12ton/h 증기 공급에 적합한 규모로 산업체나 지역난방용 열병합 보일러에 적합한 사양이다.

  • PDF

A study on determinants having influence on heating value of waste-derived solid fuels (폐기물고형연료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ang, Min-Su;Kim, Yang-Do;Ryu, Young-Bok;Lee, Gang-Woo;Shon, Byung-Hyun;Lee, Man-Si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220-227
    • /
    • 2010
  • The manufacturing of the solid fuel using wastes has been studied on the purpose of the reduction of green house gases and the profit-making as alternative fuel, and thus, it has become as technically improved as to be used as business. However, the production of solid fuel with multi-wastes combination needs a caution while the solid fuel with one-waste has not a significant component change. This study analyzes the solid fuel components through the practical plant experiment to the various wastes. The resulted data shows a different pattern than the theoretical one in the component analysis,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dequate uniform mixing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anufacturing of the solid soil.

SEM-EDS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material in waste of industrial estate (SEM-EDS분석을 통한 산업단지 내에 폐기물의 무기물 구성물질 설명)

  • Jeong, Moon-Heon;Lee, Ju-Ho;Kwon, Young-Hyun;Kim, Min-Choul;Lee, Kang-Woo;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1-854
    • /
    • 2009
  •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규제 강화로 신 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해지고 있다. 여러 가지 신재생 에너지 중 폐기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에너지원의 잠재적 가치를 비교하였을 때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폐기물을 고체연료로 가공하는 고형연료가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Cl이나 중금속 같은 물질들은 부식성이 강하여 보일러와 같은 열 회수 장치에 고온부식을 일으켜 고형연료의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울산의 산업단지의 고형연료의 원료가 되는 몇몇 물질을 SEM-EDS로 분석하고, Triangle plot을 통하여 나타내고 고형연료의 처리장치 설계 시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한다.

  • PDF

Study on production RDF using organic waste and peat-moss (유기성 폐기물과 피트모스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관한 연구)

  • Ha, Sang A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5 no.3
    • /
    • pp.106-11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ixing ratio with stable heating value to be used as fuel and secondary fuel by mixing sewage sludge cake, tar, peat moss, and verify the combustion property of produced solid fuel and the applicability of RDF as alternative fuel. Tar shows the highest heating value with 7,000kcal/kg and the heating value of sewage sludge cake and peat moss ranges from 4,000 to 4,500kcal/kg. Also, the solid fuel with length 1.6cm, diameter 1.3cm and weight 2.3g was produced using the heating value of over 6,000kcal/kg and proper mixing ratio (sewage sludge cake: tar: peat moss) from 1 : 4 : 1 to 1 : 7 : 1. Upon the analysis of the RDF applicability of produced solid fuel, the exhaust gas analysis finds that the composition concentration of exhaust gas occurred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flame lasting time was found to be around 5 minutes, similar to the lasting time of the same mass (2.3g) of general anthracite burne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olid fuel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el and secondary fuel.

  • PDF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Dry Food Waste (음식폐기물의 고형연료화를 위한 연소특성 연구)

  • Sang, Byoungchan;Lee, Seungjeong;Lee, Doyeon;Ohm, Tae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0 no.4
    • /
    • pp.101-108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ry food wast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food waste as a solid refuse fuel (SRF). The characteristics of dry food waste as a fuel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properties with SRF, an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fter conversion into fuel were identified. Ultimate analysis, proximate analysis, calorific value analysis, and TG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wo types of food waste and two types of SRF,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oisture content and ash content of dry food waste were 1.7~10.0 wt.% and 7.8~11.7 wt.%, respectively, which satisfied the quality standards for SRF. The low calorific value of dry food waste was 4,000 ~ 4,720 kcal/kg, which was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of 3,500 kcal/kg for SRF. As a result of TGA analysis of dry food waste, the combustion reaction started at about 200 ℃ and the highest burning rate was at about 500 ℃. After moisture evaporation between 100 and 200 ℃, initial volatile matter, carbon and residual volatile matter were released and burned between 200 and 500 ℃. Based on the high calorific value and low moisture and ash content of dry food wast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dry food waste into SRF through the application of efficient drying technology and strict quality standard inspection in the future.

Preliminary Properties and Combustion Behavior of Solidified Ethanol Fuel (고형 에탄올 연료의 기본 물성치 및 연소특성)

  • Kim, Hyemin;Jo, Min Kyung;Yang, Sung H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3 no.3
    • /
    • pp.9-14
    • /
    • 2019
  • Liquid and solid fuels currently in use have various pros and cons. As a result, researches are dedicated to produce a new form of fuel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and overcomes weakness of conventional fuels. In the present study, a new method for making solidified ethanol fuel is introduced, and its preliminary propertie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 are observed. The solidified ethanol fuel was made through the production of agarose hydrogel, and its subsequent soaking into pure ethanol. The properties of the solidified ethanol fuel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bserved, and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discussed.

A Study on Derived Solid Fuels Manufacture of Various wastes (다양한 폐기물의 고형연료 제조에 관한 연구)

  • Kang, Min-Su;Kim, Yang-Do;Ryu, Young-Bok;Kim, Young-Seok;Lee, Gang-Woo;Shon, Byung-Hyun;Lee, Man-Si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7-868
    • /
    • 2009
  •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고형연료 제조에 관한 것이다. 고형연료제품 생산을 위해 대부분의 제조 회사는 발열량이 높고, 성형하기가 쉬운 필름류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폐합성수지, 폐지, 폐목재, 폐타이어 등 다양한 폐기물을 이용하여 고형연료 제조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 PDF

Chemical compositions of inorganics in industrial complex waste (산업단지폐기물의 무기물질 구성 특성)

  • Jeong, Moon-Heon;Lee, Ju-Ho;Kwon, Young-Hyun;Lee, Gang-Woo;Lee, Jae-Jeong;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030-1033
    • /
    • 2009
  • 고형연료(RDF)는 가연성 폐기물을 성형된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로 이용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소각설비에 비해 수송성, 저장성이 뛰어나며 발열량이 거의 일정하여 연소 안정성이 우수하고 액체연료나 기체연료의 비해 경제성과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형연료의 미량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물질에 의해 연소장치의 부식이나 시설 노후 촉진화와 같은 원인을 제공하며, 심각한 환경오염원의 전구물질이 생성될 수 있어 실용화에는 큰 장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고형연료의 재료가 되는 폐기물을 분석하여, 중금속성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자원의 최적 이용 방안을 도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부존자원 액상/고상 연료화 기술, 부존자원 복합이용시스템, 폐열활용 시스템과 같은 기술에 적용하여 부존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를 최적 활용할 수 있는 D/B 구축을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