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향 사람들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Koreans Sense of Hom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thos and Relevant Geographical Attributes)

  • 이은숙;신명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01-42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향의 개념을 의미론적 측면과 지리학적 입장에서 정의하고, 한국 사람들이 고향이라고 지칭하는 고향의 공간적 대상, 고향에 대한 감정과 선호, 고향의 지리적 특징 및 이미지 등을 조사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의 본질과 정서(ethos)를 밝히려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본질적으로 고향 의식과 회귀본능과 같은 고향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 정서로부터 나온 것이다. 둘째. 이러한 보편적 정서 위에 한국의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 고유한 고향의식이 첨가되었다. 사회적 배경에서 발생된 고향에 대한 강한 애착은 효에 근본을 둔 유교적 전통, 남북분단, 도시화에 따른 광범위한 실향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된 정서라고 볼수 있다. 섯째, 고향이미지는 이러한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적, 인문환경적, 감각적 요소가 모두 수렴된 전형적이며, 추상화된 유형으로 나타난다. 넛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정서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보편적 정서와 대체로는 일치하지만 개인이나 집단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공간적 체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종합 - 1

  • (사)한국여성발명협회
    • 발명하는 사람들
    • /
    • 38호
    • /
    • pp.5-6
    • /
    • 2005
  • `콩쥐팥쥐` 고향 두고 김제시와 완주군 신경전 - `모나리자`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 - 특허넷 `세계 특허 시스템`으로 발돋움하다 - `2005 창의력 놀이터` 통해 아이들의 창의력 계발 - 실탄 없는 군사훈련 가능해진다 - 특허청 지식재산권 용어 영한사전 발간

  • PDF

정완영 시조의 고향성 연구 - 자연으로서의 고향 - (A Study on Hometown-Consciousness of Jeung Wan-yeong)

  • 김민정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111-141
    • /
    • 2004
  • 정완영의 고향의식 발현 양상은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전원적 자연친화 공간이다. 전원적 자연친화 공간인 그의 지정학적인 고향은 김천이고, 그곳의 자연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작품을 많이 쓰고 있다. 서정적이고,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면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 그의 작품은 그의 성장 환경이기도 하며, 고향은 정완영의 작품에 늘 그리움과 평화스러움, 정신적 안식을 주는 공간이 되고 있다. 전원적이며 자연적 고향은 어떠한 갈등도 나타나지 않고, 동양적 자연친화사상이 그 바탕이 되고 있다. 둘째로 정완영의 고향의식은 조손이 함께하는 안식공간이다. 정완영은 '고향이란 산 사람과 죽은 조상이 등을 맞대 사는 마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만큼 그의 의식 속에는 고향은 조상과 자손이 함께 사는 공간으로 나타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곧 부모에 대한 그리움이며, 형제자매의 동기와 어릴 적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으로 나타난다. 즉 고향이란 조상의 산소가 있고 부모와 형제와 친지가 있는 亐이며, 이들과 함께 하던 삶이 있던 공간으로 인식되는 정완영의 작품에서는 고향은 영원한 모성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경상대 지질학과 조현구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8호통권327호
    • /
    • pp.80-81
    • /
    • 1996
  • 칼륨,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황산염 광물인 명반석을 가열하고 다시 냉각시킬 때 나타나는 변화를 연구하여 다른 광물질과 달리 가역반응을 일으키는 특성을 규명한 경상대 조현구박사. 경남 통영시가 고향인 조교사는 과학기술정책 결정 때는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 PDF

건강과 행복한 삶의 대안-숲으로의 여행

  • 현지현
    • 건강소식
    • /
    • 제32권5호
    • /
    • pp.40-43
    • /
    • 2008
  • 인간의 원천적인 고향이자 모태였던 숲. 숲에서는 온갖 약초가 생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치료와 보양이 이뤄져 왔다. 숲은 몸과 마음의 도량이기도 했다. 게다가 우린 누구나 숲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복을 타고 났다. 이렇게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숲이지만, 숲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선 그리 많은 생각을 해본 사람들은 없을 터. 이번 호에서는 숲이 우리에게 주는 건강효과와 봄철 가볼 만한 우리나라의 숲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 PDF

땅이름의 뿌리

  • 배우리
    • 공원문화
    • /
    • 통권70호
    • /
    • pp.73-81
    • /
    • 1998
  • 현대를 사는 사람들은 땅이름에 별로 큰 관심을 갖지 않는다. 바로 우리 고향의 이름이고 또 우리 마을의 이름인데도 그러하다. 땅이름은 그냥 편하게 불리면 그만이라는 생각들이다. 그 땅이름이 어떤 뜻을 지녔건 또는 어떤 역사적 사실을 간직했건 그런 것에 별로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돌아보면 이 속에 우리말이 그대로 살아 있고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숨소리까지 배어있음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결국은 우리의 뿌리를 돌아보게 하고 생각의 울타리안에 그 ‘옛날’을 잠시나마 잡아다 앉히고 싶은 충동에 빠질 것이다. 이처럼 우리 땅 이름에 얽히고 설킨 뿌리를 찾아 국토의 옛날과 오늘의 근원과 정서를 되살려보는 뜻에서 이번호부터 "우리 땅 이름의 뿌리를 찾아서"를 연재한다.

  • PDF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53호
    • /
    • pp.34-35
    • /
    • 1992
  •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은 스톡홀름선언을 재확인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추구하여 모든 국가와 사회의 주요분야, 그리고 모든 사람들 사이의 새로운 차원의 협력을 창조함으로써 새롭고 공평한 범세계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할 목적으로, 모두의 이익을 존중하고 또한 지구의 환경 및 개발체제의 통합성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정체결을 위하여 노력하며, 우리들의 고향인 지구의 통합적이며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인식하면서,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 PDF

서사시에 나타난 '민족' 형상화에 관한 비교 연구 - 고은의 『백두산』과 리욱의 『고향 사람들』, 『풍운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onfiguration of the nation in epics)

  • 장은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337-362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ce of the nation's concept between Ko un's Baekdusan and Lee uk's Gohyangsaramdul, Pungungi. These works are epics restructure nation's history. A epic's story provides framework of recognition to social members. An individual and community accept their story and then stories construct pesonal identity and community's identity. So we can say a epic configurates national identity by story nation history and nation territory. The nation's concept is understood steadfast and very pure as like a blood relationship in Korea. This is aspects of Korean nationalism. But the Nation is modern, social and historical concept. That is different from ethnic identity. This way throws open the door to analyze nation identity. Ko un's Baekdusan narrates permanence and sacralization of the nation for emphasizing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aekdusan expresses the social desire of Korea in the 1980s. In comparison, Lee uk's Gohyangsaramdul representate ambivalent attitude. One is a position as a settler and the other is a new master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So Gohyangsaramdul narrates and remembers their motherland Chosun. But Pungungi exclude recognition of Chosun as motherland. This work's narration focuses on association with struggle of classes and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ause these events are able to unity Korean and Chines. Three works deal with same history and same background, but those show defferent recognition about the Nation. Because each society has different social desire and expect different future. The present desire and future prospect construct nation identity.

고수동굴 주변 관광상업지역의 특성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Tourist-commercial District around Gosu - Cave)

  • 홍현철;유영준;홍충렬;장상태
    • 동굴
    • /
    • 제46권47호
    • /
    • pp.19-34
    • /
    • 1996
  • 고수동굴이 1973년의 종합학술조사 이래 관광지로서 개발된 이후에 동굴 주변의 상업지역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1996년 6월 11일 고수동굴 주변의 상점 46개의 경영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전체 상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25개 업소들이 80년대에 개업하였고 90년 이후에 19개 업소가 상점을 개설했다. 둘째, 상점 경영 동기로는 고수동굴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상점을 개점했다는 경우가 절반 정도(47.8%)에 해당하고, 내 고향 자랑과 지역발전의 일환으로 개점한 경우와 관광사업 발전을 위해 개점한 경우가 20% 내외였다. 셋째, 고수동굴 주변 상점의 경영주들은 일반사업을 하다가 전직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관광사업, 오락장 등을 포함하면 상업 종사자들이 전체의 48% 정도에 해당하여 상업관련 종사자들의 전업이 가장 많았다. 넷째, 상점의 규모는 90년대에 개업한 상점일수록 규모가 커지고 있고, 이것은 경영주를 제외한 종업원의 운영과도 관계가 있어 상점 규모가 클수록 종업원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영주의 학력은 고졸 이상의 고학력자들이 상점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고수동굴만의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상점의 업종을 구분한 결과 기념품점과 식당이 각각 37.0%, 34.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고수동굴이 다른 관광명소와 색다른 특성이 없어 관광객들의 구매욕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상점들(80.4%)이 일자리와 주거를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절반 가량(52.2%)의 상점들이 다른 사람 소유의 건물을 전 ·월세로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수동굴 주변의 상업적 특성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기 고장에 있는 관광자원을 내 고향의 자랑거리로 생각하고 이를 지역발전의 밑거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지로서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다른 관광동굴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다른 지역의 기념품점에서 구입할 수 없는 고수동굴만이 갖고 있는 특징적인 기념품을 판매함으로써 관광객의 구매욕구를 높인다거나 고수동굴의 일주관광 후 관광객을 좀 더 머무르게 할 수 있는 시설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