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추대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Determination of Optimal Nursery Period for Long Term Bag-Culture in Sweet Pepper(Capsicum annuum L.) (단고추 자루식 장기 양액재배시 적정 육묘일수 구명)

  • 김경제;김진한;우인식;라상욱;강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116-121
    • /
    • 1998
  • 단고추는 국내에서는 1934년에 "복견감장" 이라는 품종을 도입한 것이 최초로 알려져 있으며 그후 영리를 목적으로 본격적인 농가재배가 이루어진 것은 80년대부터이다$^{3)}$ . 그후로 지속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되어 단고추의 재배면적은 '97년 현재100㏊ 정도 재배되고 있고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그 소요가 크게 증가되어 면적도 증가 추세에 있는 작물중의 하나다. (중략) 하나다. (중략)

  • PD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of Genomic DNA in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지리적 기원이 다른 고추 더뎅이병균 균주 Genomic DNA의 RFLP 분석)

  • 정희정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2
    • /
    • pp.162-168
    • /
    • 1996
  • 우리 나라의 주요 고추 재배지와 미국, 대만, 호주, 아르헨티나에서 수집된 44 개 고추 더뎅이병균(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균주간의 유전적변이를 genomic DNA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에 의해 분석하였다. Genomic DNA RFLP profiles을 cluster 분석하여 얻은 dendrogram에서 지리적 기원이 다른 44개 균주들은 11개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외국 균주들은 genomic DNA의 RFLP 분석에 의해 모두 각각 다른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외국 균주들 중에서 미국 균주는 우리 나라 일부 균주들과 밀접한 유전적 관련성을 가지고 함께 cluster를 이루었는데, 이것은 이 균주들이 동일한 고추 더뎅이병균의 조상 균주 집단에서 유래했으리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우리 나라 균주들은 6개의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대부분의 우리 나라 균주들은 가까운 cluster를 이루며 미국 균주를 제외한 외국 균주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균주들 중에서 마산에서 수집된 Ms93-1은 다른 우리 나라 균주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유전적으로 격리된 균주의 출현은 우리 나라에서 지리적 기원이 다른 고추 더뎅이병균 균주 사이에 이미 발생한 다양한 유전적 분화의 결과라고 추론된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고려대 자연자원대 농생물학과 황병국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 s.332
    • /
    • pp.80-81
    • /
    • 1997
  •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막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농약 개발에 착수한 고려대 황병국교수는 투베르시딘이 고추역병에 항균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여년동안 식물병리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쌓은 황교수는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식물병리학자이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lkaline Pulping of a Stem of Red Pepper (Capsium annuum L.) (고추 줄기의 화학 조성분 및 알칼리 펄프화)

  • Kim, Chul Hyun;Kim, Young Yook;Park, Soung Bae;Eom, Tae 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2
    • /
    • pp.26-32
    • /
    • 2004
  • Chemical compositions and chemical structure of lignin and alkali cooking condition and fiber length of red pepper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wood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red pepper were higher component of extraction than that of wood. The contents of carbon and hydrogen of Klason lignin in red pepper were similar to that of pine and birch wood.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oxygen and nitrogen of Klason lignin in the red pepper were higher than that of wood. The result of nitrobenzene oxidation shows that Klason lignin of red pepper was similar to lignin of softwood. The best alkali cooking condition of red pepper was 0.2%-anthraquinone, active alkali of 20% and liquor ratio of 1:7. The fiber length of red pepper was about 0.47 mm. Therefore, the red pepper fiber will be able to use special purpose of short fiber.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Seed Separation and Drying Method of Red Pepper -Part II. Dehydration Effect on the Impact Seed Separation of Red Pepper- (고추의 동시탈종(同時脫種) 건조방법(乾燥方法)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 -제2보 열풍건조(熱風乾燥)가 고추씨의 충격분리(衝擊分離)에 미치는 영향-)

  • Chun, Jae-Kun;Park, Sang-Ki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9 no.1
    • /
    • pp.68-72
    • /
    • 1977
  • Seed separation out of fresh red pepper by impact methods was effective but impossible to separate over 45% of seed. For the increase of seed separation, dehydration effect was studied with the slices of pepper. Heat deformation during the course of drying at hot air of 0. 61m/sec velocity at temperature of $65^{\circ}C$, increased the separation up to 93% with a halfcut pepper. Seed separation was remarkably different upon the location of cut, but it was completed prio tothe completion of drying in every cutting orientations. From these results a simultaneous seed separation and drying operation techniques is successfully developed.

  • PDF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using pastes from different peach varieties (복숭아 품종별 페이스트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 Jung, Kyung-Mi;Jeong, Yong-Ji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5 no.1
    • /
    • pp.19-26
    • /
    • 2018
  • In this study, we aim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non-commercializable peach fruits collected during harvesting and distribution and to promote the transition of a high value-added industry. After producing pastes from the flesh of different peach varieties, we used these pastes as ingredients in the production of Kochujang. We then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h-added Kochujang and commercially available Kochujang products. Peach-added Kochujang exhibited a lower pH and reduced sugar, salinity, reducing sugar, ash, and calorie content than those of commercially available Kochujang products. However, the Kochujang had slightly higher pH and moisture content tha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due to high organic acid and moisture contents of peach flesh. In terms of content of inorganic elements, commercial Kochujang products exhibited higher sodium and magnesium content, whereas peach-added Kochujang had higher potassium content. In particular, the lower sodium and higher potassium content of peach-added Kochujang indicates that this product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to prevent various diseases caused by excessive sodium intake among Koreans. After comparing the products in terms of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 concluded that ethanol extracts of peach-added Kochujang showed higher phenol content than thos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Kochujang products. In contrast, the distilled water extracts of peach Kochujang showed highe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Kochujang products.

이달의 과학자-서울대 약학대 약학과 오우택 박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3 s.346
    • /
    • pp.66-67
    • /
    • 1998
  •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 통각신경을 흥분시켜 통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낸 서울대 약학대 오우택 교수. 오 교수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통각신경의 세포막에서 캡사이신이온통로를 발견해 전 세계에서 관심을 모았다. 83년 오클라호마대학 의과대학에 유학한 이후 15년 동안 통증연구를 해온 오 교수는 왜 캡사이신통로가 우리 몸에 있는가 하는 의문을 규명하기 위한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PDF

Water-circulated Bed Cultivation of Water Wasabi I. Growth Change of Water Wasabi in Different Conditions of Water-circulated Bed (물 고추냉이 순환식 베드 재배 연구 I. 베드조건의 차이에 따른 물 고추냉이의 생장량 차이)

  • Kim, Yeon Bok;Lee, Hee Jong;Jeong, Ho Won;Sim, Jae Do;Park, Cheol Ho;Jang, Kwang Ji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100-100
    • /
    • 2018
  • 물 고추냉이는 십자화과의 숙근성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일본과 대만 등에서 재배되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식품, 가공원료, 향신료, 의약소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철원과 무주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재배환경 및 기술의 한계로 규모와 생산량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 고추냉이 순환 베드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마사토의 높이와 고랑의 유무에 따라 3개 베드 (A-마사토 높이 4.0cm, 고랑 있음, B-마사토 높이 5.5cm, 고랑 있음, C-마사토 높이 7.0cm, 고랑 없음)로 시험하였다. 물 고추냉이의 생장량과 식물체 내의 양분 분석(질소, 인산, 칼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베드 높이가 가장 낮고(4cm) 고랑이 있는 베드에서 생장량이 가장 우수하였고 마사토 높이가 가장 높은(7cm) 처리구보다 생장량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엽장보다 엽폭이 길었고 심장형 잎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었다. 식물체 내의 양분 분석 결과 처리구 별로 질소, 인산, 칼륨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A 베드에서 질소 4,150, 인산 500, 칼륨 1,500ppm 에 비하여 C 베드는 질소 730, 인산 120, 칼륨 700ppm 정도로 낮았다. 대조구의 동일 지역, 동일 기간의 계류지 하우스재배(데이터 미발표)에 비해 순환식 베드 재배가 우수하였고, 특히 A 베드에서 가장 우수하여 절수, 2단 재배 등의 예상되는 효과를 감안할 때 물 고추냉이 순환식 베드 재배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 PDF

Synergistic Effect of Citric Acid on Antioxidant Property of Red Pepper (고추의 산화성(酸化性)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

  • Yang, Ki-Sun;Yu, Ju-Hyun;Hwang, Juk-In;Yang, R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6 no.4
    • /
    • pp.193-198
    • /
    • 197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ound red pepper, ethyl alcohol extracts of ground red pepper peel and alcohol extracts plus organic acid was studied by using edible soybean oil as a substrate. All the substrates were stored in a dark place at $45.0{\pm}0.5^{\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Ground red pepper, black pepper and cassia exhibited sligh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m. 2. Although both ground red pepper peel and red pepper seed showed antioxidant activity, ground red pepper peel exhibited grea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ground red pepper peel did. 3. Ethyl alcohol extracts of red pepper peel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ut the residue did not show the antioxidant activity. 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yl alcohol extracts of red pepper peel increased in direct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5. In connection with the synergistic effect of organic acid to the ethyl alcohol extracts of red pepper peel, citric acid showed a very strong synergistic effec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pepper, while ascorbic acid showed a weak effect. On the other hand, phosphoric acid showed an accelerating effect on the oxidation of oils. 6.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yl alcohol of ground red pepper peel was observed at the citric acid concentration of 0.04%, when tested at various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