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체폐기물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59초

전기화학적으로 생성되는 Ag(II)에 의한 유기성 고체폐기물의 분해

  • 최왕규;이근우;김영민;박상윤;오원진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57-562
    • /
    • 1998
  •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유기성 고체폐기물의 분해를 위한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공정을 개발할 목적으로 대상 폐기물로 셀룰로오스, latex 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에 대한 분해연구를 수행하였다. 매개체로써 Ag(II)를 사용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공정에서 제어 가능한 인자인 전류밀도, 양극전해질의 농도 및 온도 등이 유기성 고체기물의 분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유기성 고체폐기물은 전기화학적으로 생성되는 Ag(II)에 의해서 완전히 이산화탄소로 분해 되었으며, 한계전류밀도 이하에서 셀룰로오스 물질에 대해서는 80 %, latex 고무에 대해서는 76 %, 그리고 폴리프로필렌 물질에 대해서는 85 % 이상의 비교적 만족스러운 전류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질산의 농도 변화는 셀룰로오스 및 폴리프로필렌 물질의 분해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atex 고무에 대해서는 비교적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온도의 변화는 셀룰로오스 물질의 분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atex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물질의 분해에는 비교적 큰 영향을 주었지만 전류효율 측면에서 85$^{\circ}C$ 이하에서 조업하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Ag(II)에 의한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공정은 혼성폐기물 중의 유기물을 저온에서 안전하게 분해 시킬 수 있으며, 소각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하나로의 고체 폐기물 발생 현황 (The solid waste production status in HANARO)

  • 강태진;황승렬;최호영;이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30-134
    • /
    • 2003
  • 하나로의 출력 운전이 시작된 1996년 이후 2002년까지 발생하였던 고체 폐기물의 양을 정리하고 원자로 출력량과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 기간동안 발생한 폐기물량 및 처리비용은 각각 $69,598{\ell}$, 1,878만원이었으며 출력량 대비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비용은 각각 $3.01{\ell}/MWD$, 811원/MWD이다. 또한 폐수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수지건조장치를 개발하여 폐수지의 양을 약 40% 감소시켰다.

  • PDF

선택성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Cs 함유 토양 제염폐액 정화

  • 원휘준;김계남;오원진;정종헌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131-132
    • /
    • 2004
  • 원자력연구소에 보관 중인 오염 토양폐기물을 토양 세척법으로 제염하여 비 방사성폐기물화 한다면 그 부피를 10%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연구소의 고체 방사성폐기물 저장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1988년 발견 당시 오염 토양 폐기물의 주요 방사성 핵종은 Co-60 이었는데 시간경과에 따라 Cs-134, 137 이 주요 방사성 핵종이 되었다. 오염토양 폐기물의 60 % 이상은 방사능 농도가 극히 낮아 물리적으로 입도를 분리하거나 수 세척에 의해 비 방사성폐기물화 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중략)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체방사성폐기물 건식제염기 개발

  • 김종화;박승현;백승훈;김용수;전상환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43-244
    • /
    • 2004
  •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을 제염하는 설비의 조건으로는 제염계수, 2차 폐기물 발생량, 모재의 회수가능성, 작업자의 안전성(원격조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오염제거 방법으로 습식제염 방법을 손쉽게 생각할 수 있으나 습식제염은 모재로부터 오염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염이 불가능하고 강산 용액을 사용하므로 제염후 발생되는 2차 액체폐기물로 인해 최근 그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중략)

  • PDF

"하나로" 고체 방사성 폐기물 현황 및 저감화 노력

  • 이성효;김지욱;최영산;박상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6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130-131
    • /
    • 2006
  • 하나로에서의 방사성폐기물은 작업공정 특성상 원자로 정기점검(overhaul)시 주로 발생된다. 이에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 하고, 규제해제대상 폐기물의 지정 및 분류를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 폐기물의 종류 및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절차의 개선, 저감화 대책 및 이를 적용한 실적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