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체지지체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cofriendly Synthesis of Antifungal Azoles

  • Kidwai, M.;Mohan, R.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8 no.2
    • /
    • pp.177-181
    • /
    • 2004
  • 1,2,4-Triazoles, pyrazolones and 1,3,4-oxadiazoles have been synthesized from substituted hydrazide using various solid supports under microwave irradiation (MWI). The results obtained highlight the versatility of the solid supports. All synthesized compounds were screen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 niger and A. flavus and were found to possess good activity.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ode-Supported Tube for Solid Oxide Fuel Cell (습식법에 의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지지체관의 제조 및 특성 연구)

  • Kim, Eung-Yong;Song, Rak-Hyeon;Im, Yeong-E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10 no.10
    • /
    • pp.659-664
    • /
    • 2000
  • To develop anode-supported tubular cell with proper porosity, we have investigated the anode substrate and t the electrolyte-coated anode tube. The anode substrate was manufactured as a function of carbon content in the range of 20 to 50 vol.%. As the carbon COntent increased, the porosity of the anode substrate increased slightly and the carbon c content with proper porosity is found to be 30 vol.%. The anode-supported tube was fabricated by extrusion process a and the electrolyte layer was coated on the anode tube by slurry coating process. The anode-supported tube was cofired successfully at $^1400{\circ}C$ in air. The porosity of the anode tube was 35%. From the gas permeation test, the anode t tube was found to be porous enough for gas supply. On the other hand, the anode-supported tube with electrolyte layer indicated a very low gas permeation rate. This means that the coated electrolyte was dense.

  • PDF

Segmented 평관형 SOFC에서 다공성 $MgAl_2O_4$ 지지체 제조 및 특성

  • Park, Seong-Tae;Choe, Byeong-Hyeon;Lee, Dae-Jin;Kim, Bit-Nam;Ji, M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73-273
    • /
    • 2009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lid Oxide Fuel Cell, 이하 SOFC)는 제조형태에 따라 크게 평판형과 원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위면적당 출력 효율이 높은 평판형의 장점과 원통형의 밀봉이 용이한 장점을 동시에 가지는 평관형 형태로 지지체를 제작하였으며, 셀의 배치를 평면상 직렬로 연결하는 다전지식으로 구성함으로 전극의 길이나, 셀 간격을 기존 평판형이나 원통형에 비해 대폭 감소시켜 단위면적당 전압 및 출력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Segmented 평관형 지지체의 소재로는 연료전지의 성능 특성에 관여하지 않으며 열사이클 저항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spinel구조를 가지는 $MgAl_2O_4$를 선정하였다. 연료가스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carbon을 기공 전구체로 사용하여 압출성형하였으며 건조과정에서 crack이 생기지 않는 공정을 확립한 후 $1400^{\circ}C$ 에서 소결하였다. 제조된 지지체는 수은침투법과 3점 굽힘 강도법으로 기공율과 기계적 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Anode를 스크린 프린팅법으로 지지체 위에 적층한 후 미세구조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공성이며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음극과의 반응이 없는 우수한 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Silicone Rubber Membrane-Based Chloride Ion-Selective Electrode (실리콘러버-지지체 염화이온선택성 막전극)

  • Sakong, Dong-Sik;Kim, Jin-Mog;Cha, Jin-Mo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1 no.12
    • /
    • pp.653-660
    • /
    • 1997
  • Silicone rubber-matrix membranes doped with tetr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TDTMACl) are used to enhance electrode performance for chloride measurements in physiological samples. The optimized membrane formulation incorporates 95.4 wt% silicone rubber and 4.6 wt% TDTMACl, and its pH response is negligible in the range of pH 6-10. The TDTMACl-doped silicone rubber membrane exhibits sub-Nernstian response to chloride from 10 to 300 mM (-37.5 mV/decade), but its selectivities for chloride over other anions are remarkably enhanced: KpotCl,NO3=1.3, KpotCl,I=2.0, KpotCl,Sal=0.8, KpotCl,SCN=2.0 and KpotCl,ClO4=0.8. Furthermore, since the silicone rubber-matrix membrane exhibits better adhesion to the solid surface than do PVC membranes, the lifetime of the coated-wire type membrane electrode is greatly improved. The response properties toward chloride and salicylate for solid-state sensor a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at least 35 days of use.

  • PDF

Fabrification of Segmented Flat-Tubular SOFC cell (Segmented 평관형 SOFC 셀 제조)

  • Park, Sung-Tae;Choi, Byung-Hyun;Ji, Mi-Jung;Choi, Heon-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37.1-137.1
    • /
    • 2010
  • SOFC cell 하나의 전위차는 약1.1V이기 때문에 발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단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stack의 디자인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형태가 하나의 지지체에 셀을 직렬로 연결함으로 전극의 선폭 및 단위 셀 간의 간격이 기존 평판형, 원통형에 비해 대폭 축소되어 전극 및 연결재의 저항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Segmented형 SOFC이다. Segmented SOFC에 적용하기 위한 세라믹 다공성 지지체는 연료와 공기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셀의 구성소재와 반응이 없으며 열팽창계수가 유사해야하는 특성을 가져야하는데 그 중에서도 지지체로써 적절한 기계적 강도와 높은 가스투과도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안정한 Spinel의 MgAl2O4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압출 성형하여 평관형으로 제조하였으며 활성탄을 기공형성제로 사용하여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약 30%의 기공율을 가지는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라믹 지지체에 연료극(NiO/YSZ), 전해질(TZ8Y), 공기극(LSM)을 코팅하여 실제 SOFC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abrication technology of ceramic interconnect for the SOFC by wet process (습식법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세라믹 연결재 제조 특성연구)

  • 이길용;김종희;송락현;백동현;정두환;신동열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00-200
    • /
    • 2003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 사용되는 연결재의 주 기능은 각 단위 셀의 연료극과 다음 셀의 공기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공기와 사용연료의 분리역할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SOFC용 연결재는 다른 구성요소 소재보다, 높은 전자 전도성, 낮은 이온전도성, 우수한 기계 적강도가 요구되며, SOFC는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상온에서 작동온도까지 다른 요소 소재들과 유사한 열팽창계수와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요구된다. 현재 연결재 제조기술은 EVD, CVD, plasma spraying, tape casting 등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세라믹 연결재 증착방법 중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한 습식법(dip coaling)을 적용하여, 연료극 지지체식 flat-tube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지지체를 위해 세라믹 연결재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라믹 연결재로써 선정한 합성조성은 LaCr $O_3$에 Ca이 치환 고용된 L $a_{0.6}$C $a_{0.41}$Cr $O_3$으로 pechini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조성은 100$0^{\circ}C$에서 5시간 하소후 가속 Ball Milling하여 0.5$\mu\textrm{m}$의 평균입자크기를 얻을 수 있었다. XRD 상분석결과 perovskite상 (L $a_{1-x}$ Ca/x/Cr $O_3$)과 CaCr $O_4$를 얻을 수 있었다. slurry를 제조하여 막의 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sand blasting시킨 flat tube지지체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소재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dip coating한 후, 140$0^{\circ}C$로 소결 하였다. coating 결과 박리현상은 없었으나, 표면과 단면의 SEM분석결과 다소 porous한 박막층이 형성되었으며, Ca이온이 지지체로 permeation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보다 치밀한 박막생성을 위해, slurry 제조조건을 변화시켰으며, Ca이온의 migration을 막기 위해 barrier layer를 이용하였다 완전 소결된 지지체는 가스투과도와 전기전도도측정을 통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였다.다.

  • PDF

The development status and key technologies of Solid oxide fuel cell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핵심기술과 개발 현황)

  • Kim, Ho-Sung;Kang, Ju Hee;Kim, Hyo Shin;Kim, Young Mi;Lee, Jong Ho;Oh, Ik 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27.1-127.1
    • /
    • 201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고효율 및 무공해의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시스템의 작동온도를 약 $800^{\circ}C$ 이하로 낮추고 저가로 생산 할 수 있는 제조공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단위셀를 구성하는 연료극지지체 및 박막 전해질에 대해서 저가 양산의 테이프케스팅법 및 동시소성 공정, 그리고 연료극 지지체 전해질(anode-supported electrolyte)에 대한 공기극 페이스트 프린팅 제조공정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고체산 화물연료전지의 제조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방전플라즈마 소결공법(SPS)에 의한 연료극 지지체 제조 공정, 단위셀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나노 스케일의 고성능 전해질 소재 분말합성 공정(crystallite size: 5~10nm, surface area : $100m^2/g$ 이상) 그리고 테이프케스팅에 의한 박막 전해질 제조 공정(thin film : $10{\mu}m$ 이하) 등 주요 단위셀 소재 및 부품의 제조공정 특성 그리고 단위셀의 전기화학적 특성(max. power density : 1.0 W/$cm^2$)에 대해 소개하며, 최종적으로 평판형 대면적 고체산화물연료전지(max. $20cm{\times}15cm$)의 단위셀 상용화 제조 기술 및 성능평가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 할 예정이다.

  • PDF

A Solid Phase Synthesis of Dihydro-1,4-dioxin and Dihydro-1,4-oxathiin Carboxanilides Using Polymer-bound Oxime Ester (고체상에 연결된 옥심 에스테르를 이용한 다이하이드로-1,4-다이옥신 및 다이하이드로-1,4-옥사티인 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의 고체상 합성)

  • Hahn, Hoh-Gyu;Bae, Su-Yeal;Nam, Kee-Dal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0 no.1
    • /
    • pp.1-6
    • /
    • 2006
  • A methodology for the syntheses of carboxanilides using solid support of 4-chloro-3-nitorbenzophenone oxime resin 5 was developed. Condensation of 4-chloro-3-nitorbenzophenone resin 6 with hydroxylamine hydrochloride salt gave oxime resin 5. The reaction of oxime resin 5 with dioxin and oxathiin derivatives 7a-d afforded the corresponding polymer-bound dioxin and oxathiin derivatives 9a-d. These polymer-bound resins 9a-d were treated respectively with aniline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 resulted in the corresponding dioxin carboxanilides 10a-d (yield, 5%-quantitative).

Recent Developments and Challenging issues of Solid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바이오디젤 생산용 고체 촉매의 개발 동향 및 과제)

  • Lee, Jin-Suk;Park, Soon-Chu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8 no.1
    • /
    • pp.10-15
    • /
    • 2010
  • Intensive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o develop more efficient solid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various feedstocks including refined oils and waste fats. Among many catalysts, metal oxides and ion exchange resins are the most intensively studied ones. With regard to metal oxide catalysts, major research activit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and their immobilizing methods on the supports. As metal oxide catalysts have strong thermal stability, they may be used in simultaneous transesterification and esterification of waste fats. However, ion exchange resin catalysts were mainly applied in the esterification of the free fatty acids in waste fats because of their lower thermal stability. For both solid catalysts, further works are needed to make them to be used in commercial process. Especially fast deactivation of the solid catalyst would be the most challenging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