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체/액체 흡수제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이온성액체 기반 SO2 흡수제 개발 동향 (Ionic Liquids as a SO2 Absorption Media)

  • 최지식;;이상득;이현주
    • 청정기술
    • /
    • 제18권1호
    • /
    • pp.22-30
    • /
    • 2012
  •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방향으로 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저장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주로 MEA와 같은 아민계 화합물이 사용되는데 이때 배가스에 함께 포함된 이산화황 ($SO_2$)은 $CO_2$ 흡수액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공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지금까지의 $SO_2$ 흡수제로는 Ca계 고체 흡수제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 액체 흡수액으로 이온성액체가 주목받고 있다. 이온성액체는 이온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인하여 넒은 액체 범위 및 극성가스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갖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발표된 $SO_2$ 흡수제로 이온성액체에 대하여 그 구조 변화에 따른 $SO_2$ 흡수량 변화 그리고 흡수 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중효용 흡수사이클의 성능특성 평가 (evaluation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 on Triple Effect Absorption Cycle)

  • 권오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782-791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a computer simulation of five types of triple effect absorption cycles employ-ing the refrigerant absorbent combinations of NH3/LiNO3 low-pressure type NH3/LiNO3+H2O/LiBr binary two-stage type series flow cycle and two types of parallel flow cycle for H2O/LiBr. The absorption systems is investigated through cycle simulation to obtain the system characteristics with the cooling water inlet temperature approach temperature of absorber loss temperature of absorber and chilled water outlet temperatur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temperature of absorber and chilled water outlet temperatur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NH3/LiNO3 low-pressure type and a NH3/LINO3+H2O/LiBr binary two-stage type is that it obtains a coefficient of performance higher than the sum of the performance coefficients of its part operating independent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optimum designs and operating condit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 PDF

COD 및 N 제거를 위한 에탄올아민의 응축 및 흡착특성 연구 (Study on Condensation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Ethanolamine for Removal COD and N)

  • 김종영;정은선;구희권;이인형;박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15-418
    • /
    • 2008
  • 에탄올아민 (ETA; Ethanolamine)은 에틸렌옥시드를 진한 암모니아수와 함께 가열하여 얻어지는 물질로 흡수성이 있는 무색의 액체 또는 고체이며 탄소, 질소, 산소로 이루어진 매우 안정된 유기화합물이다. 이러한 ETA는 부식방지제, 산성가스 흡수제, 화장품 등 각종 산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다. 하지만 ETA는 눈, 피부, 호흡기, 폐 등에 접촉하여 호흡기 질환 및 만성 천식을 유발하고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므로 ETA를 제거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냉각온도 및 진공펌프압력에 따른 ETA 응축 특성과, 흡착제에 따른 ETA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ETA는 냉각수의 온도 및 진공펌프압력에 영향을 받았으며 냉각수 온도 및 진공펌프압력이 증가할수록 응축율은 감소하였다. ETA 흡착에서 활성탄의 경우 액상의 ETA와 상호간에 흡착력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기상의 ETA는 흡착되지만, $100^{\circ}C$이상에서 탈착 반응이 일어났다. 제올라이트의 경우 액상 및 기상의 ETA를 모두 흡착하였다.

  • PDF

셰일에 대한 SILRES BS OH 100 강화제 적용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LRES BS OH 100 Consolidants for Shale)

  • 이상진;김진형;도진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1권
    • /
    • pp.33-4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약해진 암석을 강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는 에틸 실리케이트계 강화제인 SILRES BS OH 100를 대상으로 셰일계 석재에 대한 강화 제 적용을 연구하였다. SILRES BS OH 100는 상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액체 상태의 졸에서 고체 상태의 겔로 변화하였으며, 생성된 겔은 X-선 회절 분석 결과 비결정질의 고체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약 $30^{\circ}C$의 항온을 유지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시차열중량분석 결과 공기중에 노출되면서부터 305분까지 급격하게 중량이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SILRES BS OH 100의 반응생성물인 에탄올이 증발하면서 실라놀($Si(OH)_4$) 입자가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SILRES BS OH 100을 처리한 세계 암석의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겔화된 고체상태의 강화제가 광물 입자와 입자 사이를 채우면서 결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LRES BS OH 100를 처리한 세일계 암석 시편은 처리전과 비교하여 모세관물흡수계수는 48.7%가 감소되었으며, 마모 강도가 증진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식품 중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의 분석 (Determining Anti-impotence drug-like compounds in Food)

  • 최동미;임무혁;이경진;권광일;정지윤;박건상;홍무기;이철원
    • 분석과학
    • /
    • 제17권6호
    • /
    • pp.520-526
    • /
    • 2004
  • 식품 중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 (anti-impotence drug-like compounds)인 실데나필, 바데나필, 타다라필, 호모실데나필, 홍데나필 및 하이드록시호모실데나필에 대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동시분석을 시도하였다. 환제나 캅슐제 등 고체 시료의 경우 균질화한 후 일정량을 취하고, 드링크제 등 액체시료의 경우 일정량을 취하여 물에 희석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대상물질에 대해 photodiode array 스펙트럼의 최대흡수파장을 확인하였다. 인산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을 이동상으로 하고 $C_{18}$ 컬럼으로 분석한 결과 바데나필, 홍데나필, 하이드록시호모실데나필, 실데나필, 호모실데나필, 타다라필의 순으로 용리되었으며, PDA 스펙트럼의 최대흡수파장은 바데나필의 경우 216 nm, 홍데나필의 경우 233 및 282 nm, 하이드록시호모실데나필, 실데나필 및 호모실데나필의 경우 222 및 293 nm, 그리고 타다라필의 경우 284 nm이었다. 검출한계는 물질마다 차이는 있으나 신호대 잡음비 3이상에서 0.04 mg/kg이었으며 평균 회수율은 95 ~ 109% 이었고 식품시료 중 검출된 대상물질은 1.7 (홍데나필) ~ 63 (타다라필) mg/1회복용량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