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지도(古地圖)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Types and Management of Old Maps Collected by Library and Museum in Korea (우리나라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유형 및 관리 실태 연구)

  • Kim, Ki-Hy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6 s.117
    • /
    • pp.714-739
    • /
    • 2006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management of old maps collected by library and museum in Korea. About 1,200 items of old maps are collected in 39 institutes. This distribution is due to the scatter during late Joseon period through Japanese imperialism period. Half and half of old maps are reserved in museum and library. Atlas of county maps are reserved mainly in Gyujanggak,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brary of Korea University There are 10 copies of $\lceil$cheonggu-do(靑邱圖)$\rfloor$ and 25 copies of $\lceil$Daedongyeo-jido(大東輿地圖)$\rfloor$ put in together in all instutes. Forms of those maps in terms of size, picture and place names recorded are different between each other. Methods of management of those maps are different between library and museum. Old maps are treated as rare old books in library, but as traditional old picture in museum. Methods and levels of opening to public of maps are also different in each institute. More serious thing is that there is no specialist in old maps in most institutes.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3-105
    • /
    • 2015
  • 대한민국 등대의 역사는 일제가 국외 침략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설치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1903년 인천에 처음으로 등대가 설치된 이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항로표지시스템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 항구의 도시로서 그리고 초량왜관의 도시로서 부산은 15세기 초 이래로 한일 외교관계의 중심지였다. 그렇게 때문에 이미 오래전부터 부산에는 해상 국제교류를 위한 항만시설이 발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양에 관련된 역사자료가 부족하고 기초연구가 미비하여 올바른 역사를 정립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 들어서 부산해관 고문서의 번역이 마무리 되었고, 초량왜관 관련 고지도들을 집성한 자료가 편찬되면서 보다 객관적인 부산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고지도와 문서들을 통하여 오래된 국제 항구도시 부산의 초량항에 초점을 두고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한국 古(고)해도 연구의 현황과 전망

  • 박계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50-52
    • /
    • 2022
  • 근대화 과정에서 바다에 대한 지식을 가진 국가는 제국을 이루었음을 볼 때, 바다에 대한 지식 획득이 근대화로 가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은 후기에 들어 해방도 작성 등 바다에 대한 나름대로의 지식을 축적하였으나, 서양의 근대 해도 기술의 수용이 부족하여 우리 바다에 대한 지식을 열강과 일본에 빼앗겨 근대화에 실패하였다. 왜 우리는 바다에 대한 지식 획득에 뒤처졌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바다 지식의 결집체라 할 수 있는 전근대 고지도의 변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단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도의 특성이 포함된 고지도를 해도의 범주로 수용하기 위해 古(고)해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관련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그 한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고해도의 개념과 범주의 틀을 제안하고, 이 틀로 한국의 고해도 분석을 통해 고해도의 연구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플렉소 고지가 혼입된 신문고지의 중성 탈묵

  • Ryu, Hun;Lee, Ha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7-27
    • /
    • 2001
  • 탈묵 펄프는 자원재활용을 통한 환경 보존과 원가절감이 가능한 유용한 제지원료로 주로 신문용지와 화장지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문고지의 상당 부분을 수입 에 의존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도 자국의 자원 및 환경보호를 위해서 재활용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고지의 품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이는 다시 국내 신 문용지의 품질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부각됨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탈묵 방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로 수입되는 신문고지 에는 오프셋 인쇄물 뿐만 아니라 플렉소 인쇄물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문인쇄에 널리 쓰이는 오프셋 잉크는 기존의 알칼리 해리와 부유부상법에 의해 제거가 비교적 용이한 특정이 있으나, 플렉소 잉크는 친수성 안료로 구성되어 있어 알칼리 조건에서 탈묵할 경우 에 잉크 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져서 부상 탈묵에 의한 백색도 증가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플렉소 인쇄물의 탈묵 개선을 위해 세척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 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설비 및 공정 상황으로 비추어 볼 때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플렉소 고지가 함유된 신문고지의 탈묵 효율을 향상시키고 환경친화적 탈묵 기술을 접목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중성 탈묵기술의 적용 가능성 및 이에 효과적인 탈묵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알칼리 조건과 중성조건에서 탈묵을 실시하여 탈묵 효율을 비교하였다. 또, 플렉소 고지를 이용할 때 심각 한 문제점의 하나인 백수의 오염 정도를 탁도 COD 등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성조건 과 알칼리 조건에서 수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백색도는 중성 조건에서 탈묵한 경우에 약 1 1% 높았다. 백수의 탁도와 COD는 중성 탈묵을 실시할 경우가 알칼리 탈묵시보다 약 50% 감소하여 플렉소 고지의 탈묵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렉소 고지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플렉소 고지의 중성 탈묵에 적합한 새로운 탈묵기술을 탐색하기 위하여 알킬 아민을 첨가하여 탈묵성을 조사하였다. 알킬 아민을 적용한 결과, 탈 묵 펄프의 백색도는 알칼리 탈묵에 비해 약 6% 증가하였으며, 백수의 탁도와 COD는 알칼 리 탈묵할 때 플렉소 고지를 첨가하기 전보다 낮아졌다. 탈묵 수율은 알킬 아민을 적용한 경우 최고 10% 정도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부상탈묵에 의한 회분 제거율은 알칼리 탈묵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탈묵 펄프의 여수도가 7 70%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Bibliographical Study on Traditional Korean Books Collected by the Library of Congress (미의회도서관소장 한국고전적의 서지적 연구)

  • 현영아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 /
    • pp.125-140
    • /
    • 2001
  • As an attempt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traditional Korean books scattered about in the world, this study has bibliographically analyzed first of all traditional Korean books as well as old Korean maps and atlases, and topography descriptions collected by L. C.. Traditional Korean books have been analyzed classified by subject, printing or manuscript, and the kind of edition.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compilation of geographical materials during the Chosun Dynasty has been studied. Especially on old Korean maps and atlases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ly. the foundation has been laid not only for the study on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raditional Korean books and old Korean maps and atlases but also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raditional Korean books in Korea with the ones collected by L.C.

  • PDF

A Study on the Place-Names in Old Maps of Andong-Bu (안동부 고지도의 유형별 수록지명 연구)

  • Bae, Mi-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3
    • /
    • pp.511-538
    • /
    • 2004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ames in old map of Andong-Bu mapped in Chosun Dynasty. A place-name is a linguistic expression whose function is to identify a topographic feature. The place-names in old map of Andong-Bu normally involve physical, administrative, military, economic, transport, and cultural features. The cultural place-names are more meaningful in Andong-Bu which was a center of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The generic place-names, including cultural place-names such as school, pavilion, temple, etc., served as indicators to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ndong in the past and present. A study on the place-names, using old maps, is regarded as advisable attempt in regional approach in geography.

  • PDF

A Study on the Beginning of Busan Aids to Navig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ld Pictorial Maps on Choryang Harbour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항로표지의 기원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11-518
    • /
    • 2014
  • The history of the Korean lighthouse have been known to be begun from which installed by the purpos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outside. Modern navigational aid system have configu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since the Incheon Palmido Lighthouse was built in 1903 as the first lighthouse in Korea. But in this regard i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carefully. Busan, as the city of international port and of Choryang Waegwan, had been a center of foreig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early 15th century. Because that reason, International port facility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go in Busan for example lighthouse, breakwater, wharf, jetty and so on. Nevertheless the lack of historical data and basic research related to the marine caused the proper history could not be established until now. In recently the basic translation of Korean Maritime Customs documents started to finish, and a compilation book of old pictorial maps on Choryang Waegwan was issued. As a result, more objective history of Busan Aids to Navigation can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