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정형 그리드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Computed Radiography에서 고정형 그리드와 이동형 그리드 영상의 인식률 비교 (Stationary and Moving Computed Radiography Grids : Comparative Observer's Perception)

  • 이기호;이창훈;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515-521
    • /
    • 2015
  • 고정형 그리드(stationary grid)에서 그리드 아티팩트(grid artifacts)와 모아레 아티팩트($moir{\acute{e}}$ pattern artifacts)로 인한 영상의 질의 저하와 이동형 그리드(moving grid)에서의 컷 오프 아티팩트(cut off artifacts)로 인한 영상의 질의 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CDRAD 팬텀(Phantom)과 두께 24 cm의 acryl Phantom을 촬영조건(X-ray exposure conditions)을 100 cm, 80 kVp, 30 mA로 하여 고정형 그리드와 이동형그리드에서 영상(X-ray imaging)을 획득하였다. CDRAD Analyser을 이용한 영상(X-ray imaging) 인식률(observer's perception)은 고정그리드에서 평균(mean) 49.36,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3.76, 최대값(max) 55.56, 최소값 38.67이었고 이동형그리드에서 평균 47.04, 편차 12.69, 최대값 55.56, 최소값 20.89이었다. 이동형 그리드보다 고정형 그리드가 인식률의 평균과 표준편차에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 스마트그리드 정책의 변천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Smart Grid Policy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 이점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1-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스마트그리드 정책 추진현황 및 문제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일본에서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전력수급 문제를 계기로 신재생에너지의 고정가격매수제도가 도입되고, 나아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거래하는 분산형 그린 전력매매 시장을 설립하는 등 에너지 위기와 환경문제를 동시 해결하는 하나의 솔루션으로서 스마트그리드 관련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실행되었다. 그 결과 피크전력 억제 및 CO2 삭감효과,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에너지 수급의 안정적 확보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현행 일본의 스마트그리드 정책 운영상의 개선과제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의 도입(송배전망의 광역적 운용이나 대형 축전지 도입 등), 스마트그리드 관련 자국기술의 국제표준, 추진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성 강화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비선형 부하 연결시 마이크로그리드 인버터의 고조파 보상을 위한 출력 전압 제어 방식 (Inverter Output Voltage Regulation for harmonic compensation with non-linear load connection)

  • 임경배;최재호;장주영;문상호;김재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2-553
    • /
    • 2014
  • 본 논문은 인버터 독립운전모드에서의 출력 전압 제어 방식을 다루고있다. 본 논문은 계통 연계 모드와 독립 운전 모드간의 모드 절환이 가능한 계통 연계형 인버터 출력단에 비선형 불평형 부하 연결시 발생하는 출력전압 왜곡현상에 대처하기위해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PI 제어를 이용한 방식을 대신해 고정좌 좌표계 또는 abc natural 프레임 하에서 사용되는 PR 제어를 사용하여 고조파 보상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계통 연계 모드시 외부 PR 출력 전류 루프와 내부 PR 출력 전압 루프를 가지는 제어기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제어 방식이 계통 연계 모드의 출력 전압 THD 성능개선에 효과적임과 동시에 또한 모드 변환시의 동특성을 좀더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 PDF

관전압과 관전류량 변화에 대한 가상 그리드 소프트웨어(VGS) 화질평가 (Evaluation of Virtual Grid Software (VGS) Image Quality for Variation of kVp and mAs )

  • 공창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25-73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 그리드 소프트웨어(VGS)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방법으로 이동형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VGS를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Without-VGS)로 구분하여 에너지와 피사체 두께에 변화를 주고 흉부 팬텀과 대퇴부 팬텀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SNR과 CNR을 분석하여 VGS의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흉부 팬텀과 대퇴부 팬텀에서 관전류는 2.5 mAs로 고정하고, 관전압을 60 ~ 100 kVp에서 10kVp 씩 변화하여 X선 조사한 후 SNR과 CNR을 측정한 결과 흉부 팬텀에서 S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약 1.09 ~ 8.86% 높게 나타났고, C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4.18 ~ 14.56%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퇴부 팬텀에서는 SNR이 Without-VGS 보다 VGS에서 약 9.78 ~ 18.05% 높게 나타났고, C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21.07 ~ 44.44% 높게 나타났다. 흉부 팬텀과 대퇴부 팬텀에서 관전압을 70 kVp로 고정하고, 관전류량은 2.5 ~ 16 mAs에서 각각 변화하여 X선 조사한 후 SNR과 CNR을 측정한 결과 흉부 팬텀에서 S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약 1.49 ~ 11.11% 높게 나타났고, C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4.76 ~ 13.40%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퇴부 팬텀에서는 S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약 2.22 ~ 17.38% 높게 나타났고, CNR은 Without-VGS 보다 VGS에서 13.85 ~ 40.46%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Without-VGS 보다 VGS를 사용할 때 SNR과 CNR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동형 X선 촬영장치로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 이동형 그리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VGS를 사용함으로써 좋은 영상의 화질을 얻을 수 있어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고, 이동형 X선 장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고정자 발전기의 영구자석 형상 최적화 설계 (Optimal Design on Permanent Magnet Shape of Dual Stator Type Generator)

  • 이경찬;유진형;정태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62-1063
    • /
    • 2015
  • 오프 그리드 형태의 소형풍력발전기는 도심지 또는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 설치되므로 소음, 진동, 안전성 등에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풍력발전기 내부적으로 소음 및 진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코깅토크로 발전기 회전자가 회전할 때 고정자 슬롯과 회전자 영구자석 사이 공극 릴럭턴스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코깅토크는 풍력발전기의 초기 기동 풍속에 영향을 미치며, 토크리플 증가의 원인이 되어 코깅토크 저감 설계는 소형풍력발전기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계획법을 진행하여 이중고정자 발전기의 영구자석 형상 최적화 설계를 통해 코깅토크를 저감 설계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발전기 출력 전압 고조파 발생을 저감시켰다.

  • PDF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률 향상 기법 (Data Transmission Rate Improvement Scheme i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for Smart Grid)

  • 김요철;배정남;김윤현;김진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B호
    • /
    • pp.1183-1191
    • /
    • 2010
  • 본 논문은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적응형 OFDM CP 길이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수신단의 CP controller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과 지연된 동일 데이터 프레임을 상관 처리를 취함으로써 채널 지연 정보를 계산한 후, 즉시 그 정보를 송신단에 피드백 한다. 그 다음, 송신단에서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CP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Impulsive noise 모델로서, Middleton Class A 간섭 모델을 사용하였고, 성능은 패킷 전송률과 누적 패킷 전송률, 비트 오류율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패킷 수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감소된 비트 양)이 커지지만, branch 수($N_{br}$)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 폭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_{br}$ 이 3, 5, 10인 경우, 적응형 CP 길이 알고리즘과 고정된 CP 길이 기법의 BER 성능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고정 CP 길이 기법과 비교하여 BER 성능 감소 없이 데이터 전송률 증가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자성 분말코어를 적용한 축방향 영구 자속형 전동기 설계 (Design of Axial Flux Permanent Magnetic Motor Using Soft Magnetic Composite Core)

  • 최명욱;양승진;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07-61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전기 자동차 응용을 위해 연자성 분말 코어가 있는 새로운 축방향 자속 영구자석 모터를 제안한다. 권선 및 연자성 분말 코어는 매우 조밀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므로 토크 밀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우수한 자속 집중 능력을 얻기 위해 두 대의 토로이드형 내부 고정자형 모터가 설계 및 분석되었으며, 설계된 모터에는 고성능 전기자동차 애플리케이션 적용을 위해 네오디움 자석이 사용되었다. 3차원 유한 요소 방법은 전자기 매개변수 및 성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성능 비교를 위해 상용 축방향 자속 영구자석 모터가 사용되었다. 제안된 모터는 기존 구동모터에 비해 약 5.8% 무게가 가벼워지고 약 8Nm 정도 높은 토크를 생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