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전압 기기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93 seconds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high voltage and capacitance capacitor (고전압 고용량 커패시터 제작 및 특성)

  • Ma, Hong-Chan;Lee,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190-190
    • /
    • 2009
  • 전자산업에의 필수인 커패시터는 소형화, 저저항, 고전압을 향한 추세가 늘고 있으며, 이외에도 고전압 전원, 고전압 회로 등 중전기기에 필요한 고전압, 고용량 커패시터가 사용되고 있다. 중전기기에 사용되는 커패시터는 기기에 따라 틀리지만 내전압이 보통 10kV 이상이고 정전용량이 500pF 안팎이며,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Nb_2O_5$를 2mol% 첨가한 $BaTiO_3$를 일반적인 고상 소결법으로 제조하고 성형 시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binder 및 plasticizer를 사용하였으며, binder 첨가량에 따른 성형밀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binder양을 선택하였다. 성형 밀도가 떨어짐에 따라 절연파괴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성형 밀도를 높이기 위해 CIP를 하였으며, 소결후 capacitance와 d-factor를 측정하여 수치가 허용 범위에 들어 올 경우 전극을 형성하고 표면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epoxy로 표면코팅을 하였다. DC 60kV용 Hi-pot tester를 사용하여 15kV까지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내전압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제조 된 커패시터 중 몇 개의 sample을 SEM 및 XRD를 사용하여 미세구조와 결정상을 조사하였다.

  • PDF

High Voltage Measurement using Fiber Interferometric Sensor (위상변조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고전압 측정)

  • Kim, Kwang-Soo;Jeon, Jin-Hong;Jung, Jun-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2037-2039
    • /
    • 2004
  • 고전압 전력기기분야에 광섬유 전압센서를 적용해보고자하는 연구는 20여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가 간편한 광섬유 패브리페로 간섭계를 이용한 고전압기기 적용형 전압센서가 시도되었다. 신호변환은 정전력을 이용하여 전압의 변화를 광섬유스트레인센서로 검출하며, 해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공진기의 길이를 1cm, 위상을 스캐닝하는 변조방법을 적용하였고, 교류전압 1000V까지 적용 타당성을 시험하였다.

  • PDF

Study on the AC voltage dielectr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metal structures in a grounded electrode (접지측 금속구조물의 형상에 따른 AC 전압의 절연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Na, Jin-Bae;Nam, Seok-Ho;Kang, Hyoung-K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66-1567
    • /
    • 2011
  • 일반적으로 배전반과 변압기와 같은 고전압 전력기기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외부 환경에 의한 열화특성뿐만 아니라 전력기기 내부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절연적 특성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고전압 전력기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한 내부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접지부에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 볼트와 같은 구조물을 위치시키고 그에 따른 절연파괴전압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전극 간격에 대한 AC 전압의 특성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절연파괴전압은 접지측에 위치한 볼트의 형상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고전압 전력기기를 설계 및 제작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n the Computerizing Assessment System Model for the Diagnosis Data of High-Voltage Motors (고압 유도 전동기 절연진단 데이터 관리 전산화 모델 개발)

  • Chae, Ji-Seog;Lee, Eun-Chun;Lee, Jong-Seok;Ham, Dong-Young;Heo, Seon-Gu;Yun, Suk-Jun;Choi, J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00-1201
    • /
    • 2015
  • 고전압 전력설비 진단은 기기의 열화 상태를 측정하여 이상 사고를 미리 예측하여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고전압 전력설비의 유지관리 방안은 일정 시간 경과후 보수하는 개념(TBM: Time Based Maintenance) 이후 설비의 상태를 진단하여 유지보수 방안을 결정하는 개념(CBM: Condition Based Maintenance)으로 진보해 감에 따라 전력설비의 상태진단 기술의 중요성은 증대될 전망이다. 고전압 전력설비의 절연진단은 직류시험(절연저항, PI)과 교류시험($tan{\delta}$, PD)이 실시되며 과거 진단 데이터의 추세분석을 통한 정확한 상태진단이 요구되고 있다. 고압 유도 전동기 절연진단 데이터 관리 전산화 모델은 고전압 전력기기(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케이블 등)의 절연진단 및 유지보수 이력에 관한 자료들을 저장, 조회 및 검색을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거 이력조회, 추이분석, 진단 데이터의 분석기법을 통한 전력기기의 상태평가로 합리적인 개 대체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유입식 변압기의 절연유 가스분석 알고리즘을 전산화 하여 10종 가연성 가스에 따른 Gas Pattern 평가로 고장 원인, 현상 및 조치 등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로 고전압 전력설비 진단기술과 IT기술의 융 복합 기술로서 고전압 전력설비의 유지관리 기술을 한 차원 더 진보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ultrasound analysis of the transformer strange signal (변압기 이상음의 초음파 분석에 관한 연구)

  • 백화종;지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35-838
    • /
    • 2002
  • A running high voltage equipments produce ultrasonic wave that has unique sound b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ity. The generation of the ultrasonic wave is made by the electric transform like arcing, corona, and tracking so on. The mechanical losses and fatal human damages are happened by the electric failure of high voltage equipments. To prevent and diagnose the obstacle factors of the high voltage equipments, the measurement of the ultrasonic wave became to be prominent. However standardized data have been a deficient situation by now. This paper measures the ultrasonic wave coming from the real running transformer equipments and transforms it as an audio frequency. Measured data represents as frequency and time domain through the FFT(Fast Fourier Transform) transform.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ndardize the analyzed data.

  • PDF

Immunity of Electronic Equipments Against Potable High Voltage Generator (휴대형 고전압 발생기에 대한 전자기기의 내성)

  • Lee, Jong-Ig;Yeo,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61-62
    • /
    • 2017
  • In this study, we introduce some main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of a recently commercialized potable compact high voltage generator. USB killer has been designed to test surge protection circuitry of electronic equipments using USB ports. USB killer transforms 5V DC power supplied by USB port into a sufficiently high voltage over 200V DC through oscillator, transformer, voltage multiplier, and rectifier. The power charged in a high-capacity condenser can be applied back into the electronic equipments as an electric shock to destroy them or test protection circuits. USB killer is a readily available item, and one can test a variety of electronic equipments. We introduce some test results known over the internet and those obtained from our tests.

  • PDF

고전압 측정기술

  • 길경석;이복희;하성철
    • 전기의세계
    • /
    • v.46 no.8
    • /
    • pp.41-46
    • /
    • 1997
  • 최근 가스절연변전소와 같은 컴팩트화된 전력설비의 사용으로 과도전압 및 충격전류의 측정시 오차를 유발시키고 장해를 가져오는 요인 중에서 가장 현저한 것은 전자계 현상이며, 이에 대한 대책과 장해의 제거방법이 검토되어야만 한다. 또한 전력기기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과도전압과 충격전류는 진행파로서 작용하여 발생지점과 측정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종래의 저항분압기, 용량성분압기로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의 과도적 현상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필요하다. 다음의 3가지 고전압 측정기술은 피측정대상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제안된 것으로 측정응답을 개선하고 전자계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 PDF

변압기의 열화기구 및 수명평가(상)

  • 류휘석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77 no.5
    • /
    • pp.34-42
    • /
    • 1997
  • 최근 송, 변전 및 발전기기는 고전압 대용량화 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단위 용량이 증가됨으로서 1대의 기기고장이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져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