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장형태영향분석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저궤도 상용위성의 시스템 수준 FMECA

  • Lee, Chang-Ho;Cho, Young-Ju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71-78
    • /
    • 2005
  • The purpose of FMECA is to identify parts and design whose damage can effect the mission performance and to improve the spacecraft design using these data. In consequence of this analysis, each failure mode which can be happened during operation and manufacturing period is identified, and their effects on mission performance are reviewed. In this technical report, the FMECA procedures and results for the satellite which is now under development are showed.

  • PDF

신뢰도 기반 정비를 위한 기기 고장 데이터 분석

  • 정현종;최광희;김영호;홍승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52-257
    • /
    • 1998
  • 국내 원전에 신뢰도 기반 정비(RCM :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기법을 도입하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영광 1,2호기 시법계통 RCM 분석에서 관련 기기의 고장데이터를 RCM 분석 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의뢰서와 작업보고서 기록내용을 토대로 지배적인 고장모드 및 다빈도 고장발생 기기를 파악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하였으며, 기기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장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배적인 고장모드는 EPRI에서 분류한 고장모드에 모두 포함되었으며, 고장빈도가 높은 기기의 고장원인은 운전환경, 사용유체, 운전형태, 기기 형식 등에 따라 고장메커니즘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기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장모드별로 고장율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Generic Data(IEEE Std 500-1984)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거나 약간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장율이 높은 기기 유형을 단위 기기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공기구동 조절벨브의 외부누설 고장율은 1.10E-06 이지만 충전유량 조절밸브의 고장율은 1.70E-05로서 약 10배 정도로 고장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기별로 세분화한 고장을 분석 결과는 시범계통 RCM 분석시 고장모드 영향분석(FMEA. Failure Mode and Effective Analysis) 단계에서 필수기기를 선정하는 하나의 인자로 활용하였으며, 고장율의 역수로 구한 고장간 평균시간(MTBF:Mean Time Between Failure)은 정비주기 선정시 기초데이터로 활용된다.

  • PDF

Field Data Collection and Failure Analysis for Durability Improvement (내구수명향상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및 고장률 분석)

  • Kim, Jong-Hwan;Jung, W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5
    • /
    • pp.107-1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reliability estimation process of agricultural machinery components using field failure data. Estimating the durability is a time-consuming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Using the field data of tractor, failures for major parts are investigated and databases are developed. Accelerated life test using the stress analysis could improve Weibull B10 considerably. This estimation process is useful for preparing the design input and planning the durability target.

Electromagnetic Force Analysis for 154kV Underground Cable by Fault Current (고장전류에 의한 154kV 지중케이블의 작용 전자력 해석)

  • Jang, Tae-In;Park, Hung-Sok;Kang, Ji-Won;Yoon, Hyung-Hee;Hong, Dong-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87-188
    • /
    • 2008
  • 본 논문은 지중송전케이블 사고 시 수반되는 고장전류가 케이블에 미치는 전자력 영향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지중송전선로는 도심지 및 인구밀집 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에 필수불가결한 송전방식이나 전력구 등의 제한된 설치 공간으로 인하여 최대한 밀집배치 되므로 고장 시 고장전류에 의한 전자력의 상호작용이 가공선로에 비하여 매우 커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문에서는 전력구내 포설 형태와 고장상황에 따른 케이블 상호간 작용 전자력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전자력 영향 감소 및 해소를 위한 지지용 금구류 등의 개선 및 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Hazard Factor of Packaged Hydrogen Station by Failure Mode & Effects Analysis (패키지형 수소충전소의 고장형태별 영향 분석)

  • SEO, DOO HYOUN;RHIE, KWANG WON;KIM, TAE H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31 no.1
    • /
    • pp.65-72
    • /
    • 2020
  •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risks of the facilities of packaged hydrogen stations. As a risk identification method,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FMEA),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was used to analyze failure mode and effects of component of each facility. The analysis criteria were used to derive the risk priority number (RPN) using the 5-point method according to severity, incidence, and detectability.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141 components of 23 types that can be identified on the design of the packaged hydrogen filling station. As a result, 683 types of failures and their causes and effects were identified. and the RPN was number of a total of 1,485. Of these, 10 failure types with a RPN value of 40 or more were deemed necessary. In addition, a list of failure types with a severity score of 5 was identified and analyzed.

A Study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Belt Type Door System using FMECA (FMECA 적용을 통한 벨트식 도어시스템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An, Cheon-Heon;Lee, Do-Sun;Son, Young-Jin;Lee, Hi-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1
    • /
    • pp.58-64
    • /
    • 2010
  • As a modem urban train is getting complex in terms of high-technology in its systems and components, the failure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with scientific and systematic technique. FMEA is a technique to analyze the failure trends of component parts and influences to the higher level system in order to discover the design incompleteness and potential defects, which is for improving reliability. Especially, FMECA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is used in case that the criticality that has an immense influence to the system is important. In case of urban train, in its design and manufacturing steps, FMEA is frequently used as an analysis technique to meet the safety objectives and eliminate potential hazards/failures since the concepts of reliability of train is introduced these days. Though, FMEA technique in the maintenances steps lacks in its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s yet. FMEA is also not applied to the trains operated by Seoul metro in the design and manufacture steps excepts the newest trains. In this paper, through analyzing the failures/maintenance data of the belt-type door systems used in trains operated in Seoul metro Line 1, which is accumulated in RIMS (Rolling-stock Information Maintenance System), FMEA procedures to the belt-type door engines are proposed. Especially, an effort is made, to approach the detailed FMECA procedures to the door magnet valve and switch and door engine devices which vastly influences the customer safety and satisfaction.

Design for Reliability of Air-Launching Rocket, MirinaeII Using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FMEA를 통한 공중발사 로켓, 미리내II의 신뢰성 설계)

  • Kim, Jin-Ho;Bae, Bo-Young;Lee, Jae-Woo;Byun, Yung-Hwan;Kim, Kyung-M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12
    • /
    • pp.1193-1200
    • /
    • 2008
  • The procedure of design for reliability which consists of reliability analysis and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FMEA) is established and reliability assesment is performed for the nano-satellite air-launching rocket, Mirinae II. By means of using the reliability analysis result, the feasibility to insert the Mirinae II to the target orbit for given mission time under operating environment is assessed. During the reliability analysis process, the system is categorized by Work Breakdown Structure(WBS), and reliability structure is defined by both Reliability Block Diagram(RBD) and schematics of the system. FMEA is used to determine the risk priority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The target reliability is satisfied by changing the design of components and parts with high-risk, hence the design for reliability to put the satellite in to the target orbit safely has been performed.

Study for Transient Pulse Radiation on pMOSFET (pMOSFET의 과도펄스 방사선 영향 연구)

  • Lee, Hyun-Jin;Oh, Seung-Chan;Lee, Nam-Ho;Lee, Min-Su;Lee, Yo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98_1699
    • /
    • 2009
  • 핵폭발 등에서 방출되는 과도펄스(Transient pulse) 형태의 방사선이 반도체 소자에 조사되면 소자 내부에서는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전하가 생성된다. 이 전하들이 일정방향으로 증폭된 광전류가 소자의 고장과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극단적으로 소진(Burn out)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도방사선 펄스가 입사하였을 때 pMOSFET 소자 내에 생성되는 전자 정공 쌍(EHP)으로 인해 형성되는 광전류가 소자의 방사선 피해로 나타나는 과정 및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반도체 공정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전하들의 거동과 광전류 크기를 시뮬레이션하고, 전자가속기에서 실측시험을 병행하였다. 가속기 주변의 전자장을 인한 큰 잡음으로부터 가속기 펄스신호에 의해 pMOSFET에서 발생된 소신호의 광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밀 신호처리 회로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측시험에서의 결과 비교/분석에서 두 광전류 파형은 유사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Fault-Tolerant Schemes for the Rapid Thermal Processor Using DES modeling Techniques (DES 모델링을 통한 고장포용 기법의 Rapid Thermal Process에의 적용 방안 연구)

  • Shim, Yeung-Tae;Lee, Seuk-Joo;Kim, Hag-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b
    • /
    • pp.624-626
    • /
    • 1999
  • 실제 공정상에서는 웨이퍼에 열을 가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여러 공정도중에도 다양한 종류의 예측 불가능한 고장 또는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고속열처리장비(RTP)의 throughput과 수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RTP 공정의 일부분뿐만 아니라 전체 공정에서의 장비의 상태변화를 기반으로 성능인자를 향상시킬 수 있는 modeling기법의 구축이 절실하다. 각각의 에러 수준과 발생 빈도에 의해서 시스템의 동작과 성능이 결정되며 높은 신뢰도(reliability)가 요구되는 시스템일수록 필수적으로 모든 부분의 기능 및 동작상태를 고려한 모델링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스템의 많은 부분은 분석 및 실험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상태 방정식을 구할 수 없으므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상태변화 또한 전체 모델링에 포함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DES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RTP의 동작 운용상태를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성능평가를 하고, 이를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주된 연구내용으로 한다.

  • PDF

정성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화력발전소 보일러 프로세스의 고장진단

  • 김응석;오영일;변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69-169
    • /
    • 1999
  • 최근 산업 플랜트의 공정제어 시스템은 복잡하고 대규모화되어 고장 발생시 경제적 손실과 위험성이 증폭되어 규정된 안정서와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고장검출 및 진단기법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연구하는 것으로 현대에 들어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실제 계통에 점차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고장검출 및 진단기법은 사용된 프로세스 모델의 형태, 고장검출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된 모델에 따라 크게 1) 정량적 모델에 근거한 해석적 기법, 2) 정성적 모델에 근거한 기법, 3) 지식기반 진단 기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중 정량적 모델 기법은 대상계통의 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운전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고장검출 진단을 수행하는 해석적 기법으로서 근본적으로 계통의 정확한 수학적 모델을 요구하므로 불확실성을 포함한 계통 및 비선형성이 강한 계통등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정성적 모델 및 지식기반 기법은 정량적 진단 기법과는 달리 대상 프로세스에 대한 수학적 모델 대신에 운전자의 경험과 프로세스 변수간의 상호 작용 및 고장의 전파과정, 고장원인과 증상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구조적 지식에 근거한 것으로 고장원인에 대한 계통의 동작을 추론 할 수 있으며, 상황 변화에 따른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모델 및 지식기반 기법에 근거한 고장검출 및 진단 기술을 화력 발전소 보일로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정성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설비의 고장을 조기에 발견하여 고장 파급으로 인한 발전 정지 및 설비의 손상 확대를 방지하고 고장 발생시 신속한 원인 규명 및 후속 조치관련 정보들을 운전원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현재 전력원에서 개발중인 지능형 경보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부딛힘이 없이 공존하고 일상의 논리가 무시된다. 부정, 의심이 없고 확실한 것이 없다. 한 대상에 가졌던 생각이 다른 대상에 옮겨간다(displacement). 한 대상이 여러 대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condensation). 시각적인 순서가 무시된다. 마음속의 생각과 외부의 실제적인 일을 구분하지 못한다. 시간 상의 순서가 있다가 없다가 한다. 차례로 일어나야 할 일이 동시에 한꺼번에 일어난다. 대상들이 서로 비슷해지고 동시에 있을 수 없는 대상들이 함께 나타난다. 사고의 정상적인 구조가 와해된다. Matte-Blance는 무의식에서는 여러 독립된 대상들간의 구분을 없애며, 주체와 객체를 하나로 보려는 대칭화(symmetrization)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생긴다고 하였다. 또 대칭화가 진행되면 무한대의 느낌을 갖게 되어, 전지(moniscience), 전능(omnipotence), 무력감(impotence), 이상화(idealization)가 나타난다. 그러나 무의식에 대칭화만 있는 것은 아니며, 의식의 사고양식인 비대칭도 어느 정도 나타나며, 대칭화의 정도에 따라, 대상들이 잘 구분되어 있는 단계, 의식수준의 감정단계, 집단 내에서의 대칭화 단계, 집단간에서의 대칭화 단계, 구분이 없어지는 단계로 구분하였다.systems. We believe that this taxonomy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ecause it adds clarity, completeness, and "global perspective" to workflow architectural discussions. The vocabulary suggested he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