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장모드 및 영향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모니터의 시장불량률 감소를 위한 신뢰성 시험법 개발

  • 김준홍;권수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9-174
    • /
    • 2000
  • 사용환경에서 발생하는 PC 모니터의 고장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Power On/off, DPM 모드, 사용전압, Surge 유입, Torque 강도 등의 인자에 대해 여러 가지수준으로 직교배열표에 의해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시험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제품설계 및 신제품 개발에 이용하였다. 실험결과와 SN 비 계산에 의하면 모니터 수평출력 TR의 고장에 대한 요인은 Mode 절환, Torque, h$_{FE}$ 산포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IQC에서의 부품시험법, Torque 관리, TR 설계 Spec 변경을 제안하였다.

  • PDF

Modeling and Operation Analysis of $NiH_2$ Battery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 (다층신경회로망을 이용한 $NiH_2$ 전지 모델링 및 동작상태분석)

  • 최재동;황영성;이학주;성세진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4 no.2
    • /
    • pp.192-200
    • /
    • 1999
  • 위성의 전지는 위성의 수명과 직접적인 영향을 갖고 있으며 이것의 정상동작여부에 따라 위성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여부가 결정된다. 상대적으로 일반화된 셀 모델링의 최근 개발은 NiH2셀의 동특성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리에 기반을 둔 접근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정식을 통해 비선형성과 전력상태를 포함하는 전지 특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비선형 특성를 갖는 니켈-하이드로진 전지 특성을 모델링 하였으며, 모델링된 상수값은 위성의 식시간 동안의 전지 전력상태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모델링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니켈-하이드로진 전지시험결과 분석자료와 비교 검토 되었다. 전지 동작모드는 정상동작모드와 실패모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정상동작모드는 위성의 식시간 동안 아크젯 동작 여부에 의해 각각 분석되었으며, 또한 태양전지와 배터리 셀 일부의 고장으로 인한 실패모드에서의 전지전력상태가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Failure and Life Assessment of High Speed Spindle (고속주축의 고장 및 수명평가에 관한 연구)

  • Lee, Tae 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1 no.1
    • /
    • pp.67-73
    • /
    • 2014
  • A reliability evaluation or prediction can be defined as MTBF which stands f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Exclusively for repairable failures). Spindle system has huge effect on performance of machine tools and working quality as well as is required of high reliability. Especially, it takes great importance in producing automobiles which includes a large number of working processes. However, it is unusually difficult to predict reliability because there are lack of data and research about reliability of spindle system. Standards and methods of examinations for reliability evaluation of machine tools are scarce at local and abroad as well.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pindle system before mass produced with developing standards of reliability and methods of examinations through FMEA to assess reliability of spindle system in prototype stages of developing high speed spindle system of machining center.

결함주입기법을 이용한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방안

  • Lee, Dong-U;Ryu, Dae-Hyun;Na, Jong-Hwa
    • Review of KIISC
    • /
    • v.24 no.2
    • /
    • pp.50-55
    • /
    • 2014
  • 자동차 전장제품 활용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2 안전설계절차를 도입하여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SO 26262는 자동차에서 발생 가능한 비정상상태(abnormal state)를 식별하고 그의 영향을 분석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전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연동되는 복잡한 시스템의 안전 검증은 결함수목법과 고장모드영향분석법을 활용하는 위험분석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결함주입시험은 이러한 위험분석의 기반도구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고장감내 기능의 동작여부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장감내 메카니즘들의 기능과 안전을 검증하는 방법과 사례를 소개한다. 최근의 복잡한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은 상위수준의 모델을 개발하여 지정된 위험 및 고장을 초래하는 결함을 시스템에 주입하고 그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을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개발 목표 차량의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식별된 결함의 결함모델을 준비한 뒤, 시스템 모델 기반 결함주입 도구를 이용하여 결함주입을 수행하는 시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하드웨어는 SystemC 하드웨어 설계언어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실행화일을 확보하여 시험대상인 결함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대상으로 결함주입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Fault Signal Analysis of the Automotive Components using Experimental Method, Part 1 - Consideration of the Engine Signals (실험적 방법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의 고장신호 분석, Part 1 - 엔진의 이상 신호 분석 위주)

  • Park, Sang-Gil;Park, Won-Sik;Lee, Hae-Jin;Hong, Woo-Gyoung;Oh,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238-242
    • /
    • 2007
  • 자동차의 고장은 그 종류나 특징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자동차의 진단과 점검에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 시간이 소요되며 운전자에 의한 정보를 기대하기 힘든 경우에는 진단이나 정비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일반적인 정보와 진동 소음센서에 의한 정보의 신호처리기술을 종합하여 자동차 부품의 이상 신호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정상 상태 대비 이상 신호에 따른 진동 소음 데이터 변화율을 계산하여 작동 모드 별 실내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 및 해당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정비 전문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엔진부의 이상 신호와 각 부품 별 이상 신호로 나누어 분석하여 데이터 처리 과정 및 이상 증상 별 경향 파악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 PDF

Fault Signal Analysis of the Automotive Components using Experimental Method, Part 2 -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 Signals (실험적 방법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의 고장신호 분석, Part 2. 부품별 이상 신호 분석)

  • Lee, Hae-Jin;Park, Won-Sik;Lee, You-Yub;Oh,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243-246
    • /
    • 2007
  • 자동차의 고장은 그 종류나 특징 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자동차의 진단과 점검에는 많은 노력과 비용, 시간이 소요되며 운전자에 의한 정보를 기대하기 힘든 경우에는 진단이나 정비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일반적인 정보와 진동 소음 센서에 의한 정보의 신호처리기술을 종합하여 자동차 부품의 이상 신호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정상 상태 대비 이상 신호에 따른 진동 소음 데이터 변화율을 계산하여 작동 모드 별 실내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 및 해당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정비 전문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엔진부의 이상 신호와 각 부품 별 이상 신호로 나누어 분석하여 데이터 처리 과정 및 이상 증상 별 경향 파악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 PDF

Measurement of a Diagnostic Coverage f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Board Using an FMEDA (FMEDA를 활용한 디지털 신호처리기 보드의 진단 유효범위의 측정)

  • Keum, Jong-Yong;Suh, Yong-Suk;Lee, Jun-Koo;Park, Je-Yun
    • Journal of Applied Reliability
    • /
    • v.8 no.2
    • /
    • pp.101-111
    • /
    • 2008
  • Good diagnostics improves both the safety and system unavailability of digital safety systems. The measure of a diagnostic capability is called the Coverage Factor. Because the Failure Modes, Effects and Diagnostic Analysis (FMEDA)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ailure rates and failure mode distributions necessary to calculate a diagnostic coverage factor for a component, the FMEDA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to calculate it. Through performing FMEDA on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board used in a digital safety system, it is shown that some components of the DSP board can be replaced or improved to satisfy the required diagnostic coverage. That is, the FMEDA can serve as a useful verification tool to design a diagnostic capability for the DSP board.

  • PDF

Reliability Prediction of Failure Modes due to Pressure in Solid Rocket Case (고체로켓 케이스 내압파열 고장모드의 신뢰도예측)

  • Kim, Dong-Seong;Yoo, Min-Young;Kim, Hee-Seong;Choi, Joo-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7 no.6
    • /
    • pp.635-642
    • /
    • 2014
  • In this paper, an efficient technique is developed to predict failure probability of three failure modes(case rupture, fracture and bolt breakage) related to solid rocket motor case due to the inner pressure during the mission flight. The overall procedure consists of the steps: 1) design parameters affecting the case failure are identified and their uncertainties are modelled by probability distribution, 2) combustion analysis in the interior of the case is carried out to obtain maximum expected operating pressure(MEOP), 3) stress and other structural performances are evalu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FEA), and 4) failure probabilities are calculated for the above mentioned failure modes. Axi-symmetric assumption for FEA is employed for simplification while contact between bolted joint is accounted for. Efficient procedure is developed to evaluate failure probability which consists of finding first an Most Probable Failure Point(MPP) using First-Order Reliability Method(FORM), next making a response surface model around the MPP using Latin Hypercube Sampling(LHS), and finally calculating failure probability by employing Importance Sampling.

Reli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for management of Substation Power Equipments (변전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신뢰성평가기술)

  • Sun, J.H.;Kim, K.H.;Hong, C.K.;Choi, V.C.;Shin, Y.S.;Lee,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5a
    • /
    • pp.90-93
    • /
    • 2006
  • 전력기기가 고급화, 복잡화, 고기능성을 요구하면서 고신뢰도 설계를 위한 신뢰성 기술이나 고장없이 일정기간동안 사용하기 위한 품질관리활동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시스템이나 이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해서 설계 및 보수기술에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평가를 기반으로하는 변전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이에 필요한 점검주기, 수명산출, 고장모드와 영향평가 등과 같은 신뢰도 평가기술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Design Review and Common-Cause Failure Modeling of mechanical Parts (기계류품 DR 및 공통원인고장 모델링)

  • 하영주;송준엽;이후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4a
    • /
    • pp.324-327
    • /
    • 2001
  • This paper shows an example of the Design Review and Common-Cause Failure (CCF) Modeling of mechanical Parts. Reliability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during the entire period of design. Design Review is the procedure to improve the reliability for the product. We proposed the reliability assessment and design review method. CCF Model is the general dependent model considering the failure mode effects several component simultaneously. This study considers the computation of the network with dependent components. It is important that CCF model is applied for mechanical p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