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장력 강판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자동차용 고장력강판의 성형성 및 집합조직 특성

  • Lee, Gang-No;Kim, Dong-Eun;Hwang, In-Seok;Mun, Man-B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36.1-36.1
    • /
    • 2009
  • 최근 각종 환경 규제와 자동차의 안전성 증대를 위해 고장력 자동차 강판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차량의 많은 강판 비중을 차지하는 외판재의경우 안전성과 경량화를 위해서는 고장력강판이 유리하지만, 일반적으로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형성이 감소되어 자동차 생산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용 고장력강판의 집합조직 제어를 통해 강도의 변화없이 성형성을 증대시키고자, 고장력 자동차용 강판의 집합조직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강판은 $\gamma$-fiber (ND//[111]) 조직이 증가할수록 성형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압연과 열처리등의 공정 조건에 의해 제어된다. 자동차용 고강도강판의 열처리는 연속소둔방식으로 행하였으며, XRD와 EBSD 등을 통한 집합조직과 기계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pot Weldability of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Two Stories Galvannea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고장력강판 및 2층아연도금된 고장력 강판의 점용접성에 관한 연구)

  • 신현일;강성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2 no.3
    • /
    • pp.56-62
    • /
    • 1994
  • The spot weldability of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two stories galvannea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s been studied. 1) Tensile shear strength decreased inversely as welding current increased over 12KA in the case of two stories galvannea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2) When heat flux input over 12KA, hardening region become narrow in case of two stories galvannea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3) The size of hardening region affect the strength of nuggets.

  • PDF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mper-Beams for High-Strength Steel Applications (고장력강판 적용을 위한 자동차 범퍼빔 구조성능의 기초연구)

  • Kang, Jong-Su;Song, Myung-Hwan;Lim,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6
    • /
    • pp.78-84
    • /
    • 2017
  • Consistent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weight of automotive parts by using lightweight materials. This has resulted in the replacement of conventional steels in car body structures with high-strength steels, and the current usage rate has reached 50%.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stiffness and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of bumper beams made of high-strength steels. New types of bumper beam cross sections are proposed.The structural stiffness and maximum bending force were computed via finite element analysis as about 25tons and 7.5tons/mm,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oposedcross sections. Dynamic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nergy absorption capabilities of the bumper beams, and the effects of materials and thickness reduction were analyzed. High-strength steel can be used to achieve weight reduction with comparable structural performance to conventional bumper beams.

TMCP 강재와 그 용접부의 강도특성

  • 김영식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2
    • /
    • pp.146-154
    • /
    • 1990
  • 수냉형의 Bo kg/$\textrm{mm}^2$1급 TMCP 고장력 강재를 중심으로, 이 강재 모재의 기계적 특성 및 용접부의 각종 사용특성에 관해 종래의 압연제법에 의한 동일강도레벨의 고장력강판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이 강재의 유효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MCP 고장력 강판은 탄소당량이 낮고 결 정립 미세화가 달성되기 때문에 파괴인성이나, 용접부의 내외화, 내용접균열성 면에서 탁월한 특 징을 가지나 용접조립시 용접열사이클로 인한 연화현상 때문에 용접부의 사용특성이 문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조건이나, 강판의 강도, 화학성분의 배려, 선택에 따라 실용상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음이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TMCP강은 조선용 소재뿐만 아니고, 북해, 북극해와 같은 한냉빙해역의 가혹한 환경에서 작동되는 해양구조물용이나 라인 파이프용 소재 로서도 그 활용이 확대되어 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rend in development of cold-rolled steel sheets for automotive application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개발현황 및 동향)

  • 정우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5
    • /
    • pp.12-23
    • /
    • 1996
  • 승용차용 소재로 사용되는 철강재료의 구성비율은 국가별, 차종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표현하기는 곤란하다. 일본의 경우 열연강판, 냉연강판, 내식성 확보를 위해 냉연강판의 표면에 여러가지 종류의 도금을 한 표면처리강판등의 보통강판이 약 76%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고탄소강, 고합금강, 스테인리스강, 스프링강, 베어링강 등의 특수강재와 주철이 차지하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승용차 차체용 소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연강판을 중심으로 냉연강판의 제조공정, 연진 냉연강판을 중심으로 냉연강판의 제조공정, 연질 냉연강판의 개발현황과 개발방향, 인장강도 35kgf/$min^{2}$이상의 냉연강판을 의미하는 고장력 냉연강판의 개발현황과 개발방향을 소개한후 현재 세계철강협회(IISI) 주관으로 범세계적으로 추진중인 초경량 자동차 차체(ULSAB, Ultra Light Steel Auto Body)제조를 위한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설명을 통해 경량재료에 대한 철강업체의 대응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eismic Tests of Steel Beam-to-column Moment Connections with Inclined End-plate Beam Splice (경사단부강판 보 이음을 갖는 강재 보-기둥 모멘트접합부의 내진실험)

  • Lim, Jong Jin;Kim, Dong Gwan;Lee, Sang Hyun;Park, Choul Soo;Lee, Chang Nam;Eom, Tae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9 no.2
    • /
    • pp.181-192
    • /
    • 2017
  • A beam splice method using inclined end-plates and high-strength tension bolts was developed. The end-plates welded to a bracket and a spliced beam are connected each other by using the tension bolts. In the present study, six exterior beam-to-column moment connections we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est parameters were the end-plate details and bolt arrangements. All specimens were designed so that moment resistances of the end-plates and bolts were greater than the required moment at the beam splic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methods of AISC Design Guide 4. Test results showed that in the beam splices with the extended end-plates, the beam moment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bracket, without any defeats such as excessive prying action of the end plates and brittle failure at the end plate-to-beam flange weld joints. However, the deformation capacities of the overall beam-to-column connections were limited due to the brittle failure of the beam-to-column flange weld joints. From the test results, recommendations for seismic design and detailing of the beam-to-column moment connection with inclined end-plate beam splice were given.

Effect of variation with heating pattern on the galvanizability of high strength steel (열처리 온도 및 시간 변화가 고장력강의 도금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Min-Seo;Baek, Du-Hyeon;Sim, Yeong-Jun;Im, Hu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174-174
    • /
    • 2013
  • 현재 자동차 강판 시장에서는 승객들의 안전 확보와 연비 향상을 위하여 자동차 강판의 경량화 및 고장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소비자는 더욱 아름답고 멋있는 외관을 추구하면서 정교한 디자인이 가능할 수 있도록 높은 성형성을 갖는 강판에 대한 요구도 또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강도와 성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DP형, TRIP형 등의 다양한 컨셉을 갖는 변태강화형 고장력강에 대한 개발 요구가 점점 심화되고 있으나 이들 고장력강의 상 제어를 위하여 첨가된 Si, Mn등의 성분들이 표면에 안정한 산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장력강은 표면 품질이 열위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열처리중 표면으로 확산되어 올라오는 Si, Mn 산화물의 저감을 위하여 분위기 중 산소농도나 노점등을 조절하거나, 산화전처리, 선도금처리 등을 통하여 Si, Mn 의 표면 선택산화를 제어하여 도금 결함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강판 표면에서의 산화/환원의 반응에 대한 분위기 요인을 제어하는 연구들이며 실제 Si, Mn등의 산화성 원소들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떠한 경로들을 통해서 이동하여 표면으로 올라오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성 원소들의 표면 확산 거동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열처리 온도 조건을 통한 표면 도금성 경향, 합급화 경향 및 표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확산 거동에 대한 경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 PDF

Fatigue characteristics of spot welding between high strength steel and galvanized steel sheet (고장력 강판과 아연도금 강판문의 점용접 피로특성)

  • 서창민;강성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4
    • /
    • pp.747-754
    • /
    • 1988
  • High strength steels (HS) of dual phase and monogalvanized steel sheets (GA ; plated plane, GAB ; bare plane0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atigue strengths of four kinds of single-spot-welded joint specimen under tensile-shear repeated load. The specimen is classified as the same mating metal specimen (HS*HS, GA*GAB) and different mating metal specimen (HS*GA, HS*GAB). Some of the results are ; (1) Static tensile load of single-spot-welded joint specimens is proportional to tensile strength of metal and rigidity of mating metal sheet. (2) Fatigue life of HS*HS specimens increased about 20% longer than that of GA*GAB specimens in low cycle range. (3) In different mating metal specimens, the fatigue life of HS*GA specimens increased about 84% more that of HS*HS specimens in high cycle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