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유식물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3초

침입외래식물인 가시박과 털물참새피에 의하여 교란된 하안식생 (The Riparian Vegetation Disturbed by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South Korea)

  • 이창우;김덕기;조현석;이효혜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55-263
    • /
    • 2015
  • 우리나라 하안역에서 외래식물 침입은 고유식물을 대체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 고유 하안식생에 침입하는 두가지 주요 침입외래종인 가시박 (Sicyos angulatus)과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가 고유 하안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두 식물이 침입한 전국 하천의 22개 조사지점에서 식물상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가시박은 한반도 중부지방에 주로 침입하였다. 이 외래식물은 수로를 따라서 왕성하게 덩굴을 형성함으로써 제방 사면과 높은 고수부에서 교관목과 장경 초본의 고유식생을 피압하여 하천관리자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초본식물이다. 털물참새피는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얕은 지하경과 왕성하게 분지하는 포복경을 가지고 있는 이 침입식물은 정체되거나 유속이 느린 물 위를 덮는 치밀한 매트를 형성하여 경쟁력이 약한 고유 침수식물이나 단경 정수식물을 위협하였다. 하천 하안지역에서 새로운 침입종의 도입을 방지하고 침입한 외래종을 방제하여 고유 하안식생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인위 교란을 방지하고 적절한 외래식물 관리가 필요하다.

국립생물자원관 관속식물 기준표본 소장현황 (Type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in the Herba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B) of South Korea)

  • 장현도;박정미;현창우;이병윤;구연봉;노태권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19
  •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KB)에 소장된 관속식물 33종(94점)의 기준표본 정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타 기관 또는 대학에서 국립생물자원관으로 기증된 기준표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기준표본(holotype) 15점, 동기준표본(isotype) 57점, 종기준표본(paratype) 22점이 국립생물자원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울대학교(SNU), 아주대학교(AJOU), 전북대학교(JNU), 충북대학교(CBU), 한국식물연구원(KPRI), 한림대학교(HHU)의 일부 기준표본이 국립생물자원관으로 새로이 이전되었다. 소장된 기준표본의 종조성은 양치식물 7분류군, 쌍자엽식물 22분류군, 단자엽식물 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표적인 속으로는 제주고사리삼속(한반도 고유속), 현호색속(7분류군)과 물부추속(4분류군) 등이 있다. 소장된 기준표본의 대표적인 명명자로는 김영동 교수, 박종욱 교수, 선병윤 교수, 오병운 교수, 최홍근 교수, 현진오 박사 등이 확인되었다. 국가별로는 28분류군이 한반도산이며, 미얀마와 캄보디아가 각각 2분류군, 라오스산이 1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27분류군이 한반도 고유종으로 평가되었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Flora of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고성철;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3-239
    • /
    • 2005
  •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cdot}$중부${\cdot}$북부${\cdot}$울릉도${\cdot}$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Ⅶ. 작살나무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속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Ⅶ.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Callicarp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151-170
    • /
    • 1987
  • Taxa of genus Callicarpa in Korea were described taxonomically and studie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based on the leaf length, leaf width, peduncle length, fruit width and geograhic distribution. Among 12 taxa reported previously in Korea, 3 forms of C. japonica were unifed to original species, C. japonica var. glabra was reserved, Whereas C. shirasawana was not distributed in Korea. As a result, 7 taxa belonging to 3 species, 4 varieties of genus Callicarpa remained. C. japonica complex is considered to be more advanced among the species compared with the bract shapes.

  • PDF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IX. 장구채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IX.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Melandrium)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1호
    • /
    • pp.51-68
    • /
    • 1988
  • To clarity the species of genus Melandrium (Caryophyllaceae) in Korea, the taxonomic characters were described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to the extemal morphology wit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osition and size of appendages on petal, the shape and venation pattern of leaf, and the external morphology of seed and pollen were approved as the good characters to classify genus Melandrium in Korea. As the result, genus Melandrium in Korea could be arranged as 6 species, 1 variety, 1 forma. M. umbellatum was exclusively distributed in north Korea, and its taxonomic treatment was reserved.

  • PDF

복사앵도나무 학명의 정당공표 (Validation of Prunus choreiana (Rosaceae))

  • 홍행화;김원기;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62
    • /
    • 2006
  • 복사앵도나무는 벚나무속의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그러나 복사앵도나무의 학명은 라틴기재가 되지 않은 명칭으로 여기에 정당공표하였다. 복사앵도나무는 호석회식물로 북한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최근 강원도의 면산과 자병산에서 새로운 분포지가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