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유매력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Determinant Attributes for Developing Korean-Style Industrial Tourism (한국형 산업관광 활성화를 위한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 Kim, Do 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4
    • /
    • pp.149-157
    • /
    • 2012
  •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developing korean-style industrial tourism. Evaluating attributes i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cult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is stage. This study is to analyze in the evaluation of selection attributes with the theory of industrial tourism and come up with developing tourism.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taff of travel agency in korea. Through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uthors identified five factors(i.e. business, conveniences, tourism attraction, hospitality, property) were amenable to the industrial tourism,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uthor suggests that nationality of industrial tourism have an effect on evaluating selection attributes of the korean-style industrial tourism. therefore, nationality could be the basis of target marketing strategy.

  • PDF

레저코치 - 강인한 정신으로 바람을 가르는 궁도

  • Lee, Yong-Gyu
    • 건강소식
    • /
    • v.37 no.6
    • /
    • pp.24-25
    • /
    • 2013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무예에서 생활스포츠로 자리 잡은 궁도의 매력은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전통 활을 쏴 과녁을 맞혀 승부를 겨루다보면 호연지기가 절로 샘솟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PDF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the Re-recognition of Tourist Attraction: The Cultural Practices of Residential Tourists in Bali ('실존적 고유성'과 관광매력물의 재인식: 발리 지역 거주관광객의 문화적 실천)

  • JEONG, Jeong 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7 no.3
    • /
    • pp.49-91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in Banjar Nyuh-Kuning, a rural village in Bali, and the cultural practices of residential tourist in this area. The role of Banjar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especially the proces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al discourse, became the main impetus for the prosperity of the village. For this purpose, the demands of residential tourists in the village and the role of local residents in their response is discussed. Residential tourist and village community experience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under one space,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for each group to newly recognize tradition. In the end, the residential tourist in the villages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ourism practices the stemmed from the concept of existing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authenticity. The perception of the authenticity of residential tourists a part of the ontological awareness resulting from everyday satisfactions and security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tourism.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Nyuh-Kuning village as a tourist attraction may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as a type of existential authenticity that the residential tourists acquire as they practice village traditions.

Evaluating Global Container Ports' Performance Considering the Port Calls' Attractiveness (기항 매력도를 고려한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성과 평가)

  • Park, Byungi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3
    • /
    • pp.105-131
    • /
    • 2022
  • Even after the improvement in 2019, UNCTAD's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LSCI), which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global container port market, has limited use. In particular, since the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evaluates the performance based only on the distance of the relationship, the performance index combining the port attractiveness of calling would be more efficient. This study used the modified Huff model, the hub-authority algorithm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2007, 2017, and 2019 data of Ocean-Commerce, Jap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rt attractiveness of calling and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ort did not always match.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attractiveness of a port calling, Busan remained within the top 10. Still, the attractiveness among other Korean ports improved slowly from the low level during the study period. Secondly, Global container ports are generally specialized for long-term specialized inbound and outbound ports by the route and grow while maintaining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e Korean ports continue to change roles from analysis period to period. Lastly, the volume of cargo by period and the extended port connectivity index (EPCI) presented in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from 0.77 to 0.85. Even though the Atlantic data is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 ship's operable capacity is used instead of the port throughput volume, it shows a high correlation. The study result would help evaluate and analyze global ports. According to the study, Korean ports need a long-term strategy to improve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professionalism.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the port's desirable role, it is necessary to utilize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with the complimentary port and attract shipping companies' services calling to the complementary port. Although this study carried out a complex analysis using a lot of data and methodologies for an extended perio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covering ports around the world, a long-term panel analysis, and a scientific parameter estimation study of the attractiveness analysis.

지역건축탐방(13) - 서울(하)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9 s.365
    • /
    • pp.43-79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

문화공간으로서의 등대 활용방안 연구 -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성을 중심으로 -

  • Kim, Jae-Gwan;Kim, Ga-R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1-434
    • /
    • 2013
  • 국민관광객과 방한 외래관광객의 증가(문체부, 2012)로 도서와 해안지역에 대한 관광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등대(예 : 영도등대, 간절곶등대, 울기등대, 거문도등대)를 중심으로 국민생활속의 해양관광공간, 해양레저스포츠공간, 어촌체험공간, 유통관광중심의 어항개발 및 크루즈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틈새관광(niche tourism)의한 형태로 도서 관광(small island tourism)이 주목되고 있다(김영준, 2011). 내륙 중심의 관광에서 해양 관광으로 관심이 변화 확산되면서 친수공간시설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이한석, 심미숙, 2009).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서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대관광활성화가 기대된다. 등대가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로서 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장소로서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건축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성과 등대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광객의 흥미와 욕구를 잘 접목시켜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병원간호사의 간호실무환경, 업무-가족 갈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Ko, Yu Ky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19 no.2
    • /
    • pp.207-216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에게 보다 편안하고 건강한 업무환경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병원관리행정가, 교육가, 간호관리자에게 알려주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진행에 동의한 5개의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0년 7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실무환경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업무-가족 갈등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변수는 직무만족도를 3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간호실무환경과 업무-가족 갈등이 간호조직에서의 성과인 직무만족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업무환경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업무-가족 갈등을 감소시키는 전략은 경력간호사의 보유와 질적 간호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Event Tourism in the Case of Namdo Food Festival at Nakan (이벤트관광의 정착과 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전남 낙안의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 추명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339-351
    • /
    • 1998
  • 본 연구는 낙안읍성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열리는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이벤트관광의 정착과 성장과정을 관광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남도음식축제는 특정장소가 갖는 매력요인과 전남지역의 고유한 향토음식이 결합된 전남의 대표적인 이벤트관광이며, 1998년 문체부에 의해 전국 3대 축제로 선정되어 전국적인 규모의 축제로 성장하였다. 1994년부터 시작된 남도음식축제는 프로그램과 예산, 참가인원 등 규모면에서 꾸준한 성장을 보여 왔다. 그리고 개최기간은 3일에서 일주일로 연장되었고, 관광세력권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남도음식축제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관 주도의 축제에서 민간주도의 축제로의 전환, 지역축제를 이끌어 갈 전문인력의 양성, 낙안읍성이라는 장소성과 역사성을 부각시킬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음식축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경영마인드의 도입, 낙안읍성 주변의 주요 관광지와 연계관계를 구축하여 관광세력권의 확대, 지속적인 관광객 형태 및 평가분석을 통한 관광객들의 관심과 욕구의 반영 등이 필요하다.

  • PDF

지역건축탐방(13) - 서울(상)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8 s.364
    • /
    • pp.71-100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

Toward Successful Adaptation from Games to Films (게임 원작의 성공적인 각색)

  • Park, Soo-Jin;Song, Seung-K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1
    • /
    • pp.3-14
    • /
    • 2011
  • Nowadays, it becomes a widespread and frequent practice that one content as a source is converted into diverse media formats. However, it is hard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the converted content might become successful again. That is mainly because one needs to have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edia format. This explains the phenomenon that there are very few successful movies which have been adapted from successful digital games. Thus, it is essential to conduct thorough and sufficient researches on the success factors of the adapted movi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ommon factors of successful movies from digital games in terms of their visuals and narratives. We have found that successfully adapted movies from digital games shares three commonalities in the work of adaptation for effective cinematic impacts. Firstly, the adaptors of the successful movies have composed scripts with riveting storytelling through simplification, compression and removal of the original story. Secondly, they have satisfactorily re-implemented the original game avatar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Finally, they have effectively discovered inherent attractiveness of the original games and incorporated into the target movies with faithful following of cinematic grammar. We expect that our work contribute to reduce failure rate of the prospective movies converted from games by the proposed analysis of success factors shared among successfully adapted movies through the proposed cas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