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위험가족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7초

부모의 고위험 음주 행동이 자녀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the Health Behaviors of Children by High Risk Alcohol Drink Behavior of Parent)

  • 장주동;한송이;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58-3865
    • /
    • 2013
  • 이 연구는 200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고위험 음주행동이 자녀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가족의 건강문제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 졌다. 대상은 19세 이상의 자녀를 둔 세대 중 고위험 음주에 노출된 16,383명을 선택하여 각 ID별로 부모가 고위험 음주자인 916명을 분류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위험 음주 부모의 자녀가 정상인 음주부모의 자녀에 비해 고위험 음주행동이(p<0.01)이 높았으며 부정적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고위험음주들에 대한 가족형 보건교육이 제도적으로 필요함을 고려하여 음주로 인한 문제의 해결이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 가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Latent Class Type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Family Member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in Community)

  • 박미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07-1125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환자와 동거하는 가족의 자살생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라 유형화를 하고, 각 유형집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치매환자와 동거하고 있는 가족 2,715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잠재계층모형분석과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분석내용은 (1) 자살생각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유형화 (2) 유형화된 집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총24개의 자살생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지표를 활용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실시하여 '고위험-저보호요인'집단, '고위험-고보호요인'집단, '저위험-고보호요인'집단, '저위험-저보호요인'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고위험-저보호요인'집단인 경우 자살생각이 가장 높았고, 유의하게 자살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기반한 실천적 함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의미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in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 이정애;박인숙;문영숙;이남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1-44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of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Method: The date was collected on the basis of self- report questionnaires (August 2004 to March 2005); Tow-hundred twelve parents, who had high risk neonates in C hospital'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rticipated on request. Results: Family sense of coherence, family meaning, social support, family stress, marital communication and patient condi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Family cohesion, religion, confidence in the health professional, and length of sta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mily mea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high risk neonates may be alleviated by a family support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parental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to maintain family cohesiveness. Medical care could also encourage more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towards their neonate.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실태 및 대처방안 (The Actual Conditions and Countermeasure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 신성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실태는 연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이고, 소방관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고위험 경찰공무원의 발견 및 관리,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 기법의 보급, 직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 동료 및 가족의 적극적 개입, 스트레스 관리 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잠재집단 유형과 영향요인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Types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장온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1인가구내 집단별 이질성에 주목하여 중년층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가 어떠한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를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유형에 작용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4차 한국복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361명의 중년1인가구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지표는 6차원 10개지표로 구성되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중년1인가구는 '비배제형'(29.6%), '건강제한형'(14.3%),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12.0%), '소득·건강배제형'(14.1%), '고위험다중배제형'(30.0%) 등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이상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고 대부분 배제유형이 다중배제 상태였다. 각 배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이 공통된 주요 예측요인이었고, 가족교류, 연령, 여가활동만족도 변인이 '고위험다중배제형'과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 개입전략이 필요하고 '건강'과 교류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젊은 여성의 체중조절행위와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바탕으로 (Associations betwee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Young Women: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 김재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34-4744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젊은 여성들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19~29세 13,351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chi}2$-test와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젊은 여성들의 체중조절행위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족유형, BMI, 인지된 건강수준, 주관적 체형, 고위험 음주, 주중 좌식여가활동, 아침식사결식, 수면시간,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 자살생각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젊은 여성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족유형, BMI, 인지된 건강수준, 주관적 체형, 고위험 음주, 주중 좌식여가활동,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 등이었다. 체중조절행위 접근 시 다른 건강행위들과의 상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위험가족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The factors to identify high risk family)

  • 방숙명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1-361
    • /
    • 1995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ritical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a family assessment tool to screen high risk family. This study used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developed by Eui-sook Kim's (1993) and analyzed risk factors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s employing a explorative and methodological study design, this study has four stages. 1. In the first stage, 34 family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doing intensive literature review on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es. 2. In the second stage, above risk factor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by consultation with 29 persons in community health nursing, nursing education, family theory, and social work. 3. In the third stage, existing survey data was used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identified risk factors. The survey data used for this purpose was previously collected for the community diagnosis in a region of Seoul. At the final stage,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high risk and low risk families, initially identified 34 risk factors decreased to 25 risk factors. Among 34 risk factors, six factors did not agree with content of questionnaries sand two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differentiating the high risk family Also, two risk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selves, so only one of those two factors was chosen. As a result, twenty-five risk factors chosen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re following ; 1. A single parent family due to divorce or death of a partner, or unweded single mother 2. A family with an unrelated household members 3. A family with a working mother with a young child 4. A family with no regular income 5. A family with no rule in family or too strict rules 6.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other lam-ily members 7.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friends or relatives 8. A family with little or no time to share with each other 9. A family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us, cancer 10. A family with a sick person 11. A family with a mentally ill person 12. A family with a disabled person 13. A family with an alcoholic person 14. A family with a excessive smoker who smokes more than 1 pack / day 15. A family with too much salt intake in their diet. 16. A family with inappropriate management skills for family health 17. A family with high utilization of drug store than hospital to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the family 18. A family with disharmony between husband and wife 19. A family with conflicts among the family members 20. A family with unequal division of labor among family members 21. An authoritative family structure 22. A socially isolated family 23. The location of house is not residential area 24. A family with high risk of accidents 25. The drinking water and sewage systems are not hygienic. The main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linical use. The high risk factor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use of high risk factors woule contribute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in Korea and the list of risk factors need to be revised continuously.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n index of weight of each risk factor and to validate the risk factors.

  • PDF

병원전단계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 (Strategies for Improving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 채승기;장대현;이현우;한우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27-130
    • /
    • 2011
  • 사회가 고령화, 초핵가족화 및 재난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요구호자에 대한 고품질 맞춤형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급성진환, 심뇌혈관 고위험 환자 및 자살 등 예방가능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높음에 따라 신속하고 전문적인 구조 구급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병원 도착 전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준비를 사전에 할 수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응급환자 진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119번호를 이용한 다양한 복합 응급신고 접수 시 유관기관과 통합적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효율적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원인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Addiction)

  • 조미헌;신경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5-56
    • /
    • 2004
  • 최근 인터넷 사용이 확산되면서 그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며, 인터넷 사용자의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우려는 초등학생에게까지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상당수 이루어졌으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고, 초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표준화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신뢰로운 검사 도구의 사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와 같은 필요를 고려하여 개발된 인터넷 중독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5, 6학년 1,38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의 현황과 그 원인이 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의 5.5%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고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고 12.4%의 학생들이 잠재적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수준은 성, 학년 등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 사용 시간, 목적 등과 같은 '인터넷 사용 경험', 가족 형태, 관계 만족도 등과 같은 '가족 관련 특성', 친구관계, 학교생활과 같은 '사회적 활동' 등의 4가지 영역의 15가지 변수들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가족특성이 고등학생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Family Factors and Obesity in High School Students)

  • 이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84-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비만에 영향하는 가족특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I광역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84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가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체중, 키, 개인특성과 가족특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인 경우(aOR = 4.37; 95% CI [1.26, 15.16]), 아버지의 직업이 비정규직인 경우(aOR = 3.10; 95% CI [1.15, 8.40])와 양부모 가정이 아닌 경우(aOR = 3.52; 95% CI [1.29, 9.61])가 비만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왔던 남학생의 비만의 위험성과 건강한 체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해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불완전한 가족구조의 고위험 가족특성을 가진 청소년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