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주

Search Result 78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the Government's Digital Employment Service (정부의 디지털 고용서비스 고도화에 관한 연구)

  • Woo Young Lee;Jae Kap Lee;Yeongdon Na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5 no.2
    • /
    • pp.233-241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ruction status of digital employment services in Korea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continuous advancement and development of digital employment services based on overseas cases and the latest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Find out the specific digitalization promotion strategies and current status of major countries such as Belgium,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nt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employment services in Korea, we will propose a plan to expand digital employment services to online employment centers through individual and customized employment services, data openness, and expansion of public-private collaboration through digital employment services using AI and big data.

The Evolution of Smart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the Future of Employment (스마트기술의 발전과 고용환경 변화 전망)

  • Chung, J.H.;Lee, S.M.;Shin,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1-15
    • /
    • 2014
  • 기술혁신이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은 산업혁명 시기부터 시작된 오래된 경제학적 이슈다. 개별 기술혁신의 영역과 성격, 산업 특성에 따라 상이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고용변화를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쉽지 않고 기술혁신에 따른 고용 보상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 또한 어렵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혁신이 대체해온 인간의 능력이 주로 육체적인 것이었던 점에 비해 빠르게 진화 중인 스마트기술은 인간의 지적능력의 상당부분을 모사할 것으로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인간 고유능력인 지능을 확장하고 나아가서는 자체적으로 인간 지능을 기술 자체에 내재화해 나가고 있는 스마트기술의 발전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의료, 법률, 금융, 교육 등 복잡한 전문 지식과 상호작용이 필요한 영역의 업무환경과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스마트기술에 의한 고용 대체가능성에 대한 경고에만 집중하는 것은 새로운 산업창출과 경제성장동력을 간과할 수 있다. 균형잡힌 미래 전망과 정책적 대비가 필요하다.

  • PDF

Empirical Analysis of Labor Market Using Evolutionary Agents with Strategic Coalition (진화 에이전트의 전략적 연합을 이용한 노동시장의 실험적 분석)

  • 양승룡;민준기;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574-576
    • /
    • 2004
  • 일반적으로 노동시장은 노동자와 고용주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노사관계를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 에이전트들로 구성된 노동시장 모델 상에서 노동자들 또는 고용주들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전략적 연합을 적용하여 노동자와 고용주의 수적인 비율로 표현할 수 있는 직업밀집도와 직업집중도에 따른 행동 특성을 분석한다. 전략적 연합은 다중에이전트 환경에서 상호간의 이득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진화 노동시장에서 노동자와 고용주들은 집단 내에서 자율적으로 연합을 형성하며 죄수의 딜레마게임으로 진행되는 거래에 참여한다. 실험결과, 에이전트들의 행동이 직업밀집도와 직업집중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전략적 연합이 허용될 경우 노동자와 고용주들이 보다 공격적인 형태로 노사거래에 참여함을 보여준다.

  • PDF

The Effect on Network Structure and Network Rel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al Model (네트워크구조와 네트워크관계가 사회적 기업발전모형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Kim, Min-S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12-715
    • /
    • 2010
  • 사회적 기업에 관한 선행연구 중 Dorado(2006)는 사회적 기업이 구성원개인의 파트너십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직의 목표를 성취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리고 Social Firms UK(2007)가 발표한 Values-Based Checklist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경우 조직의 성취목표가 기업생존에서 고용성장을 거쳐 권한위임단계로 발전해 간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네트워크 구조와 네트워크 관계가 과연 국내 사회적 기업의 발전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문가의 추천받아 서울, 경기, 부산, 경남 등지의 사회적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사례 연구를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증연구를 위해 400장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유효한 215장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ruderl & Preisedorfer(1998)의 모형보다 Haugh( 2007) 모형이 한국의 일자리제공 형 사회적 기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둘째, 구성원의 다양한 네트워크구조는 기업생존과 고용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셋째, 구성원의 강한 네트워크 관계는 고용성장과 매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넷째,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네트워크구조와 매출성장에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며, 다섯째,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네트워크구조와 고용성장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의 구성원의 다양한 외부 네트워크는 사회적 기업의 생존에 도움을 주며,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외부인들에게 더욱 더 강한 신뢰와 친밀감을 주어 사회적 기업으로 하여금 고용과 매출성장을 동시에 추구는 DBL기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d Work History of Women Self-Employed (여성 자영업자의 특성과 취업력)

  • 문유경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5 no.2
    • /
    • pp.69-105
    • /
    • 2002
  • This paper is aimed at three points. Firstly the size and trend of women self-employed in korea are analysed during 30 years. Seco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abor condition like working hour, income and etc. of them are presented. Last, when did they begin or end their own work as their life stages were changed.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북한 장애인고용정책 분석)

  • Jeong, Ji-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627-63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a policy development plan to promot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aws and employment status relate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secondary data analysis as the context of the policy analysis. Since then, North Korea's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Gilbert and Specht(197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nefits of the North Korean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employment benefits and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benefits. Second, segregated employment is mainly composed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d, the allocation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centered on persons with mild and physical disabilities. Fourth, the delivery system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segmented around the Cabinets and the People's Committee of each municip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through the revision of regulations, the diversification of benefits, and the reorganization of delivery systems.

여성(女性) 고비문제(雇備問題)에 대한 제도적(制度的) 접근(接近)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73-147
    • /
    • 1996
  • 본고(本稿)에서는 고용구조조사(雇傭構造調査) 1986년 및 1992년 테이프를 활용하여 여성(女性)의 학력별(學歷別) 연령별(年齡別) 경제활동(經濟活動)및 실업(失業)과 취업구조(就業構造)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바, 여기서 확인된 우리나라 여성 고용문제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이 중졸 이하 학력 여성의 경우 M자형(字型), 고졸 이상 학력 여성의 경우 단봉형(單峰型)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큰 기복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여성 중에서도 고학력 고연령층(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의 악화)과 저학력 저연령층(실업률의 증가)의 고용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셋째, 저학력 여성의 제조업(혹은 생산직) 취업이 고령화(高齡化)되고 서비스업 취업이 전통적 부문(도 매소 음식 숙박업)에 집중되고 있으며, 고학력 여성의 사회 개인서비스업, 관리 전문직, 파트타임 등에서의 취업이 활성화(活性化)되지 못하는 등 여성 취업구조(就業構造) 고도화(高度化)의 한계(限界)를 보이고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이렇게 실증적으로 확인된 문제점들이 결국 우리나라 여성 대부분이 '생애직업경력(生涯職業經歷)(lifetime job career)'을 가지지 못하는 제도적(制度的) 문제점(問題點)으로 귀시(歸蓍)되는 것에 주목하고 이러한 제도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制度) 개선(改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성 고용문제 해소를 위한 바람직한 '제도건설(制度建設)(institution building)'의 방향으로 본고에서는 (1)여성을 위한 고교 교육 및 직업훈련의 개편, (2)여성을 위한 전문대학 및 대학 교육의 개선, (3)여성을 위한 고용서비스의 강화, (4)출산 및 육아에 따른 여성 부담의 경감, (5)여성에 대한 고용주로서의 정부 역할 재정립 등을 강조하였다.

  • PDF

장애인 창업자의 기회인식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O, Yeong-Geun;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35-139
    • /
    • 2020
  • 2019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의 고용률은 35%, 실업률은 6.6%로 우리나라 전체 경제 활동 인구의 고용률 61.5%, 실업률 4.4%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조한 장애인의 취업 및 고용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 주요 부처에서 활발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장애인의 고용환경은 여전히 열악하여 장애인의 낮은 경제활동 참가율, 직종 선택의 제한, 지원 고용에 비해 낮은 일반고용률, 비정규직 치중 등 열악한 고용 형태의 질적 개선 등 장애인고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더 개선되고 발전되어야 함을 내포하고 있다. 그에 따른 대안으로 장애인 창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창업은 비장애인조차도 성공하기가 어렵고 실패할 확률이 높다. 장애인 창업의 경우 장애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패할 경우 재기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질 가능성이 비장애인보다 높다. 따라서 장애인 창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 창업 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회 인식, 창업 의도, 기업가정신에 관한 선행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장애인 창업자의 기회인식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기업가 정신(혁신성, 위험 감수성, 진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며, 이 과정에서 창업자의 창업 의도를 고취시킬 수 방안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Employment Condition and Labour Experience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Teachers: A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초등돌봄교사의 고용형태와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Kim, Hyun Mi;Shin, Julia Jiwon
    • 한국사회정책
    • /
    • v.23 no.2
    • /
    • pp.141-17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ment conditions and labour experience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study considers multifaceted problems faced by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their workplace. The after-school care class is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initiated and rapidly expa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ulting in the substantial increase of non-regular school workers. The irregularization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illustrates that the common problems faced by female non-regular workers, such as social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inequality, are also transplanted into the typical public sector. In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ast two years there have been evident increases both in under 15-hour short time contract care teachers and outsourcing of care classes. Temporary part-time contract care teachers suffer relentless job insecurity and experience poor working condition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within the workplace and labour alien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organized resistance of care teachers, school authorities implicitly individualize and isolate care teachers through hierarchization, the division of labour and the spatial division of classes between indefinite and temporary contract teachers.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쟁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won, Na-Kyung;Kim, Hye-L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8
    • /
    • pp.431-441
    • /
    • 2014
  • In order to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high-value service needs to be created by reducing service delivery errors and miscommunications. Employee's job rotation experience will help them to reduce errors and develop thei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clarifies the hotel's job rotation system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aking samples from full-time workers in hotel, total 370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EM approach was used to analysis the data with AMOS 20.0. The results show that job ro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Moreover, employa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job rotation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contributes to gener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hospitality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