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노동부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Obligation to Tak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onstruction Orderer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건설업 발주자의 안전보건조치 의무 도입 필요성 분석)

  • Lim, Se Jong;Seo, Jae Min;Won, Jeong-Hun;Kim, Ch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37 no.1
    • /
    • pp.20-29
    • /
    • 2022
  • To stem the ever-prevalent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fforts must be invested by various stakeholders. Specifically, among stakeholders, the orderer is at the top of a project's decision-making structure. Therefore, the orderer's awareness of safety and health directly affect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overall construction site.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each stakeholder regarding the obligatory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lients that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addition, it suggest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Korean contex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stakeholders such as orderers, safety managers, and site manag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reviewed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roduction of safety and health obligations for the owner was found to be necessary, and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safety and health experts as an action plan was deemed reasonable. The authors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the related regulations in Korea. Moreover, as a further study,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after improving regulations would contribute strongly to the domain.

Improvement Plan for Material Safety Data Sheet Policy to Support the Realization of Chemical Regulation (화학물질 규제 현실화를 위한 물질안전보건자료 정책 개선방안)

  • Woo Sub Shim;Yoo Jin Ah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33 no.3
    • /
    • pp.365-374
    • /
    • 2023
  • Objectives: After the MSDS submission and non-disclosure review system was introduced in January 2021, there were compliance difficulties in the field. Accordingl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SDS system, the government intends to investigate what has been improved and what urgently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detailed improvement plans. Methods: The background and problems of urgent difficulties in the field handling chemicals were investigated, and realistic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through review of other laws related to the MSDS system and overseas cases. Results: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of the public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corporate R&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non-disclosure screening system for chemical substances for R&D, and to improve the irrationality of failing to implement the non-disclosure screening system due to information on unclassified substances being circulated. For this reason, it seems necessary to ease the requirement to submit all ingredi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unishment to raise awareness so that health problems do not occur due to the harmfulness and danger of hidden substances among workers who handle chemical substances and downstream users due to false descriptions in MSDS. Conclusions: All members of our society, including chemical manufacturers/importers and handling companies, academia, civil society, and the government, each subject of chemicals, should take an interest in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of chemicals and work together to prevent harm to the public.

Results and Implications of Unannounced Supervision of MSDS Implementation Status at Chemical Handling Workplaces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대상 물질안전보건자료 제도 이행실태 불시감독 결과 및 시사점)

  • Woo Sub Shim;Yoo Jin Ah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33 no.3
    • /
    • pp.265-272
    • /
    • 2023
  • Objectives: Since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submission and non-disclosure review system was introduced in January 2021,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MSDS for chemical manufacturing and importing workplaces being supervised for the first time. Methods: A supervisory team consisting of two labor inspectors and one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directly visited the selected workplaces to check compliance with the MSDS system as a whole. Results: As a result of supervising 214 chemical substance manufacturing/importing workplaces, a total of 241 violations of the law were found in 121 workplaces, or 57% of them. In respons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ok legal action on 8 cases in 6 locations, imposed a fines totaling of 249.69 million won on 120 chemical handling workplaces, and took action to correct the violations immediately. Conclusions: Major violations were in the order of non-request for warning signs, non-submission of MSDS, non-execution of MSDS training, and non-posting of MSDS. This shows the reality that employers who handle chemical substances are sufficiently communicating chemical information to workers.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will actively implement preparation and submission support and system guida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SDS system, while making efforts to ensure that the MSDS system works well in the field through thorough on-site supervision in the future.

DB 서비스 평가 ④- 중앙고용정보원‘워크넷’

  • Kim, Eun-Yeong
    • Digital Contents
    • /
    • no.10 s.137
    • /
    • pp.100-102
    • /
    • 2004
  •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과 경제활동 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실업률은 3.5%로 실업 인구 수가 80만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20대 청년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0.7%로 전체 실업자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어 현재 청년실업 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들어 벤처기업의 1사 1인 채용운동 등 각계에서 고용안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업난이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취업 알선을 위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중앙고용정보원의 워크넷이나 중소기업청의 인력정보망 등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구인∙구직 사이트들이 활성화돼 있어 구직 희망자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내수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 사정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04년 현재 온라인상으로만 채용공고를 하는 기업은 전체 기업의 30% 정도이며, 앞으로는 온라인을 통한 구인구직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인터넷에서 채용정보 전문 서비스는 물론 분야별, 지역별로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합하면 350여개가 넘는다. 이 중 눈에 띄는 서비스가 바로‘워크넷’이다. ‘워크넷’은 노동부 산하 중앙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전문 사이트로서, 공공기관이 운영한다는 점에서 정보의 신뢰성과 전문성이 기대된다. 특히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아 구인구직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10월 DB서비스 평가에서는‘워크넷’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Unemployment Insurance Take-up Rates in Korea (한국의 구직급여 수급률 결정요인 분석)

  • Lee, Daechang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1
    • /
    • pp.1-31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yclical behavior of UI benefit take-up rate, the share of unemployed persons who are eligible for job seekers' allowances(JSA) and actually receive them. Using Korea's Employment Insurance DB, it also identifies the factors linked to the decision to take up job seekers' allowa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ake-up rate is countercyclical and leads both unemployment rate and Coincident Composite Index cyclical component by 6 months and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placement rate and benefit duration, suggesting that extending benefit duration and raising benefit level can boost benefit claims to increase take-up rates in Korea.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 Rate by Safety Environment Change in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의 안전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적정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

  • Oh, Se-Wook;Kim, Young-Suk;Choi, Seung-Ho;Choi, Jin-W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4
    • /
    • pp.97-107
    • /
    • 2013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 in construction industry means the monetary amount that the purchaser appropriates to prevent various disaster from happening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setting aside a certain amount from subcontract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and scale. The current appropriation standard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been enforced since its stipulation in 1988 although various policy changes for the safety in construction industry, e.g.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safety management techniques in construction industry, changes in construction field site environment, cost depreciation, etc., are happening in Korea and overseas. Therefore, it is required at this point to examine whether the curr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 appropriation is proper or not on the basis of time trend and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appropri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 for construction industry by the construction type and target expense in response to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environment and proposing the proper appropriation. The above research result proposes the calibration of the appropriation as specified and stipula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by the construction type and target expense, which is necessary to reflec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environment.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the Industrial Safety Policy Direction by Job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rs (안전관리자의 직무특성에 따른 산업안전 정책방향 이해도에 관한 연구)

  • Kim, Jong-In;Choi,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415-423
    • /
    • 2012
  • 고용노동부 산업재해분석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2006년~2010년)의 총 재해자수(사망자수) 472,329명(11,662명), 경제적 직접손실액 16,814,806백만원, 경제적 손실 추정액(직 간접) 84,074, 030백만원으로 인적 물적 손실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는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관리자 선임된 사업장 211개소 대상으로 안전관리자의 직무특성에 따른 산업안전정책방향 이해도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기업체의 특성을 보면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노조설립 여부에 따라 산업안전정책방향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직무특성을 보면 연령, 경력, 근무부서에 따라서도 산업안전정책방향에 대한 이해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산업안전관라자 직무특성에 따른 산업안전정책방향 이해도 분석을 통해 정부의 정책변화, 경영자 안전관리자의 안전의식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무연재 ⑯ -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연차수당 등 임금지급

  • Hong, Su-Gyeong
    • 월간 기계설비
    • /
    • s.318
    • /
    • pp.78-81
    • /
    • 2017
  • 최근 이랜드그룹이 그룹 내 외식사업체 근로자 4만4천여명에게 83억 7천여만원의 임금을 미지급한 것이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결과 적발되어 사회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이랜드그룹의 임금체불액을 포함하여 올해 임금체불액은 1조 4천여억원으로 사상 최대 금액에 달한다고 합니다. 임금생활자에 대한 체불은 해고와 더불어 생존권을 위협하는 일임에도 임금체불에 대한 실질적인 법적 제재가 크지 않아서인지 체불액은 줄어들고 있지 않습니다. 근로자들의 권리의식이 신장되고 포털사이트 및 인터넷을 통해 법률정보의 취득이 대중화되고 무료상담 등도 늘어나면서 재직 중에 못 받은 각종 수당 등을 퇴직 후에 청구하는 사례 등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기간제 근로자 및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수당, 주휴수당, 시간외근로수당과 관련하여 중소기업 사업주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랜드그룹의 경우도 아르바이트 직원의 연차휴가수당, 시간외수당, 휴업수당 등이 문제가 된 경우입니다. 임금체불이 줄어드는 2017년이 되길 바라면서 이번 호에는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 연차휴가수당, 시간외수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PDF

안전현장 스케치 - 국민안전 위한 최고의 방재기술서비스 제공,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88
    • /
    • pp.24-26
    • /
    • 2013
  • 유해 위험화학물질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대형사고가 지난해 연말부터 연이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안전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고용노동부, 환경부 등 관련부처에서는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 제도와 법을 제 개정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고, 안전행정부에서는 전국적인 안전문화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화재보험협회(이사장 이기영) 부설 방재시험연구원은 남다른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 손에 꼽히는 화재전문 시험연구기관이기 때문이다. 이곳은 지난 1986년 4월 국내 최초의 민간 방재시험연구기관으로 탄생했다. 그 명성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1995년 국내 최초로 화재안전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 인정을 받은 것은 물론 현재는 400여 종의 첨단 시험연구 장비를 구축하고 있는 등 그동안 화재안전점검 기술력 향상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27년 동안 꾸준하게 대국민 화재안전 서비스를 제공한 방재시험연구원을 찾아가 봤다.

  • PDF

Research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lean Workplace Program using IPA (IPA를 활용한 클린사업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 Choi, yoo-jung;Choi,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7-468
    • /
    • 2018
  • 2001년 이후 고용노동부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50인 미만 근로자가 근무하는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정지원을 해주는 클린사업장조성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클린사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업 추진 과정과 지원 이후의 상황이 철저히 관리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린사업 지원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추진 과정 중의 중요도와 만족도, 그리고 지원이후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IPA 분석을 이용하여 클린사업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추진 과정에서는 지원 금액, 지원품목 품질, 지원품목의 다양성 요소에 특히 관심을 더 가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원 이후에는 모든 성과변수들이 기대하는 수준만큼의 성과를 얻고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