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경쟁력

Search Result 16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gional Disparity and Competitiveness on Employment in Korea (지역 간 고용격차와 고용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Hong-Chul;Lee, Joo-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5
    • /
    • pp.2207-221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regional disparity of employment and to analyse the regional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us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mployment competitiveness. Firstly, it has revealed that the regional disparity of employment is deepening and disparity from the quality side and stability side are more serious. Secondly, the strongest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Chungnam, followed by Seoul, Ulsan, Gyeongbuk, Daejeon and the region of employment risky is Busan. Lastly, it has analysed tha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ment competitiveness are criteria of stability sector. Therefore, we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jobs of good quality and stable,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employment. And especially region of employment risky must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쟁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won, Na-Kyung;Kim, Hye-L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8
    • /
    • pp.431-441
    • /
    • 2014
  • In order to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high-value service needs to be created by reducing service delivery errors and miscommunications. Employee's job rotation experience will help them to reduce errors and develop thei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clarifies the hotel's job rotation system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aking samples from full-time workers in hotel, total 370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EM approach was used to analysis the data with AMOS 20.0. The results show that job ro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Moreover, employa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job rotation and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contributes to gener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hospitality industry.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gional Disparity and Competitiveness on Youth Employment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 및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Hong-Chul;Lee, Joo-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253-326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gional disparity of the youth employment and to regional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via evaluation criteria for employment competitiveness. Summaries of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it has revealed that the regional disparity of youth employment is deepening. Secondly, after the analysis of employment competitiveness, the strongest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Seoul(0.622), followed by Chungnam(0.592), Ulsan(0.528), Gyeongbuk(0.514), Gyeonggi(0.507) and the region of employment risky is Jeonbuk. Lastly,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re supply factors and demand factors. Therefore, we must create new jobs of good quality,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lso region of employment risky should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And the government should determine priorities of employment policies that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is to say, the government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choice and focus.

과학기술한국을 위한 집념과 도전

  • 배순훈
    • 전기의세계
    • /
    • v.41 no.8
    • /
    • pp.3-7
    • /
    • 1992
  • 우리나라는 기술개발을 통한 부가가치 향상만이 우리 기업의 시장경쟁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우리 기업의 경쟁력 유지로 국내 고용을 유지할 수 있고 계속 이 고용된 인구의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경쟁력을 위한 기술개발은 처음부터 목표가 뚜렷해야 하며 기술개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시장파악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는 조직이 구성되어야 한다. 개발 생산 판매가 모두 한가지 목표를 향해 같은 전략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인력양성도 교육기관과 기업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며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의 여유가 필요하다. 새로운 시대의 기술개발은 첨단분야와 기존분야,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시장경쟁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며 사업분야의 성장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임금을 지불하고도 경쟁력이 있을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Growth, Employment and Distribution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에 대한 기술진보의 파급효과)

  • Im, Yang-Taek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20-267
    • /
    • 2005
  • 본 연구의 분석목표는 순요소증가형 CES 생산함수를 실증적으로 추정함으로써 한국 제조업부문의 기술변화의 유형을 규명하고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에 대한 기술진보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동시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시각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한국 제조업부문의 기술변화의 유형은 Hicks형 비(非)중립적인 자본사용적(B(t)>0) 즉 노동절약적 기술진보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 잠재적 고용수준은 감소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Hicks형 중립적 기술진보를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gamma}$)은 감소하였던 반면에, 비(非)중립적 기술진보를 나타내는 요소간 대체탄력도(${\sigma}$)와 자본집약도(${\delta}$)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노동(L)이 자본(K)으로 광범위하게 대체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본투입(K)이 노동투입(L)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 (K/K > L/L 즉 k/k > 0)되었다. 이 결과, 소득분배구조가 악화 (S/S< 0)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경제성장의 한계 봉착, 대량실업의 폭발, 계층간 갈등의 심화를 초래한 요인은,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동시적으로 추구하는 산업 ${\cdot}$ 기술경제정책을 일관성있게, 또한 과감히 추진하지 않았던 결과, 노동사용적 중소기업의 몰락, 노동의 생산효율성 증진을 위한 인적자본 투자의 미흡, 자본의 생산효율성 증진을 위한 자본절약적 기술진보의 저조, 총요소 생산성 증가의 부진, 만성적인 인플레이션에 의한 실질 임금수준의 하락 및 실물 자산가치의 상승 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의 조화는 바로 노동효율 증가형 기순혁신이며, 이를 위한 인적자본에의 투자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가 기술경제 패러다임(techno-economic paradigm)의 시각에서 제시하는 한국경제의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위한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은 동태적발전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기초과학연구능력 확충 ${\rightarrow}$ 소화 ${\cdot}$ 흡수 ${\cdot}$ 개량 ${\rightarrow}$ 토착화 능력의 배양 ${\rightarrow}$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 ${\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 ${\rightarrow}$ 국제수지 흑자 ${\rightarrow}$ 성장 ${\rightarrow}$ 물가 및 고용 안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다.

  • PDF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한 국가실천전략

  • 김용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11
    • /
    • 2004
  • Ⅰ. 국가실천전략을 위한 정책추진배경 및 방향·방향 1. 삶의 질 개선과 국가경쟁력 제고·새로운 산업, 고용정책 추진, 사회안전망의 내실화를 통한 삶의 질 개선 ■ 인적자원의 확충과 효율적 관리를 통한 성장동력 확보, 국가경쟁력 제고 □ 방향 2. 장기적·종합적 정책 수립 ■ 중장기적 관점에서 큰 틀의 방향 설정 ■ 이에 맞춰 단기대잭 조율 □ 방향 3. 국민의 참여와 범정부적 정책추진 ■ 인구, 경제, 고용, 교육, 여성, 보육, 보건, 복지, 여가, 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국민참여를 통한 국민을 위한 정책 개발 ■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정부의 정책방향과 미래사회 준비에 합치되는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 (중략)

  • PDF

Employment Growth and Industrial Change in Cheongju, 1985-2005: An Analysis Using a Shift-Share Model (청주의 고용 성장과 산업 변화, 1985-2005: 변이할당모형에 의한 분석)

  • Kim, Hak-H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 /
    • pp.325-341
    • /
    • 2011
  •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of Cheongju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70s. This study examines the industrial employment change of Cheongju City and performs a shift-share analysis for the employment growth.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mainly from the 1985, 2000 and 2005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This study first explained the population change and industrial structure of Cheongju, then reviewed the development of shift-share models. Location quotients and specialization coefficients resulted from this study revealed the diversifying tendency in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Shift-share analysis employing the modified Arcelus model elucidated the favorable industrial mix and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sectors. As a whole, Cheongju has advantageous industrial structure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nation. All sectors of Cheongju except several services sectors grew faster than those of the nation and showed positive competitive effects. It is suggested to utilize more disaggregated industrial data in more fractured subperiod in order to pinpoint the competitive industries.

  • PDF

(1) 신정부의 광학산업 육성정책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방안-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배경과 기본 방향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no.5 s.115
    • /
    • pp.28-30
    • /
    • 2008
  •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기본 방향은 크게 보아 성장잠재력 확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의 전략으로 구별 가능하다. 즉,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성장동력 확충 전략, 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친기업환경 조성 전략, 그리고 일자리 창출을 직접적으로 촉진하는 적극적 노동시장 전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3대 중간 목표는 지식경제화, 설비투자 활성화, 고용창출이라 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UIC Cooperation Programs on Youth Employment (정부 산학연협력 지원의 고용효과 분석)

  • Kim, Sunwoo;Yoon, Yoon-Gyu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2 no.2
    • /
    • pp.179-193
    • /
    • 2020
  • In the rapid trend of social change,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alignment of job structures,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UIC) is emphasized as a key factor i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level of UIC in Korea is insufficient compar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spite the world-class R&D investment, there is a lack of linkage between the result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knowledge-transfer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is also insufficient. This paper analyzed the employment effects of UIC program supported by government, especially youth employment effects.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UIC program showed higher employment effect than the non-participating compan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mployment growth rate of participating companies only for projects aimed a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ow that employment growth rate after one year (total, youth employ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ting companies, while employment growth after two years was not significant. UIC program need to have sustainability and systemicity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employment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