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온 초전도체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Optimization of Current Distribute at HTS Coated Conductor (고온초전도 선재의 균등한 전류 분류를 위한 병렬연결에 관한 연구)

  • Bang, S.H.;Park, K.B.;Lee, G.H;Choi, W.J.;Sim, J.W.;Sim, Y.S.;Kim, Y.G.;Hyun, 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94-194
    • /
    • 2010
  •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한 한류기에서 초전도 선재는 한류기 전체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초전도 개발에 있어서 초전도 선재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SC 344 Conductor 선재를 이용한 전류의 균등분류를 위한 병렬연결 방안에 대해 연구 하였으며 그 결과를 나타 내었다.

  • PDF

첨단과학현장 - 다가온 고온초전도기술의 실용화시대

  • Hyeon,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4 s.323
    • /
    • pp.78-82
    • /
    • 1996
  • 1986년 IBM 취리히연구소의 알렉산더 뮐레와 게오르그 베드노르츠가 세라믹과 같은 물질인 란탄 바륨 산화동이 당시로서는 기록적으로 높은 온도인 절대온도 35도(34K, 섭씨 -238도)에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이래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당시만 해도 고온초전도체라는 새로운 소재가 세계의 모습을 바꿀지도 모른다는 매스컴의 대대적인 보도와 함께 고온초전도기술연구의 뜨거운 열기는 한때 온 세계를 뒤덮다시피 했다. 그 뒤 초전도기술의 실용화연구는 이런저런 걸림돌과 부딪치면서 차츰차츰 일반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으나 실제로는 그동안의 줄기찬 연구개발의 소산으로 마침내 고온초전도 실용화시대가 저만큼 성큼 다가서고 있다.

  • PDF

ReBCO Pancake Coil in Persistent Current Mode (영구전류 모드 운전을 위한 ReBCO 팬케이크 권선)

  • Kim, Y.I.;Kim, W.S.;Lee, S.Y.;Park, S.H.;Choi, 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b
    • /
    • pp.12-14
    • /
    • 2009
  • 초전도 DC 마그네트에 영구전류 (Persistent Current)를 흘리기 위해서는 초전도 접합(Superconducting Joint)이 필요하다. 저온 초전도 선재는 초전도 접합이 가능하며 고온 초전도체 중 BSCCO 선재로도 초전도 접합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되어 향후의 초전도기기에 적용될 2세대 초전도 선재인 ReBCO CC(Coated Conductor)로는 아직 초전도 접합을 만들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폭 선재의 중심을 가르고 양 종단부가 그대로 붙여진 형태의 선재를 이용하여 영구전류를 홀릴 수 있는 고온 초전도 마그네트를 제작하였다. 영구전류 초기 충전을 위하여 1.2 m 길이의 ReBCO 도체 종단부에 스테인리스 히터를 부착하여 영구전류 스위치를 구성하였다. 발생된 자기장의 시간적 균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4 시간동안 홀센서를 사용하여 대기압 액체질소 77.3 K에서 자기장을 측정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Bi2212 Rutherford cables (대전류 통전용 Bi2212 러더포드 도체 제작 및 특성 평가)

  • Kim, Sang-Chul;Ha, Dong-Woo;Oh, Sang-Soo;Oh, Jae-Gun;Han, Il-Yong;Kim, Ki-Chang;Shon,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96-296
    • /
    • 2008
  • 대용량의 초전도 전력기기에 사용되는 도체는 일반적으로 대전류를 통전할 수 있는 도체를 필요로 한다. 특히 SMES와 같이 펄스적으로 운전하는 코일에서 도체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교류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도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닥의 소선을 꼬아서 만드는 러더포드 케이블로 제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소선이 원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Bi-2212 고온초전도선은 유일하게 원형 상태에서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이 선의 개발 및 케이블 공정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i-2212 고온초전도 소선을 사용하여 Rutherford 케이링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이 장치를 이용하여 복합 다심의 Bi-2212 초전도 소선을 8본, 20본 그리고 30본의 Bi-2212 러더포드 케이블을 110 m 길이까지 가공하였다. 제조한 러더포드 케이블 시료를 열처리에서의 부분용융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열처리 조건을 연구하였고, 77K, 64K 그리고 4.2K에서 임계전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초전도 소선의 미세 조직을 관찰을 통하여 초전도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래서 30본의 Bi-2212 러더포드 케이블에서 4.2K 온도로 환산하였을 때 5000 A를 초과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Cases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to Electrical Power System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전력계통 적용 사례 분석 연구)

  • Ko, Yun-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7
    • /
    • pp.775-780
    • /
    • 2015
  • Because of the advantages such as the zero electrical resistance effect that disappears in the vicinity of the absolute temperature and the magnetic levitation effect, the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are being tried in a variety of fields. But, those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use because of the difficulty for the realization of the superconducting critical temperature. Recently, however, because the high-temperature super conductors was discovered newly which show superconductivity more than $30^{\circ}K$, the application researches based on it are being tried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issues by surveying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to electrical power system.

초전도 케이블용 절연재료의 절연파괴 특성과 기구에 관한 연구 II

  • 김상현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5 no.3
    • /
    • pp.303-309
    • /
    • 1992
  • 향후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전력수요에 대비한 새로운 대전력 수송방법의 필요성이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초전도 케이블이 필요하나 신뢰성, 안정성, 결제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극저온절연 기술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특히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하는 초전도체 케이블의 냉각 및 절연재료로 사용될 액체 N$_{2}$(LN$_{2}$)의 절연파괴특성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LN$_{2}$의 절연파괴에 미치는 기포의 영향을 조사하고 정침에서는 정 Streamer, 부침에서는 기포파괴기구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The design of HTS insert coil and LTS background magnet for NMR research (NMR 연구를 위한 HTS insert coil 및 LTS background magnet 설계)

  • Choi, Suk-Jin;Hwang, Young-Jin;Kim, Young-Jae;Chang, Ki-Sung;Ko, Tae-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744_745
    • /
    • 2009
  • 고해상도의 NMR 연구 개발을 위해서는 고자장의 마그넷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고자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온초전도체를 이용한 마그넷뿐만이 아니라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한 인서트 코일의 연구가 필요하다. 연세대학교에서는 국가지정연구실사업으로 단백질 구조 규명의 초고자장 NMR 실현을 위한 고온초전도 인서트 코일 기술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온초전도 인서트 코일 연구를 위해 제작할 LTS background magnet과 HTS 인서트 코일에 대한 전자장 해석을 진행하였다. 균일도나 선재 사양 등의 주요 변수 등을 고려하여 LTS background magnet과 HTS 인서트 코일에 적합한 사양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