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온 연료 분사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가스터빈 연소기 모사 조건에서의 Jet A-1 코킹시험 (Jet A-1 Coking Tests under Conditions Simulating Gas Turbine Combustor)

  • 이다인;이강영;한선우;안규복;유경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22
  • 가스터빈에서 연료는 분사기를 통해 연소기에 공급될 때까지 고온 환경에 노출된다. 탄화수소 연료는 고온 조건에서 코킹이 발생하여 코킹 물질이 연료관에 퇴적되거나 분사기 통로를 막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터빈 내부에 위치한 연료관을 모사한 시편과 Jet A-1을 전기적인 장치들을 이용해 가열하였다. 스테인리스강 시편의 벽면 온도와 시편에 공급되는 Jet A-1의 온도를 변화시키며, Jet A-1 코킹시험을 수행하였다. 코킹이 발생한 시편들을 절단한 후 코킹 물질과 내부 표면을 에너지 분산 X-선 분석기와 전계방사형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분석하였다.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용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 문일윤;유재한;하성업;문인상;이수용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51.2-151.2
    • /
    • 2012
  • 터보펌프 구동에 사용된 가스발생기 생성가스를 연소기로 공급하여 주추력 발생에 사용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은 고추력을 요하는 우주 발사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예연소기라 부르며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가 사용된다. 예연소기는 터보펌프 구동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연소기 생성가스의 횡단면 온도분포는 터빈에 의해 제한되는 온도범위 내에서 균일하여야 하며 넓은 운전영역에서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는 모든 추진제가 혼합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방식과 추진제를 혼합헤드와 연소실로 나누어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기술검증을 위해 산화제 일부와 연료를 혼합헤드를 통해 연소실에 공급하여 1차 연소시키고 나머지 산화제를 연소실 냉각채널을 거쳐 연소실 중앙의 분사공을 통해 연소실로 주입하여 기화시키는 형태로 최종적으로 연소압 20MPa, 혼합비 60에서 작동하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를 설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혼합헤드에는 별도의 점화용 분사기 없이 전체 연료 분사기를 통해 점화용 연료인 TEA/TEB 혼합물을 분사하여 점화하였다. 추진제를 2단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압식 연소시험 설비에서 10회, 누적 60초 이상의 연소시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연소시험결과 넓은 작동영역에서 안정적 연소특성과 생성가스 온도 분포의 균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 고압의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확보를 통해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상변화를 동반한 액상분무의 거동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Liquid-phase Spray with Phase Change)

  • 염정국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1
    • /
    • 2010
  • 분사연료의 혼합기형성과정 최적화를 통한 연소제어 기술은 디젤기관의 기관운전 및 배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분무의 혼합기형성 최적화를 위해서는 분사된 연료와 주위기체와의 혼합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분무내부의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 불가결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의 증발장에서 분무의 액상 거동에 주목하고, 그 거동특성을 통하여 증발디젤분무의 혼합기형성을 해석한다. 비정상 증발분무의 중심축에 레이저 시트광을 입사한 후, 액상분무 액적의 Mie 산란광에 의한 2차원 화상을 획득하여 증발분무 액상의 속도분포 및 와도(vorticity) 등을 구하였다. 분무의 속도분포 및 와도는 2차원 화상에 PIV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그림 1에 본 연구에서 구한 속도분포의 일례를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로 상변화를 동반하는 비정상 증발장에서 구한 분무액상의 거동 특성은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비증발장에 있어서의 분무거동특성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케로신-산소 로켓 동축 분사기 난류 연소에서 리세스의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Recess on the Turbulent Combustion of Kerosene/LOx Coaxial Rocket Injector)

  • 최정열;신재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2-95
    • /
    • 2011
  • 케로신-산소 동축 로켓 분사기의 난류 연소를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다단 준 총괄 반응 기구를 개발하였다. 이 반응 기구는 가상의 케로신 연료가 수소와 일산화 탄소로 분해된 이후 고온 영역의 상세 산화 반응들로 구성되어 있다. 난류 연소의 LES 해석을 위하여 5차의 WENO 기법을 이용하였다. 반응 및 비 반응 유동의 난류 특성을 살펴 보았으며 리세스의 존재가 난류의 생성과 연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심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환원제로서 바이오디젤 혼합연료가 HC-SCR의 NOx 변환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Biodiesel Blend Fuels As Reductants on NOx Conversion Efficiency of HC_SCR)

  • 송호영;이민호;김기호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140-145
    • /
    • 2015
  • 본 연구는 경유를 2차 분사연료로 사용하는 HC-SCR 후처리장치에서 2차 분사연료의 바이오디젤 함량 변화(BD0, BD10, BD25)에 다른 NOx 변환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조건은 HC-SCR 장치의 특성, 2차 분사연료의 distillation 등을 고려하여 장치 전단온도는 $290^{\circ}C$, $320^{\circ}C$, $350^{\circ}C$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속도는 55,000(1/h)으로 고정하고 연료분사량을 조절하였다. Distillation 시험결과, T90은 약 $350^{\circ}C$로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바이오디젤 함량이 증가할수록 $350^{\circ}C$보다 낮은 조건에서 증발량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2차 분사연료에 혼합된 바이오디젤 함량이 증가할수록 NOx 저감효율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저온조건($290^{\circ}C$)보다 고온조건($320^{\circ}C$, $350^{\circ}C$)에서 NOx 저감율의 차이가 더 크게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디젤의 열악한 증발특성(Distillation)과 높은 분자량인 것으로 추측된다.

고온에서 벽면 형상에 따른 GDI 분무의 충돌 과정 및 연료 액막 형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Impingement Process and Fuel Film Formation of GDI Spray according to Wall Geometry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 심영삼;최경민;김덕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66-174
    • /
    • 2008
  • Numerical study on the impingement process and the fuel film formation of the hollow-cone fuel spray was conducted under vaporization condition, and the effect of the wall cavity angle on spray-wall impingement structure was investigated.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a will help in designing injection systems and controlling the strategies to improve engine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s of the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engine. The improved Abramzon model was used to model the spray vaporization process and the Gosman model was adopted for modeling of spray-wall impingement process. The calculated results of the spray-wall impingement proces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velocity field of the ambient gas, the Sauter Mean Diameter (SMD) and the generated fuel film on the wall, which are difficult to obtain by the experimental method, were also calculated and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radial distance after the wall impingement and the SMD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avity angle and the temperature.

막가습기와 공기극 재순환을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가습특성 해석 (Study on PEM-Fuel-Cell Humid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Membrane Humidifier and Exhaust Air Recirculation Units)

  • 변수영;김범준;김민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4호
    • /
    • pp.337-344
    • /
    • 2011
  •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서 공급 기체의 가습은 연료전지의 효율과 수명 향상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가습 방법으로 물 분사나 막가습기, 엔탈피 휠 등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 가습 방법은 시스템 부피를 크게 하고 고출력 구간에서 가습량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가습 장치의 효율과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 효율을 높이려면, 연료전지의 고온다습한 배출기체로부터 열과 수분을 회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고온다습한 배출공기를 재순환하여 공급공기를 1 차로 가습하고 소형의 막가습기로 2 차 가습하는 복합가습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가습 시스템 설계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터빈방식 펌프 LPi연료공급 시스템의 엔진 고온재시동 시 LPG 조성비에 따른 연료레일에서의 압력 및 온도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uel rail temperature and pressure characteristics with LPG composition during hot restart condition of LPi engine with turbine type pump)

  • 이강주;김주원;명차리;박심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3323-3328
    • /
    • 2007
  • Conventional LPG pump for Liquified Petroleum injection(LPi) engine has been adopted vane type. But the BLDC type fuel pump for LPi system has complicated structure and its price is high. Therefore, as a alternative, this study has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urbine type LPG pump which has lower cost and simple structure than conventional BLDC type.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substitute the performance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fuel pump. The comparative items were pressure settling time, variation of fuel outlet temperature and engine performance of hot restart ability. As a result, performances of turbine type LPG pump were equivalent or high comparing to the BLDC type all over the tests for different fuel composition.

  • PDF

고온.고압용기에서의 핀틀노즐의 분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ies Spray characteristic of Pintle type Nozzle on High Pressure Chamber)

  • 송규근;정재연;오은탁;류호성;안병규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7-73
    • /
    • 2002
  • The characteristics of fuel spray influence on the engine performances such as power, fuel economy and emissions. therefore, the measurement of fuel spray characteristics is very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heat engine. The factor which controls the fuel spray is injection pressure, ambient pressure, engine speed et al.. In :his study, We measured spray angle, spray penetration and spray tip velocity considering injection pressure(10,14㎫), ambient pressure(3,4,5㎫), fuel pump speed(500,700,900rpm) i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hamber.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jection pressure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spray namely As Injection pressure Is increased, spray angle is decreased but spray penetration and spray tip velocity is increased. 2) Spray angle, spray penetr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fuel pump speed. 3) Ambient press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ray characteristics.

  • PDF

탄소섬유 강화 탄화규소 세라믹 복합소재 초음속 재생냉각 연소기 개발 (Development of regenerative scramjet combustor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ceramic matrix composites)

  • 김세영;김수현;한인섭;우상국;성영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32-235
    • /
    • 2017
  • 초음속 스크램제트 연소기는 약 2000K 이상의 고온과 빠른 유속을 가지는 연소 환경에 노출되며 현재 inconel 등의 고온 금속 소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소재는 1000K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물성 저하 현상이 크게 나타나 장시간 및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고온 내열 소재로 주목 받는 섬유강화 세라믹 복합소재를 스크램제트 연소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연소효율 향상을 위해 고온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재생냉각형 연소기 제조를 위한 기초 기술을 개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