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압송전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초초고압송전기술과 그 문제

  • 상지원친좌
    • 전기의세계
    • /
    • v.25 no.5
    • /
    • pp.3-12
    • /
    • 1976
  • 일본에서는 송전전압 500kV 이상의 전압에 의한 송전을 초초고압송전이라고 부르고 있다. 1952년 신북육간선이 초고압 275kV로 운전개시한 이래 1973년 초초고압 500kV 방총간선이 운전개시하기까지의 약 20년간 초고압 275kV 송전이 주간선으로서 활약하였다. 500kV 송전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해명해 두어야 할 기술적 문제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송전전압이 275kV의 2배가까이 승압됨으로 여기에 따른 송전선료 및 변전소의 외부전연 및 변압기의 절연문제등이 큰 문제로 될 것이다. 여기서는 1.운전전압과 송전용량에 대해서 2.운전전압 및 상용주파과전압에 대해서 3.송전선의 코로나방잔과 도체설계에 대해서 4.송전선의 절연설계에 대해서의 4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 PDF

Evaluation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emission Level from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고압 송전선로에서 극저주파 자기장 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Jung, Joon Sig;Choi, Sung Ho;Jeon, Hyung Jin;Kim, Yoon Shin;Hong, Seung Cheo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3 no.5
    • /
    • pp.353-36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LF-MF emission level of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258 facilities near located to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and 120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17 underground cable lines. In addition, ELF-MF reduction rate according to separation distance was calculated by using simulations. An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showing below 4mG was at least 70m. In the case of the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for 120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154kV required 20m of separation distance and 345kV required 60m of separation distance.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showing below 4mG was 40m and 60m for overhead 154kV and 345kV respectively. To adjust the worst conditions considering the asp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udy and the electric power currents tha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 appropriat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for HVTL is judged to be above 70m in this study. Thu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greenbelt or buffer zone within 70m so a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eceptors are not exposed and thereby eliminate the risk factors of ELF-MF against humans.

Assessment of Harmonic Emission Limits for Customer at HV System (고압 수용가의 고조파 방출 한계 평가)

  • Wang, Yong-Peel;Jeon, Young-Soo;Kwak, No-Hong;Kim, Se-D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59-60
    • /
    • 2008
  • 비선형 부하의 급증으로 고조파로 인한 문제가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고조파 관리 기준 및 적용절차의 미비로 제대로 된 고조파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송전계통에 연계되어는 있는 고압수용가에서 계통으로 유출할 수 있는 고조파 크기를 산정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국외에서는 IEC 61000-3-6 고조파 관리기준을 바탕으로 고압 수용가의 고조파 허용치 산정 알고리즘이 개발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을 국내 송전계통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국내 송전계통 실정에 맞는 알고리즘으로 보완하고, 마이크로 소프트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압 수용가 고조파 허용치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21세기 에너지개발과 고압직류(HVDC) 송전의 역할

  • 변종달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83
    • /
    • pp.62-67
    • /
    • 2000
  •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1999년도 파워 엔지니어링 소사이어티(PES) 윈터 미팅이 미국 뉴욕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여기에서는 고압직류(HVDC)송전 기술이 21세기의 에너지개발 프로그램에서 수행하게 될 역할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리스트들은 HVCD 기술이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 것이며, 직류송전의 유리한 점을 적용시킬 수 있는 전세계의 지역, 기대되는 HVDC 기술의 혁신 그리고 이들이 민간주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그들을 또한 전력공급산업에 나타나고 있는 HVDC 송전연계 시스템에 대한 규제철폐의 충격에 대하여 토의하였으며, 기술혁신이 직류 변환소이 건설비를 감축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제기된 문제에는 아래의 것이 포함되어 있다. - 기설 교류 송전시스템을 직류방식으로 전환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 -투자자 소유의 독집 직류방식 송전선로 프로젝트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인가? -시스템 성능을 본질적으로 개선 시킬 수 있도록 직류방식 송전시스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개선책은 무엇인가? PES의 에너지개발 및 발전위원회의 국제분과위원회 위원장인 토마스 J. 하몬스 씨(영국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 대학)가 세션의 좌장을 맡았으며, 매니토바 하이드로(캐나다)의 데니스 우드포드씨가 모더레이터 역을 맡았다. 그리고 하몬스 씨와 우드포드 씨가 이 세션을 계획$\cdot$준비하였다. 이 문제에서 국제적인 시야를 가지는 패널리스트들은 HVDC 송전기술의 장래에 대한 전망을 가지는데 비하여 북아메리카에 국한된 시야를 가지는 패널리스트들은 HVDC 사용에 대한 장래의 잠재성을 낮게 보고 있는 것이 흥미로운 일이다.

  • PDF

IGBT explosion test (IGBT 폭파시험)

  • Jeong, Jong-Kyou;Seo, Dong-Woo;Jung, H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50-351
    • /
    • 2019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한 시스템이다.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해서는 전력변환기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단위 서브모듈이 직렬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기구적으로 하나의 밸브 구조물에 6개의 서브모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특징 중에 하나는 예비모듈이 구성되어 가용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모듈의 IGBT 폭파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가 주변 서브모듈에 도달해 절연파괴를 발생시키는지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Test of Sub-Modules for High Voltage DC Transmission System-Base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고압 직류송전망을 위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서브모듈 특성시험)

  • Seo, Dong-Woo;Jeong, Jong-Kyou;Jung, H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4-345
    • /
    • 2019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단위 유닛인 서브모듈로 구성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구조를 갖는다. 서브모듈의 신뢰성 확보 및 설계 검증은 HVDC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 크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효성이 개발하는 200MW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서브모듈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특성시험을 나타낸다. 특성시험을 통해서 개발 중인 서브모듈의 성능과 보호동작을 검증한다.

  • PDF

Electric Power Line Dips Measurement Using Drone-based Photogrammetric Techniques (드론 기반 사진측량기법을 활용한 고압 송전선의 처짐량 측정)

  • Kim, Yu Jong;Oh, Jae Hong;Lee, Chang N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5 no.6
    • /
    • pp.453-460
    • /
    • 2017
  • High 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s have been to keep the proper dip for maintenance. Powerline dips at a random point are conventionally measured by the direct or indirect observation but it is not only unsafe but labor-intensiv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hotogrammetric technique to remotely measure the powerline dips. Since it is not easy to extract conjugate points from linear powerlines, we exploited the epipolar lines acrossing the powerlines for 3D mapping of the powerlines and dip measurements. The vertical mapping accuracy estimated at two field-surveyed power line points was 15~16cm that are within 5% of deflection at the points and less than 3% of the powerline d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