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속철도차량시스템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Performance Test Standard Plan for KHSR Rolling-stock System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의 성능시험기준(안) 개발)

  • Wang,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b
    • /
    • pp.79-84
    • /
    • 2005
  • 고속철도는 한번에 1천명에 달하는 승객을 태우고 시속 300km를 넘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만큼 성능과 안전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증이 필수적이며, 특히 새로운 차량시스템의 개발은 철저한 성능검증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시험평가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고속도 350km/h인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 개발사양의 성능요구 조건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핵심 개발품 단위별 구성품 시험, 개발품 단위간의 조합시험, 차량에서의 기능 동작 확인을 위한 완성차시험(단차시험 및 편성시험)및 전기신호 및 선로구축물 시스템과의 적합성 및 연계성을 확인하는 시운전 시험으로 구분하여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의 성능시험 체계 및 성능시험 기준(안)의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Safety Design Requirement for KHSR Rolling-stock System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의 안전설계 요건 분석)

  • Wang,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b
    • /
    • pp.74-78
    • /
    • 2005
  • 최고속도 350km/h의 한국형 고속철도시스템은 안전보장과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시스템 위험분석에 근거한 안전검증과 성능확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차량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개발요건과 위험도 분석에 근거한 안전성능요건을 근거로 하여, 차량시스템에 대한 일반 안전요건, 구조적 안전요건 및 핵심 장치별 안전요건으로 구성된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의 안전설계 요건분석 결과를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Design Requirement and Performance Test Standard for KHSR System (한국형 고속철도 시스템의 안전설계요건 분석 및 성능시험준안 개발)

  • Wang, Jong-Bae;Park, Chan-Woo;Kwak, Sang-Log;Park, Jo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48-49
    • /
    • 2005
  • 한국형 고속철도시스템은 최고운행속도 350km/h로 주행하는 고속열차(시제열차 7량 편성)의 개발에 성공하여 현재 시운전 시험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국내 기술로 새롭게 개발된 한국형 고속철도 시스템은 고속운행에 따른 엄격한 안전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하며, 특히 고속-대량의 수송수단으로서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어떠한 시스템보다 엄격한 안전확인 및 성능검증을 위한 철저한 시험평가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고속철도 시스템 개발에 적용한 안전설계 요건의 분석내용을 제시하고,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의 안전성능 요건을 입증하기 위한 성능시험 체계로서 구성품 시험, 완성차시험(단차 및 편성 시험) 및 시운전 시험으로 구분한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시스템에 대한 성능시험기준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ATP Installation Strategy for Railway Long-term Development in Korea (철도 장기 발전전략에 입각한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도입 방안)

  • 유병관;양근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205-211
    • /
    • 2002
  • 본고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ATP 도입의 필요성 및 시스템 선정의 적절성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철도신호 분야 뿐만이 아닌 우리의 환경변화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철도의 장기 발전전략에 부합하는 APT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ATP 도입시 고려해야 할 주요 환경변화로는 고속철도개통, 기존철도시스템과의 조화와 관련한 기술발전 측면, 틸팅차량 등 기존선 속도향상, 전철화, 복선화 등 철도영업거리 확장 및 남북철도연결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바람직한 차상신호장치 도입을 위해서는 차량과의 적합성에 있어서는 기존차량, 특히 속도계장치와의 호환성, 시설분야에 있어서는 설치작업 및 향후 유지보수의 용이성과 국산화 가능성, 향후 남북철도 연결과 고속 철도의 기존선 연계운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장기적인 철도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철도의 기반시설과 차량 등의 현황과 향후 변동요인을 반영하여 가장 바람직한 ATP 표준기준을 용역 등을 통해 설정하고, 업체선정, 적어도 1년 정도의 시험기간을 거쳐 실용화 단계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고속전철의 세계적 기술개발 현황과 한국형 고속전철

  • 이종찬
    • 전기의세계
    • /
    • v.38 no.6
    • /
    • pp.12-18
    • /
    • 1989
  • 한국형 고속전철을 고려하는데 있어서 위에서의 기술적인 측면보다도 오히려 수송용량, 경제성, 운영방식의 측면에서 더 많은 비중을 두고 검토해야 하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측면에서 한국형 고속전철은 한국의 지형조건, 경부간의 연변인구, 현경부선의 장래, 고속전철의 운영방식, 한국철도의 기술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고 한국형이어야 한다. 한국형 고속전철은 1. 경부간 고속전철의 거리는 380Km정도이므로 2000년대의 국민 일인당 시간가치를 기준으로 최고속도를 결정하여야 하고 표정속도는 190Km/h이상이어야 한다. 2. 고속화를 위한 필수조건인 차량의 축중을 17톤 이하로 제한하여야 하고 기존의 철도차량이 고속전철선에 야간열차등으로 투입되더라도 이 원칙은 유지되어야 한다. 3. 수송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차편성당 좌석수는 800석 이하로 확보되어야 한다. 4. 기존선에서의 연장운행이 불가피하므로 기존선의 차량한계 내에서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어야 하고 전력공급은 기존선 방식인 A/C25KV, 60HZ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5. 고속전철의 건설비용, 차량의 제작비, 기술이전도, 국산화율 등을 고려한 시스템이어야 한다. 한국형 고속전철은 위의 기본원칙을 최소한 만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 PDF

고속차량도입과 향후과제

  • 정용완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2.10b
    • /
    • pp.741-751
    • /
    • 2002
  • 21세기 무한경쟁시대에 대비하여 국가산업의 경쟁력제고는 물론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은 2004년 4월 개통을 목표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을 통하여 우수하고 완벽한 성능의 고속열차도입과 함께 첨단기술을 이전받아 기술수준을 향상시켰고 G7 연구개발 사업으로 시속 350Km급의 차세대 차량을 설계, 제작할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철도는 육로 교통수단과 달리 시스템적 특성이 매우 강하다. 즉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전자 등 각 분야의 균등한 기술발전을 도모하여야 철도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으며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습득한 각종 기술은 향후 건설사업의 독자적 추진을 가능케 하였으며, 철도차량의 제작사뿐만 아니라 부품업체가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철도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railroad vehicles cycle and method (철도차량 검수주기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Yu, Yang-Ha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8-166
    • /
    • 2007
  • After constructing the high-speed railroad, KORAIL acquired advanced maintenance techniques about Rolling-stocks. Also RCM theory is applied to maintenance field like as inspection period and method. In the meantime, the development of the maintenance methode for Rolling-stock is slow when it compares to the components and system technology. For this reason KORAIL tries to build the optimal maintenance system which can lead the Rolling-stock maintenance technique. The existing vehicle except High Speed train KTX are separated to electric motor car, electric locomotive, diesel locomotive, diesel car, passenger car and freight car. The inspection period and methode for existing vehicles which mentioned above will be examined and the optimal Rolling-stock maintenance technique will be applied.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Auxiliary Block for High Speed Railway Vehicle (고속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특성 연구)

  • Han Young-Jae;Kim Seog-Won;Park Chan-Kyoung;Han Seong-Ho;Lee Su-Gil;Kim Jong-Young;Kim 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310-1312
    • /
    • 2004
  • 현재, 고속철도차량의 국내기술확보를 위해 한국형 고속전철이 개발되어 단품시험, 완성차시험, 공장시험 등을 통해 기본적인 성능을 확인한 후 현재는 본선시운전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시제차량의 성능 및 기능을 종합적이고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고속철도 시운전시험시 상시 계측시스템을 시제차량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시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조전원장치에 대한 성능평가와 고장진단을 실시한 것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고속철도의 자기진단(self-Diagnosis)기술

  • 김길상;황희수
    • 전기의세계
    • /
    • v.43 no.6
    • /
    • pp.19-26
    • /
    • 1994
  • 본 고에서는 고속철도에 사용된 자기진단기술의 특성 및 요소기술을 설명하고 프랑스 TGV의 차량용 On board 자기진단시스템의 기능과 열차제어 및 신호시스템에 적용된 자기진단 기능을 소개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Conceptual Design Study on Contact Loss Simulator for a Interface of High-speed Overhead Conductor Rail (고속 강체 전차선로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선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

  • Jung, No-Geon;Lee, Jae-Bong;Chang, Chin-Young;Kim, Jae-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79-1580
    • /
    • 2015
  • 철도차량의 동력원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디젤차량에서 최근 고속전철 및 도시철도차량, 경량전철 등 전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도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개활지 등 지상구간에 적용되고 있는 가공전차선 방식과 지하구간, 터널 등에 적용되고 있는 강체가선방식 그리고 경량전철 등에 채용되고 있는 제 3궤조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지하구간의 가선시스템에 적용되던 T-Bar방식의 강체가선 방식에서 탈피하여 고속주행이 가능한 R-Bar방식의 강체가선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까지 지하구간의 터널구조에서 강체전차선로를 급전시스템으로 채택할 경우 열차의 최고속도는 국내의 경우 90km/h, 국외의 경우 160km/h를 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한 제품이 개발되어 열차운행 최고속도를 200~250km/h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설계속도 250km/h 급 R-bar방식 강체전차선로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선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집전성능과 관계가 있는 전기철도차량 이선현상 요인 및 영향 분석하였으며 강체전차선로 운행에 따른 이선 등으로 인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이선 현상 모의 시뮬레이터 개념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