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속도로건설

Search Result 31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고속도로공사 재해유형에 따른 안전확보기법 연구(고속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 양학수;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7-203
    • /
    • 2002
  • 고속도로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한 간선도로로 장거리 통행을 주 교통으로 하여 지정된 진출입외에는 완전히 출입을 제한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영문으로는 freeway, Expressway, Motorway등으로 표기한다. 고속도로 건설은 정부투자 기관인 한국도로공사(Korea Highway Corporation)에서 공사를 발주하여 주로 대형건설업체들이 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공관리는 대개 도로공사 건설사업소 단위로 시행하고 있다. 고속도로 건설공사의 개략적 구성을 보면 토공, 구조물공, 배수공, 터널공, 부대공 등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시공형태는 대형화, 기계화 되어감에 따라 재해의 유형도 변화가 일고 있다.(중략)

  • PDF

인물포커스 - 제2영동고속도로(주) 강희용 사장

  • 사)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46
    • /
    • pp.8-15
    • /
    • 2008
  • 지난 2003년부터 제안, 추진된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그간 시행여부를 두고 우여곡절을 겪었던 사업으로 알려져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활동이 실패하면서 한때, SOC 투자 타당성 재검토설이 나오는 등 쉽지 않은 사업을 총괄 지휘하고 있는 제2영동고속도로(주) 강희용 사장으로부터 공사현호아 및 비젼 등 모든 것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PDF

고속도로공사 재해유형에 따른 안전확보기법 연구 (고속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 양학수;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1-127
    • /
    • 2002
  • 고속도로(고속도로)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한 간선도로로 장거리 통행을 주교통으로하여 지정된 진출입외에는 완전히 출입을 제한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영문으로는 Freeway, Expressway, Motorway등으로 표기한다. 고속도로 건설은 정부 투자 기관인 한국도로공사(Korea Highway Corporation)에서 공사를 발주하여 주로 대형건설업체들이 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공관리는 대개 도로공사 건설사업소 단위로 시행하고 있다.(중략)

  • PDF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Severity of Highway Traffic Accidents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Yoon, Byoung-Jo;Lee, Sun-min;WUT YEE LW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57-258
    • /
    • 2023
  •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1년의 고속도로 교통사고 위치 좌표를 콘존 데이터와 결합한 후 파이캐럿을 활용하여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 모델을 선정하고 채택된 Random Forest 기법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대하여 분석하고 사고 심각도 개선을 위한 대안 방안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정! 건설현장 - (주)포스코건설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203
    • /
    • pp.21-23
    • /
    • 2014
  • 지난 1984년 개통된 88올림픽 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담양군'과 '대구시 달성군'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동서교류를 확대하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국내에서 유일한 왕복 2차선 고속도로인 것은 물론 중앙분리대가 없는 유일한 고속도로로 유명하다. 즉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때문에 현재 88올림픽 고속도로가 포함된 제12호선 고속국도에서는 왕복 4차선으로의 확장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오늘의 주인공인 (주)포스코건설은 고속국도 제12호선의 담양~성산 간 확장공사 제3공구 현장을 책임지고 있다. 확장공사가 이뤄지는 목적이 고속도로 운전자들의 안전성 제고에 있는 만큼 이곳에서는 그 취지가 무색해지지 않게 근로자들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있다. 이곳 현장에서 어떤 안전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지 찾아가 봤다.

  • PDF

프랑스의 고속도로 환경대책(해외문헌소개 2)

  • Park, Gwang-Seok
    • 도로교통
    • /
    • s.70
    • /
    • pp.80-84
    • /
    • 1997
  • 1950년대초의 프랑스 고속도로 연장은 겨우 80km에 불과하여 고규격도로의 정비는 주변 구주 여러나라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뒤떨어져 있었다.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도로사정을 개선하여야 할 고속도로의 건설은 무엇보다 절실한 사안이었다. 이로 인하여 건설을 서둘러 환경에의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환경에 대한 배려가 시작된것은 약 20년전부터 이며 이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Realities and Prospects of Highway Concrete Bridges (고속도로 콘크리트교의 실태 및 전망)

  • 정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19
    • /
    • 2002
  • 우리나라의 고속도로는 1968년 2월 1일 경부고속도로를 착공한 이래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02년 현재 2,637km가 건설되었다. 이는 전체 도로 연장(91,396km)의 약 2.9%에 해당한다(표 1 참조). 고속도로는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99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여 2004년까지 약 3400km, 2020년까지 남북방향으로 7개축(3,291km), 동서방향으로 9개축(2,869km)의 7$\times$9 간선도로망을 목표로 총 6,000km 이상이 건설될 예정이다.(중략)

  • PDF

A Hi-Value Process Establishment for Efficient Implement of Design Value Engineering in Highway (효율적 고속도로 설계VE 수행을 위한 Hi-Value 프로세스 정립)

  • Heo, In;Lee, Yong-Gu;Jeong, Byeong-Cheon;Yang, Jae-Gyeong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6
    • /
    • pp.36-48
    • /
    • 2011
  • 도로건설프로젝트에서의 VE는 도로시설물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건설VE 실무에서는 VE Job Plan 중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형식적으로 수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VE 수행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제조업과 달리 대규모이며 복합공종을 갖는 건설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프로젝트는 대규모 복합공종으로 구성되어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 및 요구성능이 있으며, 시설물이 갖는 기능(Function)과 요구성능(Required Performance)의 일부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E Process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품질모델(Quality Model)과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단계에서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수차례 실무 검증을 통하여 적용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속도로 VE Job Plan은 고속도로 설계 업무절차에 부합하도록 개선하여 VE 수행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제안하였으며, 또한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하는 고속도로 대한 VE절차를 "Hi-Value"라 명명하고 실무활용성, 효율성을 확대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갈 계획이다.

Development of Standard Work Type to Utilize Drone at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드론 활용을 위한 표준공종 개발)

  • Lee, Suk Bae;Jeong, Min;Auh, Su Chang;Kim, Jong J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461-468
    • /
    • 2021
  • The role of drones is increasing day by day in smart construction that manages construction sites with 3D data in every life cycles. This is because both the digital surface model (DSM) and the orthoimage obtained for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drone are made of point cloud data.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andard work types for drone use in order to systematically utilize drones in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For the study, two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in Korea were set as test beds, and construction types applicable to drones were derived and verified through a pilot pro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construction work types were developed for road planning, road design and maintenance, respectively, and in road construction, twenty-one detailed construction types were developed for five construction work types. It is expected that drones can be used more systematically not only at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but also at other road construction sites by utilizing the "standard work type at expressway construction site for drone use" develop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