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Chloride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Concrete Using Metakaolin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 특성)

  • Lee, Changsoo;Kim, Youngook;Nam, Changsi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7 no.1
    • /
    • pp.21-31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replaced Silicafume with Metakaolin that is used to lightweight concrete to better performance. So, this study made high-performance lightweight concrete using Metakaol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and chloride ion diffusion. Consequently, it is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is lower than lightweight concrete using Silicafume, the performance of compressive strength contrast Silicafume is about 88 to 95%. Also, this study got a content result because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showed the performance in around 80 to 90%. As a result, this study insist that replacement ratio of Metakaolin is suitable for 10 to 15%.Silicafume and Metakaolin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similar to the performance of alternative materials is possible.

Flexural Behaviors of RC Beams Strengthened by Light Concrete Precast Composite Panel with an Advanced Fiber Sheet (고성능 섬유쉬트를 부착시킨 경량 프리캐스트 복합패널로 보강된 RC보의 휨거동)

  • 안상호;윤정배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483-491
    • /
    • 2002
  •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concerning the flexur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by the external bonding of the new reinforcement material, which is composite panel with an advanced fiber sheet bonded on light concrete precast panel. The structural behaviors of strengthened beams are compared with codes in terms of yield load and ultimate load, deflection, flexural stiffness, ductility. Thirty nine large-scale beams were tested experimentally to evaluate the strength enhancement provided by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beams strengthened with composite panel are structurally efficient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strengthened beams are improved comparing with beams strengthened with fiber sheet.

Effect of Metakaolin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ellular Concrete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에서의 메타카올린 강도 증가 효과)

  • Hwang, Eun-A;Lee, Hae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9-490
    • /
    • 2009
  •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akaolin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ggregate cellular concrete. For this purpose, five level replacement ratio of metakaolin were selected.

  • PDF

Batch Plant and Truck Agitator of Ready Mixed Concrete (레미콘의 혼합설비 및 적재 운반설비 관리)

  • Kang, Hun;Lee, Jong-Ryeol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33-39
    • /
    • 2002
  • 레미콘의 품질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콘크리트 사용재료 및 배합뿐만 아니라 레미콘을 제조하는 믹서 및 이를 현장까지 운반하는 트럭 에지테이터의 품질성능에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레미콘 공장의 혼합 설비인 믹서 및 트럭 에지테이터에 관한 국내 자료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이에 관한 연구도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특히, 최근에는 고강도 콘크리트, 고유동 콘크리트,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수중불분리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 등 고성능 콘크리트 성능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레미콘 공장에서도 혼합설비 및 운반설비가 고성능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중략)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olymer Concrete (고성능 경량 폴리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성찬용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7 no.3_4
    • /
    • pp.72-81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olymer concrete using fillers and synthetic lightweight coarse aggreg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unit weight of the G3, G4 and G5 concrete was 1.500t/m$^3$, 1.506t/m$^3$ and 1.535t/m$^3$, respectively. Specially, the unit weights of those concrete were decreased 33~35% than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2. The highest strength was achieved by heavy calcium carbonate, it was increased 27% by compressive, 95% by tensile and 195% by bending strength than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respectively. 3. The elastic modulus was in the range of 8.0 x 104~ 10.4 x lO4kg/cm2, which was approximately 35~42% of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Normal cement concrete was showed relatively higher elastic modulus. 4.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fillers was in the range of 2, 900m/sec, which was showed about the same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Heavy calcium carbonate was showed higher pulse velocity. 5. The compressive, tensile, bending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were largely showed with the increase of unit weight.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 ;R. N. Swanmy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9 no.1
    • /
    • pp.75-82
    • /
    • 1997
  • 건설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구조물은 대형화되어 가고, 건설공사의 급격한 팽창으로 골재 수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천연골재자원은 점차 부족현상을 면치 못할 처지에 있다. 또한, 무리한 천연골재의 채취는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보호 측면에서도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공급량 부족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세계 몇몇 나라에세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골재 생산으로 공해예방과 폐기물 활용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산업부산물중 플라이 애쉬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억여톤에 달하고 있으나 이중 일부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산업부산물인 PFA(Pulverized Fuel Ash)로 만든 인공경량골재의 년생산량이 영국은 600,000$m^3$, 미국은 300,000$m^3$이며, 매년 증가주세에 있다.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단위중량의 증가없이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켜 실용화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플라이 애쉬로 만든 경량골재는 시멘트와의 친화력이나 접착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 사용한 골재는 플라이 애쉬로 만든 인공경량 조골재와 강모래이고, 결합제로서 프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부수적인 결합재로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실리카 흄을 사용하였으며,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개발코자 재령 28일과 180일의 압축강도가 각각 50MPa와 60MPa가 되도록 배합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시리카 흄과 같은 산업부산물을 혼입했을때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동탄성계수, 공극체적, 공극률, 단위중량, 공극 크기별 분포등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구명하여 재반 구조용 콘크리트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저 한다.있어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 사망기전을 연구하기 어렵다. 또한 난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기 때문에 특정한 난소국부호르몬이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힘든 점이 있다. 최근 들어 난포체외배양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각 발육단계의 난포를 절단해 체외배양하면서, apoptosis DNA 절단 현상을 이용하여 각종 난소국부 호르몬들이 난포발육단계별로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해 보였다. 난포는 발육하면서 점차 복잡한 호르몬 경로를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한다. Prevulatory난포생존에 필요한 난소국부호르몬들은 early antral 단계의 난포에서는 그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다가 preantral단계의 난포에서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했다. 단지 예외는 cGMP처리로써, 세포내 cGMP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난포발육단계에 무관하게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장래 연구는 난포 세포내의 cGMP수준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을 것이다.인정되지 않았다. 7. 농지보전 처리구인 배수구와 초생수로구는 비처리구에 비해 낮은 침두 유출량과 낮은 토양유실량을 나타내었다.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 PDF

Analysis of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ALWAC Beam Using Interface Elements (계면요소를 이용한 경량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해석)

  • Rhee, Inkyu;Kim,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A
    • /
    • pp.107-115
    • /
    • 2006
  • A challenging topic was and still is the failure behavior of concrete beam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In spite of substanti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efforts in the past, the mechanism of shear failure is not entirely understood. ALWAC is of importance to the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Most of present concrete research focuses on high performance concrete, by which in meant a cost effective material that satisfies demanding performance requirements, including durability. The advantages of ALWAC are its reduced mass and improved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properties, while maintaining adequate strength.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its ultimate failure behavior has not been well defined for adequate design proces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mainly the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ALWAC beam without web reinforcements numerically with experimental evidences.

Engineering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Surlightweight Aggregate (초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 성찬용;김성완;민정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6 no.4
    • /
    • pp.48-55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lightweight concrete using surlightweight aggregate foaming agent and high performance ag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unit weight of type A, B and C concrete was 0.912t/m$^3$, 1.592t/m$^3$ and 1.070t/m$^3$, respectively. Specially, the unit weight of type A concrete was decreased 42% than that of the type B concrete. 2. The highest engineering property was measured in the lightweight concrete using high performance agent Also, the ratio of tensile and bending strength to compresive streng-th of the lightweight concre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3.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lightweight concrete was in the range of 2.86 x 10 5~9.86 x 10 5 kg/cm$^2$ which was approximately 300% than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4.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the lightweight concrete was in the range 2047~3394 n/sec, which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cement concrete.

  • PDF

Self-filling Trait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Epidemiological Assessment (자기충전형 고성능 LEFC 역학특성평가)

  • Kim, Tae-Wan;Suh, Seung-Hun;Kim, Soo-Yeon;Kwon, Si-Won;Oh, Sang-Keun;Kim, B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25-26
    • /
    • 2018
  • Various concrete material technologies and new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ment of buildings. As part of these new technologies, light transparent concrete, which was invented by Hungarian architect Aron Losonczi and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has a technique of arranging optical fiber inside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light from exterior to concrete to show silhouette inside. However, due to many disadvantages, application to the field was limited and commercialization was not easy. In Korea,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has been developed for commercialization. In order to solve the degradation of construction performa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expensive optical fiber, which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of translucent concrete, It converts expensive fiber into low cost acrylic rod, easy to arrange, pre-assembled to form and post-ca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EFC and to derive optimal combination.

  • PDF

The Characteristic of Physical properties and Shrinkage of Nano-filament according to the Textured Conditions (사가공 조건에 따른 nano-filament의 물성 및 수축특성)

  • Kang, Ji-Man;Cho, Dae-Hyun;Lee, Jun-Hee;Choi, Jo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92-92
    • /
    • 2012
  • 나노필라멘트 섬유는 직편물 등으로 구조/용도 다양화 가능하다. 나노필라멘트 섬유는 소재특유의 닦음성, 흡착성, 고밀도 특성 등을 활용하여 직편물의 형태로 다양한 용도 개발이 가능하며, 나노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기능성과 고성능 섬유 소재 개발을 통한 자동차 분야의 개발 트랜드인 고급화, 경량화, 고성능화 추진을 위해 연료전지, 신슐레이터, 고성능 필터, 시트나 도어트림, 헤드라인과 같은 인테리어류와 전자 분야의 제조원가 절감, 공정 단순화를 위해 프린터 토너, 하드디스크 연마제, 다용도 No Dust Cleaner 등의 개발, 의료/바이오 분야의 혈액필터, 수술용 보호제, 창상억제제(유착 방지막), 항균마스크, 의료용 약물전달 시스템 및 환경 분야의 정수/공기 정화 시스템, 건축 토목용 보강제, 고(高)인성 콘크리트, 폐수처리용 슬러리 담체(Matrix) 등 다양한 분야로 용도 개발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나노필라멘트의 다양한 분야로의 용도 개발 적용의 기초연구로서, 부직포 상으로 얻어지는 나노섬유 제조기술의 단점인 직경의 불균일, 물리적 특성의 한계와 필라멘트가 아닌 단섬유로 인해 발생하는 용도 및 상품 개발에의 제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필라멘트를 생산가능한 해도형 복합방사 방법을 도입하여 개발한 장섬유 필라멘트 형태의 해도형 나노 섬유 소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방사된 SDY 형태의 나노필라멘트 섬유를 제직상에서의 작업성 용이 및 직물의 벌키성 증대와 Crimp성을 향상 시켜 터치감 및 후가공에 용이할 수 있도록 DTY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 일반 POY사에서의 DTY공정과는 달리 소재의 특성 즉, 해도사의 해성분 및 도성분의 후공정을 감안하여 최적의 Crimp는 발현하되 단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사가공 조건을 설정 하고 이에 따라 가공사를 생산하여 공정조건에 따른 가공사의 물성 및 수축특성을 비교 분석 하여 염색 및 후가공시 소재의 물성 및 수축특성이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