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해능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iO2/C-TiO2 microcone 복합체의 제조와 리튬이차전지 적용

  • Ha, Jae-Yun;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71-71
    • /
    • 2018
  • 현재 상용화된 Graphite 음극활물질의 경우 낮은 부피당, 무게당 용량을 가지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다. $SiO_2$는 Si에 비해서는 낮은 용량이지만 metal oxide 계열 중 가장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리튬 이온과 반응 시 큰 부피팽창을 하며, 절연체로 전기전도도가 낮아 리튬이 차전지의 음극재로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OS를 이용하여 탄소와 $SiO_2$를 동시에 $TiO_2$ microcone 구조에 코팅하여 3가지 물질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용량을 증대시키고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소개 한다. 음극재의 특성은 고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 (HR-SEM), 고분해능 엑스선 회절분석기 (XRD), 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순환전류법 (CV), 충 방전 싸이클 분석을 통해 리튬이차전지의 작동원리와 보다 향상된 성능을 규명하였다.

  • PDF

Novel Interrogation System for Dynamic Strain Measurement based on Fiber Bragg Grating Sensor using Long Period Grating Pair and EDF (광섬유 장주기 격자와 어븀 첨가 광섬유를 이용한 동적 스트레인 센싱을 위한 새로운 고분해능 파장 측정 시스템)

  • Jung, Jae-Hoon;Lee, Yong-Wook;Lee, Byo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c
    • /
    • pp.605-60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광섬유 장주기 격자쌍과 두 장주기 격자 사이에 삽입된 어븀 첨가 광섬유를 이용하며,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헤드에 가해지는 동적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고분해능 파장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측정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이 기존의 비대칭 마하 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파장 측정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높은 분해능을 갖고,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변동 또한 훨씬 적어진 것을 보였다.

  • PDF

Computer Simulations of HRTEM Images in GaAs/AlAs/InGaAs Epilayers (GaAs/AlAs/InGaAs 에피층의 고분해능 TEM 이미지 전산모사)

  • Lee, Hwack-Joo;Ryu, Hyun;Lee, J.D.;Nahm, Sahn
    • Applied Microscopy
    • /
    • v.26 no.4
    • /
    • pp.479-487
    • /
    • 1996
  • Thin epilayer structures of GaAs/AlAs/InGaAs, grown by Molecular Beam Epitaxy, were investigated by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 in the [110] zone axis was taken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images. The supercell structure which contains GaAs, AlAs and InGaAs layers was designed and was employed in the image calculation with MacTempas computer program. Good agreement was shown between experimental image and a set of calculated images with varying defocus and sample thickness.

  • PDF

Theory of High Resolution TEM Image Formation: Coherence (2) (TEM 관련 이론해설(7): 투과전자현미경의 고분해능 영상이론: 결맞음 (2))

  • Lee, Hwack-Joo
    • Applied Microscopy
    • /
    • v.36 no.1
    • /
    • pp.1-6
    • /
    • 2006
  • In this review, the important ideas of coherence theory are introduced. The transfer function and damping envelopes of the microscope due to temporal and spatial coherence are described. The passbands and the condition of Scherzer focus are discussed in associated with the resolution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characterization of coherence is also described.

Microstructural Studies of $\textrm{Pb}\textrm({Mg}_{1/3}\textrm{Nb}_{2/3})\textrm{O}_3$ Solid Solutions by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textrm{Pb}\textrm({Mg}_{1/3}\textrm{Nb}_{2/3})\textrm{O}_3$고용체의 미세구조 연구)

  • Park, Gyeong-Su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6
    • /
    • pp.517-521
    • /
    • 1997
  • 고분해능 전자현미경과 컴퓨터 이미지 시뮬레이션이 La이 첨가되고 또한 첨가되지 않은 Pb(Mg/ sub 1/3/Nb$_{2}$3/)O$_{3}$고용체의 미세구조를 연구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불규칙격자 영역의 격자 이미지는 정방정 형태와 유사 육방정 형태를 각각 보였다. 규칙격자 영역에서 Mg과 Nb의 비화학양론적인 규칙격자 구조 현상이 <111>방향에 따라 관찰되었다. 실험 격자 이미지와 컴퓨터 시뮬레이션 이미지의 비교로부터, 규칙격자 구조를 가지는 영역의 장거리 규칙도는 0.2-0.7의 값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규칙격자는 (NH$_{4}$)$_{3}$FeF$_{6}$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작은 값의 장거리 규칙도를 가지는 규칙격자를 가지는 영역에서, 변형률 파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대부분 두 양이온이 그들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원자 변위가 없었기 때문이다.

  • PDF

Rotor Position Estimation Algorithm of PM Synchronous Motor with Low Resolution Position Sensors (저분해능 위치센서를 갖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위치 추정 알고리즘)

  • Choi, Hae Jun;Nam, Myung Joon;Kim, Hag Wone;Cho, Kwan Yuhl;Lim, By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13-214
    • /
    • 2015
  •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벡터제어를 위해서는 고분해능의 회전자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위치센서로 홀 센서를 사용 할 경우, 저분해능으로 인해 위치 추정에 한계가 있어 정밀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위치 추정 알고리즘은 홀센서 정보와 추정 위치의 직교 특성을 이용한 위치추정 방식을 통하여 회전자의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