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분자 첨가제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31초

회전 Disk계에서 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마찰저항감소 연구 (A Study of Drag Reduction by Polymer Additives in Rotating Disk Geometry)

  • 최형진
    • 유변학
    • /
    • 제3권1호
    • /
    • pp.76-85
    • /
    • 1991
  • 적은양의 분자량이 큰선형 고부자를 수용액에 첨가함으로서 얻어지는 마찰저항가소 연구가 rotating disk 장치를 이용해 수행되었다. 마찰저항 감소제로 poly(ethylene oxide)와 poly(acrylamide)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분자량 고분자 농도, disk 의 회전속도 및 온도 등 여러 가지 인자에 대한 마찰정항감소의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마찰저항 감소 효과와 고분자 용액의 점도평균 분자량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고분자 퇴화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 였다. 마찰저항감소는 고분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임계농도에 도달할때까지 증가하였고 낮은 농도에서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일수록 더욱 큰 마찰저항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찰 감소 진행 중의 높은 전단력에 기인하는 고분자의 분해는 고분자 농도가 낮은데에서 더욱두 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온도 효과의 연구로부터 poly(acrylamide)가 poly(ethylene oxide)보다 열적으로 안정함을 알수 있었다.

  • PDF

상전이법에 의한 Polyetherimide 기체분리막 제조에서의 첨가제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용재;최성부;윤현희;김병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4-95
    • /
    • 1997
  • 1. 서론 : Polyetherimide를 이용하여 기체분리용 고분자막을 제조하여 막 구조에 대한 첨가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막 제조는 상전환법에 기초한 습식방사법을 이용하여 Polyetherimide막을 제조하였다. 상전환법에 의한 막의 제조에 있어 막의 구조 및 투과성능은 사용되는 고분자용액의 농도 및 solvent의 종류 그리고 nonsolvent와 고분자 용액에 사용되는 첨가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 PDF

바인더용 고분자 첨가제에 따른 잉크젯 인화지의 잉크흡수 특성변화 (Change of Ink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k-Jet Printing Paper with Polymeric Binder)

  • 김철용;이명천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50-555
    • /
    • 2006
  • 잉크젯프린터용 잉크가 수성화되어 감에 따라 전용 인화지에 사용되는 코팅제 역시 수성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수성 코팅제에 사용되는 재료를 살펴보면 안료로는 알루미나솔, 주 바인더로 폴리 (비닐 알콜), 부족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첨가제를 사용한다. 된 연구에서 사용된 고분자 첨가제는 스티렌과 부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구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아크릴 아미드 단량체들을 조합하여 에멀션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중합시 비이온 및 음이온 유화제를 혼합 혹은 단독으로 사용하고, 단량체 조합과 고분자 첨가제의 입자구조를 변화시켜 흡수성, 퍼짐성, 광학밀도의 인쇄적성과 광택도 내수성 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음이온 유화제나 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같이 음이온성이 큰 물질을 사용한 경우 알루미나 솔과의 상용성에서 문제를 야기하였고 아크릴 아미드는 인쇄적성에서 뛰어난 결과를 얻었지만 광택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메타크릴산이 함유된 경우 광택도는 향상되었지만 인쇄적성이 떨어졌다.

내한성 케이블 적용을 위한 난연 입자 강화 열가소성 고분자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평가 (Physical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Particulate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s for Cold-Resistant Cable)

  • 이진우;심승보;박재형;이지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5호
    • /
    • pp.309-316
    • /
    • 2022
  • 저온 환경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급격한 개발 요구에 따라 내한성을 가지는 케이블 재료에 대한 요구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약 20개 이상의 첨가제와 폴리머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내한특성이 크게 좌우된다. 저온에서의 고분자 경화현상은 단순 온도에 의한 효과와 유리 전이온도에서의 취화 및 경화, 고분자의 결정화에 의한 경화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머와 난연제 및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전선용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평가를 하였다. 첨가제와 상용화제의 첨가량에 따라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 등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저온용으로 개발하는 전선 요구성능 충족을 위한 최적화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이미드계 중공사막의 생성구조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 of Additives on Formation Structure of Polyetherimide Hollow Fiber Membrane)

  • 정용재;최성부;김수용;윤현희;김병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1-92
    • /
    • 1998
  • 1. 서론 : 고분자를 소재로 하는 중공사막의 제막은 일반적으로 상전환법(phase inversion method)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 방법에 의한 비대칭막의 생성은 용매가 고분자용액을 빠져나가는 속도와 응결액이 고분자쪽으로 침투되는 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막의 1차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 속도를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조절하므로서 막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imide(PEI) 중공사막의 첨가제로서 dioxane 등 9종류를 사용하여 중공사막의 생성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저온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합성고분자 수용액의 퇴화원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gradation Alleviation of Synthetic Polymer Solution Using Addition of Surfactant Additives at Low Temperature)

  • 김난진;이재용;윤석만;김종보
    • 에너지공학
    • /
    • 제9권2호
    • /
    • pp.102-108
    • /
    • 2000
  • 난류상태로 유동중인 고분자 수용액은 순수 용매만의 경우에 비교할 때 동일유량에서 초기에 높은 마찰 저항감소효과를 보이며, 이러한 마찰저항감소효과는 펌프의 펌핑능력 증대로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고분자 수용액은 그 극적인 마찰저항감소효과에도 불구하고 유동중에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 열에너지 등에 의해서 초기의 높은 마찰저항감소효과를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고분자 수용액의 퇴화를 완화시키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퇴화특성이 비교적 강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농도합계를 100wpm 으로 고정하고 비율을 11가지로 세분화하여 , 1$0^{\circ}C$의 온도에서 유속 1.5m/sec , 3.0m/sec 및 4.5m/sec 에 대한 퇴화경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적정비율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각 속도에서 시간에 따른 퇴화경향은 고속에서 기계적 에너지에 대한 퇴화를 볼 수 있었고, 계면활성제와 합성고분자를 혼합하여 첨가했을 경우 저온에서도 퇴화완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이온성 액체를 함유한 고분자 겔 전해질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Ionic Liquid Contained Polymer Gel Electrolyte)

  • 류상욱;송의환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85-89
    • /
    • 2008
  • 이온성 액체인 N-methoxymethyl-N-methylpyrrolidium bis(trifluoro-methansulfonyl)imide (MPSI)를 첨가제로 함유하는 acrylate 계열의 단량체를 다관능기형 acrylate 가교제와 함께 carbonate 용매에서 중합, 겔형의 고분자 전해질을 합성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은 고분자의 함량, 가교제의 종류, 이온성 액체의 함량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인장강도를 조사하여 고분자 및 이온성 액체의 함량이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성분의 최적화는 고분자 함량 15 wt%, 이온성액체 30 wt% 그리고 5 wt%의 가교제를 함유한 겔 전해액으로 달성되었고, 0.5 MPa의 기계적 물성과 0.8 mS/cm의 우수한 상온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