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자 첨가제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Drag Reduction by Polymer Additives in Rotating Disk Geometry (회전 Disk계에서 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마찰저항감소 연구)

  • 최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1
    • /
    • pp.76-85
    • /
    • 1991
  • 적은양의 분자량이 큰선형 고부자를 수용액에 첨가함으로서 얻어지는 마찰저항가소 연구가 rotating disk 장치를 이용해 수행되었다. 마찰저항 감소제로 poly(ethylene oxide)와 poly(acrylamide)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분자량 고분자 농도, disk 의 회전속도 및 온도 등 여러 가지 인자에 대한 마찰정항감소의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마찰저항 감소 효과와 고분자 용액의 점도평균 분자량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고분자 퇴화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 였다. 마찰저항감소는 고분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임계농도에 도달할때까지 증가하였고 낮은 농도에서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일수록 더욱 큰 마찰저항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찰 감소 진행 중의 높은 전단력에 기인하는 고분자의 분해는 고분자 농도가 낮은데에서 더욱두 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온도 효과의 연구로부터 poly(acrylamide)가 poly(ethylene oxide)보다 열적으로 안정함을 알수 있었다.

  • PDF

상전이법에 의한 Polyetherimide 기체분리막 제조에서의 첨가제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용재;최성부;윤현희;김병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94-95
    • /
    • 1997
  • 1. 서론 : Polyetherimide를 이용하여 기체분리용 고분자막을 제조하여 막 구조에 대한 첨가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막 제조는 상전환법에 기초한 습식방사법을 이용하여 Polyetherimide막을 제조하였다. 상전환법에 의한 막의 제조에 있어 막의 구조 및 투과성능은 사용되는 고분자용액의 농도 및 solvent의 종류 그리고 nonsolvent와 고분자 용액에 사용되는 첨가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 PDF

Change of Ink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k-Jet Printing Paper with Polymeric Binder (바인더용 고분자 첨가제에 따른 잉크젯 인화지의 잉크흡수 특성변화)

  • Kim, Chul-Yong;Lee, Myung-Cheon
    • Polymer(Korea)
    • /
    • v.30 no.6
    • /
    • pp.550-555
    • /
    • 2006
  • The coating material for the ink-jet printing paper tends to be waterbase as the waterbase ink-jet ink is used more widely. Waterbase coating material consists of alumina sol as a pigment, poly(vinyl alcohol) as a main binder and polymeric additive for improving properties. In this study, polymeric auditive was synthesized by combining one or toto monomers among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and acrylamide to the basic monomers, styrene and n-butylacrylate. The properties of printability such as ink absorption, ink spreading, and optical density, glossiness and water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kinds of surfactants, the composition of monomers and the structure of polymer particles. Results showed that materials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or acrylic acid had problems in com-patibility with alumina sol. Also, coating materials containing acrylamide had good printability and lout glossiness while those containing methacrylic acid did not have good printability and high glossiness.

Physical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Particulate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s for Cold-Resistant Cable (내한성 케이블 적용을 위한 난연 입자 강화 열가소성 고분자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평가)

  • Lee, Jinwoo;Shim, Seung Bo;Park, Jae Hyung;Lee, Ji Eun
    • Composites Research
    • /
    • v.35 no.5
    • /
    • pp.309-316
    • /
    • 2022
  • The demand for cold-resistant cable material is increasing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devices that operate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Cold tolerance of a thermoplastic polymer largely depends on the type and content of about 20 or more additives used to make the polymer. The phenomenon of polymer hardening at low temp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hardening by simple temperature effect, embrittlement 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hardening by crystallization of polymers that tend to crystallize. In this study, a thermoplastic polymer having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 flame retardant, and an additive were mix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 material for electric wir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dditives and compatibilizers added,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optimization to meet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wires developed for low-temperature use.

The Effect of Additives on Formation Structure of Polyetherimide Hollow Fiber Membrane (폴리이미드계 중공사막의 생성구조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 정용재;최성부;김수용;윤현희;김병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91-92
    • /
    • 1998
  • 1. 서론 : 고분자를 소재로 하는 중공사막의 제막은 일반적으로 상전환법(phase inversion method)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 방법에 의한 비대칭막의 생성은 용매가 고분자용액을 빠져나가는 속도와 응결액이 고분자쪽으로 침투되는 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막의 1차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 속도를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조절하므로서 막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imide(PEI) 중공사막의 첨가제로서 dioxane 등 9종류를 사용하여 중공사막의 생성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Study on the Degradation Alleviation of Synthetic Polymer Solution Using Addition of Surfactant Additives at Low Temperature (저온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합성고분자 수용액의 퇴화원화에 대한 연구)

  • 김난진;이재용;윤석만;김종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2
    • /
    • pp.102-108
    • /
    • 2000
  • 난류상태로 유동중인 고분자 수용액은 순수 용매만의 경우에 비교할 때 동일유량에서 초기에 높은 마찰 저항감소효과를 보이며, 이러한 마찰저항감소효과는 펌프의 펌핑능력 증대로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고분자 수용액은 그 극적인 마찰저항감소효과에도 불구하고 유동중에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 열에너지 등에 의해서 초기의 높은 마찰저항감소효과를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고분자 수용액의 퇴화를 완화시키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퇴화특성이 비교적 강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농도합계를 100wpm 으로 고정하고 비율을 11가지로 세분화하여 , 1$0^{\circ}C$의 온도에서 유속 1.5m/sec , 3.0m/sec 및 4.5m/sec 에 대한 퇴화경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합성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적정비율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각 속도에서 시간에 따른 퇴화경향은 고속에서 기계적 에너지에 대한 퇴화를 볼 수 있었고, 계면활성제와 합성고분자를 혼합하여 첨가했을 경우 저온에서도 퇴화완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Ionic Liquid Contained Polymer Gel Electrolyte (이온성 액체를 함유한 고분자 겔 전해질의 특성연구)

  • Ryu, Sang-Woog;Song, Eui-Hwan
    • Polymer(Korea)
    • /
    • v.32 no.1
    • /
    • pp.85-89
    • /
    • 2008
  • Acrylate polymer gel electrolytes containing N-methoxymethyl-N-methylpyrrolidium bis (trifluoro - methansulfonyl) imide (MPSI) as an ionic liquid were synthesiz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carbonate solvent.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gel electrolytes were investigated by impedance analyzer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polymer, and ionic liquid and type of crosslinker.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of polymer gel electrolytes was 0.8 mS/cm at $25^{\circ}C$ with 15 wt% of polymer, 30 wt% of ionic liquid and 5 wt% of crosslinker. The mechan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polymer gel electrolytes increased with additional polymer contents and had the maximum value of 0.5 MPa with a reasonable ionic con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