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자 농도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orous Silicon Urea Sensor with Conductive Polymer Matrix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공성 실리콘 요소센서)

  • Jin, Joon-Hyung;Hong, Suk-In;Min, Nam-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c
    • /
    • pp.1788-179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바이오 센서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서 다공성 실리콘을 이용한 요소 센서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센서의 감도나 내구성 측면에서 보면 전도성 고분자를 전기중합(electropolymerization)한 후 효소를 전착(electrodeposition)하여 고정화하는 것보다는 PSi 표면에 효소를 코팅한 후 그 위에 고분자를 전기 중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SEM 이미지와 EDX 스펙트럼 분석 결과로부터 urease와 polypyrrole(PPy)이 다공질 실리콘 표면에 코팅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요소 농도가 1mM$\sim$1M 영역(일반적인 혈중 요소 농도는 $20{\mu}M{\sim}30{\mu}M$)에서 감도는 $30{\mu}A/decade$ 였다.

  • PDF

Development of miniaturized glucose sensor based on glucose oxidase immobilized on polypyrrole-ferricyanide films on platinum electrodes (소형화된 glucose 센서 제작 및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

  • Yun, Dong-Hwa;Yang, Jung-Hoon;Jin, Joon-Hyung;Min, Nam-Ki;Hong, Su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248-250
    • /
    • 2002
  • 본 논문은 당뇨병의 지표물질인 glucose의 농도를 극미량의 시료를 사용하여 정량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효소 고정화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극은 실리콘 웨이퍼상에 마이크로 크기의 전극을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마이크로 전극에 전도성 고분자 Polypyrrole(PPy) 및 glucose oxidase(GOx)를 고정화한 고감도의 전기화학 전극을 개발하였다. 도전성 고분자의 전기 화학적 중합은 순환 전압 전류법으로 하였으며, 용액의 액성에 따른 효소의 표면 전하를 이용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코팅한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고 GOx를 도우핑 하였다. 제작된 전극은 시간대 전류법으로 glucose의 농도에 따른 감도 측정결과 마이크로 리터의 시료에 $5{\mu}A$/decade를 얻었다. 전극의 표면분석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X)를 이용하였다.

  • PDF

The Properties of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with ITO/PEDOT:PSS/MEH-PPV/Al Structure (ITO/PEDOT:PSS/MEH-PPV/Al 구조의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 연구)

  • Gong, Su-Cheol;Chang, Ho-Jung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2 no.3 s.36
    • /
    • pp.213-217
    • /
    • 2005
  • The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PLED) with ITO/PEDOT:PSS/MEH-PPV/Al structure were prepared on ITO(indium tin oxide)/Glass substrates using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lnate)] as the hole transport material and MEH-PPV[poly(2-methoxy-5-(2-ethyhexoxy)-1,4phenylenvinylene)] as emission material layer. The dependences on the surface roughnees and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film layer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MEH-PPV concentrations$(0.1\;wt\%\~0.9\;wt\%)$. The RMS values decreased from 1.72 nm to 1.00 nm as the concentration of MEH-PPV increased from $0.1\;wt\%\;to\;0.9\;wt\%$, indicating improvement of surface roughness. In addition, friction coefficients decreased from 0.048 to 0.035, which means the deteriorating of the adhesion condition. The PLED sample with $0.5\;wt\%$ of MEH-PPV showed the maximum luminance of $409\;cd/m^2$.

  • PDF

The dyeability of the heat resistant and biodegradable polyester with the variation of dyeing temperature (염색온도에 따른 고내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염색성)

  • Kim, Moon-Joung;Kim, Jong-Hoon;Park, S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85-85
    • /
    • 2011
  •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s)는 환경 문제와 인간의 생명 유지와 같은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적용 분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국내 플라스틱의 폐기량만 해도 2003년을 기준으로 연간 4,000톤을 쉽게 넘고 있고 재활용되는 양은 전체의 1/3 수준이며, 나머지 2/3는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로, 분해 가능한 화학합성 섬유"로서, 미생물이 분비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고분자 쇄가 절단, 저분자량 화합물이 돼 미생물의 체내로 흡수되며, 이것이 미생물의 체내에서 효소작용에 의해 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섬유로 정의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중 화학합성 고분자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고분자는 특히 환경 산업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의 물성은 고분자의 결정화도 뿐만 아니라, 압력, 온도 등에 의해서 변할 수 있는 결정 구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생분해성 섬유는 실용화가 이미 시작됐고, 다용도화와 수요 확대를 위해 많은 연구소와 대학, 기업들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석유자원이 고갈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므로 이에 따라 화석자원의 절약과 유효 이용을 위해서라도 바이오 베이스 폴리머를 주원료로 한생분해성 섬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섬유 중에서 75%의 비중을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대체 가능한 고내열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직물을 제조하여 범용 폴리에스테르와 염색온도에 대한 염색성을 고찰하였다. 염색온도($100^{\circ}C$, $110^{\circ}C$, $120^{\circ}C$, $130^{\circ}C$)별, 3종의 분산염료의 농도(0.25,0.5,1.0,2.0%o.w.f)별 Build-up성 및 균염성을 비교하였으며, 염색 시료의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 PDF

The Prediction of Solvent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Using Vrentas-Duda's Self Diffusion Theory (Vrentas-Duda의 자기확산이론을 이용한 용매의 상호확산계수 예측)

  • 김종수;이광래;김기창
    • Membrane Journal
    • /
    • v.10 no.1
    • /
    • pp.19-29
    • /
    • 2000
  • To estimatc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for the analysis of mass transfer phenomena in polymer/solvent system, two models are proposed and the equations are derived. The estimates of mutual diffusion coefficients are obtained by two models suggested in this work and compared with and experimental data and Vrentas-Duda's. Vrentas-Duda's self diffusion coefficient was used for the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Derivative of chemical potential on solvent was derived and used using original UNIFAC-FV and modified UNIFAC-FV. However, Vrentas-Duda's equation for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contains Flory-Huggins parameter x. For the derivative of chemical potential term, Vrentas-Duda assumed that parameter x was constant and independent of temperatures and concentrations The assumption is one of shortcoming in vrentas-Duda's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New methods proposed in this work do not have such assumptions and simplifications. For the solvent of cyclohexane, n-pentane, and n-hexane in PIB(polyisolbutylene) and PMS-BR (poly(p-methylstyrene-co-isobutylene), new methods well correlate the experimental data at various temperatures and concentrations, and predicted the experimental data much better than Vrentas-Duda's for the PIB/toluene system. It is shown that new methods are excellent tools for correlating mutual diffusion coefficient data in polymer/solvent system over wide ranges of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without any assumptions or simplifications.

  • PDF

Preparation of Diabetic Diagnostic Membranes with Phenoxy-Carboxylatophenoxy Cosubstituted Polyphosphazenes (페녹시기와 카르복시레이토페녹시기가 함께 치환된 포스파젠 고분자를 이용한 당뇨병 진단막의 제조)

  • Kwon, Suk-Ky
    • Membrane Journal
    • /
    • v.27 no.2
    • /
    • pp.138-146
    • /
    • 2017
  • The new types of phenoxy-carboxylatophenoxy cosubstituted polyphosphazene were synthesized with various substitution rates. Diabetic diagnostic membranes were prepapared with these types of polyphosphazenes and final absorbances at 680 nm through these membranes were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glucose in blood. Basically, the end-point results of varying absorbance values according to time (K/S) had a linear relationship to the glucose concentration. The effects of substitution rates with hydrophilic carboxylatophenoxy groups and hydrophobic phenoxy groups on the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ments were examined. It was very difficult to measure glucose concentration in less than 10% of the hydrophilic substitution rates, because the glucose penetration rate was too slow. But dose-response slope (DRS) values between glucose concentration and K/S values increased as the hydrophilic substitution rates increased in more than 10% of the hydrophilic substitution rates. However, in more than 30% of the hydrophilic substitution rates, DRS value was too rapidly increased, because glucose penetration rate was too fast.

Decreasing Particle Size of Paclitaxel Using Polymer in Fractional Precipitation Process (고분자물질을 이용한 분별침전 공정에서 파클리탁셀의 입자크기 감소)

  • Kim, Min Jae;Kim, Jin-H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2
    • /
    • pp.278-283
    • /
    • 2016
  • In this study, we have for the first time applied fractional precipitation with hydrophilic polymer in order to decrease the particle size of the anticancer agent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Whe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hydrophilic polymer was employed, the addition of hydrophilic polymer in fractional precipit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paclitaxel precipitate. Among the polymers used, HPMC 2910 was the most effective for inhibition of precipitate growth. A polymer concentration of 0.2% (w/v) obtained the smallest particle size. The particle size was reduced by ~35% compared to control. In addition, the precipitate siz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the zeta potential.

Preparation of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with PVK:Ir(ppy)$_3$ Emission Layer (PVK:Ir(ppy)$_3$ 발광층을 가지는 고분자 발광다이오드의 제작)

  • Lee, Hak-Min;Gong, Su-Cheol;Choi, Jin-Eun;Chang, Ho-J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01-203
    • /
    • 2008
  • ITO 투명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고 PEDOT:PSS 고분자 물질위에 PVK와 Ir(ppy)3를 각각 host와 dopant로 사용하여 고분자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전자 수송층의 역할로 TPBI, 음극으로 Al을 증착하여 최종적으로 ITO/PEDOT:PSS/PVK:Ir(ppy)3/TPBI/LiF/Al 구조를 갖는 녹색 인광 고분자 유기발광소자(PhPLED)를 제작하였다. 제작 된 소자의 발광부 dopant인 Ir(ppy)3도핑 농도에 따른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PVK:Ir(ppy)3를 host와 dopant system으로 dopant Ir(ppy)3의 도핑 양을 0.5 wt%에서2.5 wt%까지 씩 변화시키면서 최적의 농도를 찾고자 하였다. TPBI를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 하였을 경우 최대 휘도는 약 8600 cd/$m^2$ (at 8V)이고, 전류밀도는 337mA/$cm^2$ 를 나타내었다.

  • PDF

습도를 이용한 정밀여과막의 pore size 제어

  • 홍재민;강용수;안규홍;김은영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4a
    • /
    • pp.38-38
    • /
    • 1994
  • 일반적으로 다공성 비대칭막은 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하는데, 분리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적절한 용매에 녹인 제막용액을 일정한 두께로 casting하고 이를 비용매에 담가서 binodal/spinodal decomposition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분리막의 성능은 표면층에 존재하는 pore의 크기와 그 분포 및 porosity에 의해 결정된다. 표면층의 pore size와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간 고분자 용액내의 고분자 농도조절, 첨가제의 사용, 비용매의 조성을 바꾸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asting된 고분자 용액을 비용매에 침잠시켜 다공성막을 형성시킬 경우 막의 표면과 비용매 사이의 계면에서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이 일어난다. 용매-비용매 교환이 일어나면 제막된 고분자 용액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 상분리가 일어난다. 이 때 용매-비용매의 교환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 pore-size의 분포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 PDF

정밀여과막의 공경 및 분포 제어

  • 홍재민;하성룡;강용수;안규홍;김은영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76-76
    • /
    • 1994
  • 일반적으로 다공성 비대칭막은 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하는데, 분리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적절한 용매에 녹인 제막용액을 일정한 두께로 casting하고 이를 비용매에 담가서 binodal/spinodal decomposition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분리막의 성능은 표면층에 존재하는 pore의 크기와 그 분포 및 porosity에 의해 결정된다. Casting된 고분자 용액을 비용매에 침지시켜 다공성막을 형성시킬 경우 막의 표면과 비용매 사이의 계면에서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이 일어난다. 용매-비용매 교환이 일어나면 제막된 고분자 용액내의 비용매의 양이 증가되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 상분리가 일어난다. 그런데, 이때 용매-비용매의 교환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므로 pore-size 및 그의 분포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표면층의 pore size와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간 고분자 용액내의 고분자 농도조절, 첨가제의 사용, 비용매의 조성을 바꾸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