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자

Search Result 9,125,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Polymeric Materials for Pervaporation Membranes (투과증발막을 위한 고분자 재료)

  • 제갈종건;이규호
    • Membrane Journal
    • /
    • v.7 no.4
    • /
    • pp.157-166
    • /
    • 1997
  • 고분자를 크게 두가지로 대별해 보면 유리상 고분자(Glassy polymer)와 고무상 고분자(Rubbery polymers) 혹은 일레스토머로 나눌수가 있으며 이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에 따른 분류이다. 즉 유리전이온도가 상온 보다 높아 상온에서 유리상인 고분자를 유리상 고분자라 하고 유리전이온도가 상온보다 낮아서 상온에서 고무상인 고분자를 고무상 고분자라 한다. 이들 두 종류 고분자는 화학적 구조, 화학적 성질, 그리고 물리적 성질면에 있어서 상당히 다르다.

  • PDF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VDF under an external electric field (외부전장하에서 PVDF의 결정화 거동)

  • 김갑진;이종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59-263
    • /
    • 2001
  • 고분자의 적용 범위가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고분자의 용액이나 고분자 용용물 및 고분자/고분자의 용융블렌드의 processing에서 단순히 온도와 압력의 변화만을 이용하지 않고 특히 전기활성 고분자나 유전상수가 매우 큰 고분자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외부전장을 가한 상태에서 processing하는 경우가 많다. (중략)

  • PDF

고분자/(18-Crown-6) 복합박막 제조 및 $k^+$ 이온의 전달 특성

  • 심재동;남석태;최성부;김병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10a
    • /
    • pp.61-62
    • /
    • 1993
  • 고분자 분리막의 투과성과 선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PN막, 고분자/액정 복합막을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메탈이온을 분리하기 위하여 고분자 지지체에 운반체로써 crown ether(macro-cyclic polyether)류를 분산시킨 고분자/운반체 복합박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운반체 복합박막은 고분자와 운반체의 혼합용액을 수면에 전개시켜 제조하였다. 고분자는 PVC(M.W 60000, Aldrich), PS(M.W 280000, Aldrich)와 CA(M.W 30000, Sigma)를 사용하였고, 운반체로는 crown ether 중 $K^+$이온과 선택성을 가지는 18-Crown-6(Sigma)를 사용, 고분자와 18-Crown-6의 증량분을 달리하는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용매는 Tetrahydrofuran를 사용하였다. 수면에 생성된 박막을 다공성 지지막에 적층시킨 후 감압 건조시켜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와 운반체가 혼합되어 있는 용액의 점도와 표면장력을 각각 fluid spectrometer와 tensionmeter를 사용, 용액이 수면위에서 완전한 막을 형성하면서 분산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고분자 지지체에 분산 고정된 운반체의 분산형태와 표면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ESCA를 이용하였다.

  • PDF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light intensity를 통한 액정성의 확인

  • 최선호;김환철;박병기;김학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87-89
    • /
    • 1998
  • 액정 고분자는 고분자가 용융 또는 용액상태에서 결정성을 보이는 고분자를 말하며, 그 중에서도 열방성 액정 고분자(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는 열에 의하여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말한다. 이 액정 고분자는 용융점(T$_{m}$ )이상에서도 결정이 존재하여 액상의 고분자와 결정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가 상존하는 열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큰 특징이며,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등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중략)

  • PDF

저분자와 고분자 물질로 제작한 혼합 발광층의 혼합 비율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에 대한 연구

  • Go, Eun-Im;Jeon, Yeong-Py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95.2-395.2
    • /
    • 2014
  • 백색유기발광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낮은 소비전력,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과 높은 박막 특성으로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해 주목을 받고 있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주로 R-G-B 영역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전압의 변화에 따라 재결합 영역이 변화되면서, 색 안정성이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색 안정성을 나타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을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한 후, 열처리에 의한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한가지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위에 저분자 발광물질을 적층하여 홀주입을 향상하여 청색 발광층을 형성한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물질과 혼합되는 고분자 물질의 혼합 비율과 혼합 층 두께에 따른 적색 고분자 다공성 박막의 변화를 원자힘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혼합된 두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의 차이에 의한 응집도의 차이로 인하여 혼합물 박막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미세구조의 경사도가 높아지고,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의 미세구조의 형태는 두 가지 고분자 혼합물의 혼합 비율의 변화에 따라 미세구조의 밀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 결과는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과 효율 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Thermal Properties of blends of Poly and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Poly과 열방성액정 고분자 블렌드의 열적 성질에관한연구)

  • 김명섭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3
    • /
    • pp.250-260
    • /
    • 1995
  • 스크류 압출기로 제조한 poly(ether ether ketone) (PEEK)과 p-hydroxy benzoic acid/poly(ethylene tere-phthalate) (HBA/PET)의 공중합체인 열방성 액정 고분자의 블렌드 를 전조성에 대하여시차 주사 열분석기 (DSC)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연구하 였다. 측정된 유리전이 온도와 유리전이 온도에서의 열용량 증가분으로부터 PEEK가 액정고 분자에 녹아들어가는 양보다 액정 고분자가 PEEK에 녹아들어가는 양이 더 많음을 알수 있 었다. 고분자-고분자상호작용계수($\chi$12)값은 35$0^{\circ}C$에서 0.069$\pm$0.004이었고, 짝상에서 액정고 분자의 degree of disorder는 PEEK의 질량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블렌드에서 PEEK의 결정화에 액정 고분자는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고 액정 고분자의 결정화 역시 PE 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폴로지연구에서는 액정 고분자를 PEEK에 10%첨가시에 PEEK 의 메트릭스상에서 액정 고분자가 신장된 타원형을 형성하였으며 액정 고분자를 20% 첨가 시에는 액정 고분자가 섬유상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 PDF

Compatibility Studies of Blends of Engineering polymers and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엔지니어링 고분자와 열방성 액정고분자 블렌드의 상용성에 관한연구)

  • 전용성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2
    • /
    • pp.53-59
    • /
    • 1997
  • 열방성 액정고분자(LCP)와 polycarbonate(PC) poly(ether imide) (PEI) poly(PEEK), polysulfone(PSF), 그리고 polyarylsulfone(PAS)과의 블렌드에 대한 상용성을 연구하였다. 제조된 블렌드의 상거동에서 액정고분자가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rich 상 에 녹아 들어가는 양이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가 액정 고분자 -rich상에 녹아들 어가는 양보다 많음을 알수 있었다. 측정된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 결과로부터 PC, PEI, PEEK와 액정고분자 사이의 상용성이 PSF, PAS와 액정 고분자 사이의 상용성에 비하여 더 좋음을 알수 있었다. 액정 고분자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고분자-고분자 상호작용계수($\chi$12)를 결정하였으며, PC, PEI, PEEK, PSF, 그리고 PAS를 포함한 액정 고분자 블렌드에서 $\chi$12는 0.078-0.183으로 나타났다.

  • PDF

Q-state Potts Model을 활용한 고분자의 크기 묘사

  • Lee, Gyeong-Hun;Kim, Jae-Uk;Kim, U-Y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82-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의 해밀토니안을 Q-state Potts-Model로 근사하여, 2, 3차원 형태의 선형 고분자 시스템을 모사하고자 한다. 고분자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와 아닌 경우에 대하여 전산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분자의 크기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흔히 사용되는 Flory's Theory와 달리 고분자의 대표적인 특성인 지수(exponent)에 대하여 더 유동적인 관계식을 얻어낼 수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분자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scaling argument가 잘 적용되는지를 확인해보았으며, 그 결과 일부의 경우에서만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rand-Canonical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다이오드의 메커니즘 연구

  • Lee, Dong-Hyeok;Jang, Rak-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80-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Grand-Canonical Monte Carlo 시뮬레이션(GCMC)을 이용하여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띤 고분자 전해질의 정전기적 특징을 이해하고, 고분자 전해질 다이오드의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고분자 전해질과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띤 이온들의 모델은 전하를 띤 free-jointed hard chain과 hard sphere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진은 위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형 상태일 때의 고분자 전해질과 이온의 분포를 연구하였으며, 이 시스템에 전압을 걸어줌에 따라 이온의 이동 모습을 관찰하였다. 또한 전압의 효과와 더불어 고분자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들의 크기 변화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Na-alginate/Poly(vinyl alcohol) 블렌드막의 기체투과 특성

  • 김민정;염경호;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45-46
    • /
    • 1996
  • 기존의 기체분리 방법과 비교해 볼때 막분리법은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기체를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있다. 그러나 막분리법으로 기체를 분리할 경우 기체분리에 사용되는 고분자막은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상용 기체분리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고분자의 종류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고분자 막이 갖는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분자를 블렌드 시킴으로서 고분자의 기체투과 특성 및 물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된 바 있다. Paul은 고분자를 블렌드시켜 막을 제조하여 기체분리에 적용한 연구에서 블렌드막이 각각 단일 고분자로 제조한 막과는 다른 물성을 나타내며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막의 기체투과 특성뿐만아니라 기계적 물성에도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a-alginate와 PVA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블렌드막을 제조하고 제도된 막을 대상으로 물성 및 기체투과 특성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Na-alginate/PVA 블렌드가 막 물성 및 기체투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