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로

검색결과 46,185건 처리시간 0.062초

제철용 고로 구조물의 열응력 유한요소 해석 (Thermal Stress Finite Element Analysis of Iron-manufacturing Furnace Structures)

  • 한대석;백점기;이제명;김원범;이만승;최우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90
    • /
    • 2005
  • 제철용 고로구조물의 안전성 위협 요인으로는, 고로자중이나 철광석 낙하 둥과 같은 기계하중 외에도 구조물 내부 온도가 최대 $1700^{\circ}C$에 이르는 고온 환경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의 작업 환경은 고로 구성부재들의 크립손상, 열피로 문제 등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이들 고열에 의한 영향평가는 고로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 필수요소로 거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화재, 냉각판, 철피 등의 냉각시스템을 거치면서 내부의 고온 환경은 고로 외피에 이르는 동안 온도강하가 이루어진다. 급격한 온도강하는 나타나지 않지만 장기간 고로 가동에 있어 상시하중으로 작용하는 이 열원에 의해 고로 각 구부위에는 열응력이 발생하고 이 열응력과 나머지 기계적 하중의 조합에 의해 크립이나 열피로 등과 같이 고로 구조물 안전성 위해요인들이 발생한다고 분석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한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잠재적인 안전성 위해요인으로 알려진 열응력 발생 특성을 분석하고, 고로 건전설계 및 보수 유지 관리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개발한다.

  • PDF

가꾸는삶 - 현명한 주부의 식단 - 고혈압을 다스리는 요리 -

  • 김은섭
    • 건강소식
    • /
    • 제33권12호
    • /
    • pp.32-33
    • /
    • 2009
  • 고혈압은 크게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으로 수많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고혈압을 말하며, 신장혈관질환이나 호르몬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하는 고혈압을 이차성 고혈압이라고 하는데, 혈압의 정도에 따라 음식조절이 중요하다.

  • PDF

제철용 고로 구조물의 열전도 유한요소해석 (Heat Transfer Finite Element Analysis of Iron-manufacturing Furnace Structures)

  • 최우철;백점기;이제명;김원범;이만승;한대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1-294
    • /
    • 2005
  • 본 해석은 제철용 고로 구조물에 대해여 고로 내의 온도 분포를 이용한 열전도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고자한다. 해석모델인 고로는 내화벽돌, 냉각판, 내화재(castable), 철피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각각의 재료뿐만 아니라 고로에 사용되어지는 모든 내화벽들의 재료 물성치 값을 사용하여 보다 실직적인 해석을 수행하고자 하며 고로의 냉각 시스템인 냉각판과 냉각 pipe의 효과 규명하고자 한다. 어떠한 부분 모델이 아니라 고로 전체를 대상으로 열전도 해석을 수행한다.

  • PDF

조선 가각고의 인력구성과 존재시기에 관한 재고찰 (Reconsideration of Gagakgo's Staff and Period of Existence in Joseon)

  • 이형중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37
    • /
    • 2020
  • 가각고는 국왕의 명령인 수교(受敎)를 비롯한 국가 중요문서와 노비문서·행사기록 등 다양한 국가기록을 보존하는 일종의 기록보존을 위한 공간이었다. 때문에 가각고에 대한 연구는 조선의 전반적인 기록보존 공간 운영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가각고의 인력구성과 혁파시점을 중심으로 가각고의 실상을 보다 상세히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가각고는 운영을 위해 별도의 실무인력을 두었으나, 조선 초기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가각고의 소속과 인력 구성 또한 변경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가각고의 위상 및 그 운영의 양상 또한 변동되었다. 이후 세조대 들어 가각고는 혁파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조선 후기 효종~영조 연간 가각고라는 이름의 기관이 운영되었음이 확인된다. 이 가각고 또한 조선초기 가각고와 마찬가지로 실무 인력을 배치하고 기록을 보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는 가각고의 존재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사료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가각고 운영과 조선 기록보존의 실상에 보다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습도 유닛쿨러를 사용하는 저온저장고의 배 저장효과

  • 윤홍선;이원옥;정훈;이현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0-140
    • /
    • 2003
  • 신선한 채소나 과일은 무게의 74~94%에 상당하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분은 자칫하면 빠져나가기 쉽다. 품질이 우수한 채소나 과일이라도 수분손실이 생기면 다시는 보충할 수 없기 때문에 겉껍질을 마르고 쭈글쭈글하게 되어 품질등급과 가격결정에 손해가 된다. 또 무게의 5~l0%까지 수분이 줄어들면 상품성을 잃게되고, 무게단위로 판매되는 채소와 과일은 수분손실이 곧 무게감소이므로 총수입도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채소나 과일을 수확 한 후에 수분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은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저온저장고들은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0~85%의 범위로 조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습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고의 바닥에 물을 뿌리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으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농업기계화연구소에서는 저온저장고 내의 상대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닛쿨러를 '01년에 개발하였고,'02~'03년에 이것을 실제로 농가의 저온저장고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실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장연구에 사용된 저온저장고는 천안시에 있는 이진기 농가의 25평형 배 저온저장고 2동이었으며, 한 동은 시험구로 한 동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2. 배의 저장온도는 0~-0.2$^{\circ}C$이었고, 상대습도는 대비 저온저장고의 경우 75~90% 범위에 있었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98%로 유지되었다. 또 냉각기에 생기는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전기히터의 작동시간은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7회, 회당 45분 씩 이었고, 신기술 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1회, 회당 30분 씩 이었다. 3. 배를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저장할 때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111일 동안에 11.7%의 중량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5.6%의 중량감모만이 발생하여 약 50%의 중량감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배의 색깔이나 경도도 대비구 보다 우수하였다. 4. 배를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와 비닐로 포장하지 않고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를 비교할 때 11월~다음해 1월 까지는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2월부터는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배의 품질변화가 급격히 증가되어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가 신기술 투입시 보다 급속하게 나빠졌다.

  • PDF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ed by high Calcium Sulfate Cement)

  • 박승범;임창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8
    • /
    • 1992
  •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콘크리트 말뚝(KS F430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800kg/$\textrm{cm}^2$이상인 고강도콘크리트를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500kg/$\textrm{cm}^2$ 이상의 콘크리트 말뚝제조가 불가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황산염시멘트를 이용한 고강도콘크리트 말뚝제조에 관한 공학적 특성 연구의 일환으로써 고황산염시멘트의 수화특성 및 고강도 발현기구 구명과 공학적 특성중에서 압축.휨강도의 내동해성, 건조수축 특성 및 화학저항성등을 비교 고찰하여 보통 시멘트보다 품질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시제품 제조를 위하여 2개 공장에서 현장 실험한 결과 94.7kg/$\textrm{cm}^2$의 양호한고강도콘크리트를 얻었다. 향후 고강도콘크리트 말뚝 제조의 공업화 및 양산회가 기대된다.

  • PDF

지상 기압배치형에 따른 고도별 강수량 분포 -대관령 서쪽 산지 사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ith Altitude according to the Surface Pressure Type -The Case of the West Slope of Taegwallyong Area-)

  • 이장렬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30
    • /
    • 1998
  • 연구지역인 대관령 서쪽 산지 사면은 진부에서 동쪽으로 고속도로를 따라 약 21km 떨어진 대관령까지이며 해발고도는 500∼900m 지형경사는 3.3%이다. 1989년 5월∼1992년 5 월에 진부에서 대관령 쪽으로 영동고속도로를 따라 진부(고도 544m) 간평기(고도 576m) 유 천리(고도 600m) 싸리재(고도800m) 대관령(고도 842m)등의 5개지점을 정하여 일 강수량을 측정하였다 각 고도별 일 강수량 자료를 기초로 한반도의 지상 기압배치형에 따른 대관령 서쪽 산지의 고도별 강수량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결과를 용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강수일 258일을 지상 기압배치형(기압골, 저기압, 시베리아고기압, 장마전선, 고기압, 태풍, 오호츠크해고기압)에 따라 7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중 기압골이 나타난 날이 113일로 제일 많고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나타난 날은 8일로 가장적었다. 고도별 일평균 강수량은 태 풍이 나타났을 때 17,5∼54,4mm로 제일많았고 시베리아고기압이 나타났을 때는 5.9∼ 19.8mm로 제일 적었다, 대관령 서쪽 산지 사면에서 강수량이 제일 많은 고도는 대관령이고 제일적은 고도는 간평리이다, 태풍과 오호츠크해고기압이 출현한 경우는 고도가 증가할수록 강수량도 많아졌다. 간평리와 대관령 고도의 강수량 분포에 관한 사례분석(1989.5∼1991.12) 에서 기압골, 저기압, 장마전선등이 나타난 36일 시베리아고기압이 나타난 1일은 간평리가 대관령보다 강수량이 많았다.

고효율기기, 고마크제품으로 에너지절약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통권82호
    • /
    • pp.65-66
    • /
    • 2000
  • `고`마크는 고효율(${\Phi}$) 의 고를 형상화해 기기의 성능 인정과 환경을 고려한 인증 마크이다. 수요관리방안의 하나로 전기이용효율향상과 전력수급안정을 위해 실시중인 고마크제도가 본격적인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절약의 첨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 PDF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고혈압, 고혈압과 당뇨병

  • 김완
    • 월간당뇨
    • /
    • 통권194호
    • /
    • pp.18-23
    • /
    • 2006
  • 인슐린은 저항성은 고인슐린혈증, 당불내성, 혈청 지질대사 이상, 고혈압 등을 발생시켜 이들 대사장애를 모두 일컬어 X-증후군, 일반적으로 대사증후군으로 부른다. 당뇨병의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치료시 반드시 고혈압은 치료해야 한다.

  • PDF

한전의 고효율변압기 및 고효율자판기 보급지원제도 (Energy Efficient Transformer, Vending Machine and the Dissemination Program of KEPCO)

  • 정금영;유재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804-805
    • /
    • 2007
  • 고효율변압기란 철심소재를 아몰퍼스 메탈이나 방향성 규소강판 등을 사용하여 무부하 손실(철손)을 기존 변압기에 비해 약 70% 줄인 절전형 변압기를 말하며, 고효율자동판매기는 효율향상 및 제어방법을 개선하여 여름철 피크시간대 최대수요전력을 억제하고 전기에너지 절감도 가능한 자판기를 말한다. 이러한 고효율변압기 및 고효율자동판매기 보급지원제도에 대하여 소개하고, 고효율기기들의 보급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