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령자

Search Result 9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Literature Study on the aged's visual sense : Focusing on the domestic journal's contents (고령자의 시지각에 관한 문헌연구 : 국내학술지 내용을 중심으로)

  • Choi, Mi-Hyang;Kim, Hyun-Jin;An, O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3-116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학술지의 논문 중 고령자의 시지각에 관한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령자의 시지각 특성에 맞는 생활환경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DBPLA의 고령자(노인)에 관한 연구 538편과 한국노년학회지에 게재된 663편의 논문, 총 1201편의 학술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고령자의 시지각과 관련된 내용(색체, 조명, 시각, 시지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와 관련된 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자 시지각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자의 시지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고령자가 자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나 생활환경의 디자인의 필요성을 밝히는 바이다.

  • PDF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Elderly's Stream Use (고령자의 하천이용 특성분석)

  • Kim, Jeong-Eun;Park, Sung-Je;Jo, Jin-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83-587
    • /
    • 2008
  • 수도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하천이용행태 및 하천이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하천으로 이동하는데 가장 큰 불편사항은 경사로, 계단, 경계턱 등의 교통장애물이며, 이용에 불편한 하천시설은 화장실과 휴식공간으로 나타났다. 기대하는 하천복원의 형태는 인위적인 시설을 제한하는 친자연형 또는 자연형 하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하천이용 영향요인 모형추정결과, 고령자의 성별, 배우자 유무, 하천으로의 이동시간, 방문시점, 이용 교통편의 요인이 하천이용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고령자의 하천이용의 접근성 및 친수성을 향상하기 위해 장애물을 최소화하고, 교통 연계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고령자는 편의시설에 대한 요구와 동시에, 하천의 생태적 요소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하천복원 시 적정 편의시설에 대해 고려하되, 가능한 환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면 다양한 고령자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Web Navigation Design to Improve Usability of Old-aged Users (고령자의 사용편의성 향상을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Bae, Yoon-Sun;Lee, Hyun-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09-214
    • /
    • 2006
  •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제안하였고 30 명의 고령자 그룹을 대상으로 정보 검색 소요 시간, 오류발생 측면,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측정된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비디오 분석과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령자에게 이상적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글로벌 메뉴 아래에 세로로 서브 카테고리 메뉴가 나타나는 유형이며 롤오버 메뉴와 단계적으로 분류된 메뉴, 크게 처리된 본문과 레이블,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가 고령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편의성을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가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계층의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Movement of Old People in the Crossing-Facilities (횡단시설에서 고령자의 거동분석)

  • 정헌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01-310
    • /
    • 1998
  •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EK라 건강상태와 신체적 기능이 쇠퇴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이동이 제한되고, 교통시스템의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횡단보도, 육교와 같은 횡단시설의 이용에 대한 고령자들의 교통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행하여 고령자들의 횡단보도, 육교 등의 횡단시설의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고령자들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보행능력, 계단승하강능력 등의 개인속성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들의 횡단시설이용이 그들의 건강상태와 신체적 기능의 장애로 인해 매우 제한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고령자의 신체기능 및 교통수단 이용특성을 고려한 교통시설의 정비 및 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welling Depression Measurement Based on Image Analysis Modeling: Focusing on K-HTP (이미지분석 모델링 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측정 연구 -K-HTP를 중심으로-)

  • Lee, Yewon;Park, Chongwook;Woo, S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1-6
    • /
    • 2018
  •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demand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measurement of mental state has increased. However, much of the self-reported diagnosis does not reflect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dwelling depression by applying K-HTP and verify the validity. 301 persons over 65 years old who live as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in Daejeon and surrounding districts were surveyed during 22 January to 2 February, 2018.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welling depression and K-HTP are clarified and the validity was evalu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index(GDDI) and the GDDI based on K-HTP(GDDI-K) are clarified and the accurac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HTP can be utilized to measure the dwelling depression. We suggested a new measurement tool and provide further benefits for researches on diagnoses using the projective method.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Value of the Elderly on the Intention of Smart Device Internet Usage: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for the Elderly (고령자의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넷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 평생학습 관점)

  • Jang, HyunYong;Koh, Joo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1 no.1
    • /
    • pp.87-10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smart device internet usag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of elderly people. Survey was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net usage intention of smart devices with 150 elderly people who visited the Gwangju Senior Technology Center (GSTC).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economic value and practical value of the elder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utilizing the Internet of Smart Device.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ividual innovation of the elderly is not significan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internet. In addition, the elderly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life would be improved via the use of smart devices.

A Study about Package Design of Daily Necessity in Aging Society (세미나 - 고령화사회에서 생활필수품 패키지디자인 고찰)

  • Park, Gyu-Won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38
    • /
    • pp.118-129
    • /
    • 2013
  • 인간은 누구나 고령자가 된다. 특히 과거와 달리 고령자로의 생활기간이 더욱 연장되는 것이 현실이다. 건강한 젊은 시절과 달리 신체 및 지각 능력이 퇴화된 고령자들의 생활은 불편함이 클 수 밖에 없다. 더불어 다양한 고령자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배려에 대한 관심과 시장 또한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식품 섭취 편익을 위한 합리적 포장구조, 형태디자인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연구방법은 간단편의 식품 포장구조, 형태를 국내외 사례를 실증적으로 조사, 분석, 효율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한 노인생활을 위한 필수 요건의 식품 포장분야는 국내외 모두 미약한 실정이었다. 아직 고령자를 위한 식품개발을 별도 진행하는 기업이 적었고 포장물 또한 별도의 기능성을 제공하지는 않았다. 다만 일부 글로벌 기업의 상품들에서는 취급과 개봉, 사용하기 편리한 식품포장구조, 형태가 판매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고령자들이 쉽게 개봉할 수 있는 뚜껑의 크기 및 요철의 확대, 금속재질의 오프너의 형태와 구조 디자인의 개선 등은 큰 효과가 있었다. 간단한 구조, 형태를 통해 소비자들의 포장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마케팅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는 디자인들이다. 큰 투자와 시설 보완을 최소화시키고 편익성을 충분히 제공하는 식품 포장구조디자인은 결과적으로 고령자시장을 확대하며 독자적 브랜드 이미지구축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전망되기에 적극적 연구가 절실하다. 고령자들이 좋은 식품을 쉽고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패키지 구조디자인을 통해 시장 확대와 경쟁력 있는 국제적 브랜드가 되길 기대한다. 이번 논문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23호 논문집에서 발췌하였다.

  • PDF

Determinants of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성별에 따른 고령자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 You, Sohyen;Park, Chang-J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244-25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se determinants of elder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was obtained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3. From this dataset, 9,456 elders aged 60 and above (4,113 male, 5,343 femal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esults of ordered logit analysis found differences for determinants of elder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g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y 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Second, educ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Third, having a spous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y 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Fourth, household incom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Fifth,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Sixth, house own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Seventh, preparation for ag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Eighth, each of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Ninth, cohabitation with children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Tenth, volunteeris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y 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Eleventh, social group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elders' life satisfaction.

'Dwelling Depression' Analysis Based on Correlation of Elderly Depression and Dwelling Satisfaction (고령자 주거만족도와 우울감 상관성 분석에 기반한 '주거우울'연구)

  • Lee, Yewon;Park, Chongwook;Woo, S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1
    • /
    • pp.1-6
    • /
    • 2018
  •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problem on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have grown in Korea. Elderly dwelling issues have also been gaining increased attention since dwelling environment i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elderly's health and life quality.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retrospectively of 350 elderlies who live as single households during 1 September, 2017 to 30 September to identify how to define and measure dwelling depression.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dwelling satisfaction were compared. Lastly,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dwelling depress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depression appearing in elderl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dwelling unsatisfaction. Our results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and measurement of the dwelling depression which has not been sufficiently specified.

A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safety evacuation of the elderly (고령자의 피난안전을 위한 군집보행에 관한 연구)

  • Hong, Hae-Ri;Seo, Dong-Goo;Kim, Dong-Eun;Hwang, Hyun-Bae;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90-93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의 고령화 추세와 고령자시설 현황을 고찰하고 일반인과 고령자의 군집형성시 보행속도를 측정하여 고령자를 고려한 피난안전설계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군집보행속도 측정결과 고령자가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평균 0.81m/s로 가장 감소하였으며, 고령자 비율이 증가할수록 전체 보행속도는 감소하였다. 향후 피난안전설계를 위하여 고령자의 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