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도의 차

검색결과 873건 처리시간 0.034초

자연광을 이용한 3단 재배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ree Tier Cropping Systems in Greenhouse Using The Sun Light)

  • 김기성;김문기;권혁진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92-95
    • /
    • 1999
  • 재배시설내의 재배면적은 온실의 경우 벤치의 구성 방법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바닥 면적의 47-68% 정도로 전체 면적에 비하여 생산에 사용되는 면적의 효율이 높지 못한 편이다(Langhans, 1990). 이러한 재배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자동화 온실이나 식물공장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인공광을 이용하거나, 부가적인 기계화 장비나 자동화 설비가 필요하여 에너지 비용과 시설비용이 무시 못 할 정도이며, 고도의 제어기술이 요구되고 있어 상업용으로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BcN을 위한 secure QoS 및 보안 기술 동향

  • 전용희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8호
    • /
    • pp.107-121
    • /
    • 2004
  • 광대역 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s)이란 통신$.$방송$.$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임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BcN 전달망은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보장, 고도의 통신망 관리 기능과 보안(Security) 기능, IPv6 주소체계의 수용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창출할 수 있는 개방형 망구조(Open API)를 도입한 통신망으로 유선ㆍ무선ㆍ방송 등의 다양한 가입자망의 특성을 통합하여 수용해야 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개발 및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중략)

TTA와 함께한 ICT 표준자문서비스 - 넥스트랩, 시장 확장을 이끈 표준 기술 적용

  • TTA 표준화본부 표준진흥단
    • TTA 저널
    • /
    • 통권175호
    • /
    • pp.178-181
    • /
    • 2018
  • (주)넥스트랩은 2016년부터 TTA 자문서비스를 이용해왔다. 스마트 기기 UX(User eXperience) 품질의 정량적 측정과 분석 기술 개발을 자문받았다. 당시 TTA로부터 얻은 실질적인 정보와 조언이 기술 사업 전반의 방향을 정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솔루션 개발 기간과 비용도 크게 절감되었다. 2017년에는 2016년의 자문 성과에서 더 나아가, 개발한 UX 품질 측정 분석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AR VR 성능 측정에 적용하고자 했다. 기술 개발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주)넥스트랩은 다시 TTA 자문서비스의 문을 두드렸다. 2년 차 자문에서는 전년도에 개발한 솔루션의 고도화 개발과 납품 수주 성공이라는 보다 뚜렷한 가시적인 결과들이 있었다.

  • PDF

BcN 전달망 QoS 제공 구조 및 방안

  • 최준균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7
    • /
    • 2004
  • BcN 전달망은 광대역통합망(BcN)의 핵심 부분으로 유 · 무선, 통신 · 방송 등이 융합 수용되는 품질보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송망, 교환망, (백본망, 접속망), 제어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 인프라이다. BcN 전달망은 서비스 품질(QoS) 보장, 고도의 통신망 관리기능과 보안기능(Security),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IPv6) 수용,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창출할 수 있는 개방형 망구조(Open API)가 도입된 통신망으로 유선, 무선, 방송 등의 다양한 가입자망의 특성을 통합 수용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개발 및 이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중략)

  • PDF

OLED의 J-V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J-V Characteristics of OLED)

  • 임성운;정인우;황순재;임광수;윤태훈;김재창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302-303
    • /
    • 2003
  •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의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됨에 따라 이동성이 용이한 정보표시장치의 필요성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특히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TFT-LCD, PDP, FED 등 다른 디스플레이 보다 낮은 구동 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고, 자체 발광하기 때문에 인식성이 뛰어나며, 얇고 가벼우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넓은 시야각을 가져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로 차츰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중략)

  • PDF

21세기를 대비한 우리의 지상무기체계-저고도 대공무기

  • 박노명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237호
    • /
    • pp.76-87
    • /
    • 1998
  • 우리나라와 같이 전투종심이 짧고 산악이 많은 지형에서의 저고도에 대한 공중위협은 더욱 가중되고 있어 대공화기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 하겠다. 또한 가장 도발 위험성이 높은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의 상황에서 적 공격기의 대지 공격능력 99.5% 이상이 폭탄, 기총, 로켓 공격임을 감안하고 또한 공격헬기를 이용한 대전차 공격과 무인항공기에 의한 위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점을 고려할 때 적기의 탐지로부터 격파에 이르기까지의 짧은 반응시간과 야간능력 및 유효사거리 3km내외의 명중률이 뛰어난 무기체계가 필요하게 됨은 자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 PDF

OLED 디스플레이 픽셀 구동방식 (Pixel driving method of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 이정호;김민년;채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4-156
    • /
    • 2004
  • 고도의 정보가 집약되고 응용되기 시작하면서 정보를 표현하고자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자연색에 가까운 고품질의 색상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무게와 크기, 전력소모 등의 많은 부분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든 기능을 충족시켜주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에 대한 구동 드라이브를 디지털 회로에 응용하고자 정확한 동작에 필요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개선점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분리막을 이용한 염료폐수재활용 (Reusing of dye wastewater by membrane process)

  • 김건태;임성균;최광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7-129
    • /
    • 1998
  • 국내 산업폐수 발생량 중 소량이지만 오염도가 높고 난분해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염료폐수는 일반적인 응집침전 + 생물학적처리로는 폐수 방류기준치인 COD_{MN} 100ppm이하로 처리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S화학에서는 방류수 수질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생물학적 처리 후단에 3차 처리로서 분말 활성탄 설비와 같은 고도처리설비를 도입하여 운전하고 있으나 운전비가 과다하고, 분말활성탄의 주입시 미분의 비산으로 인하여 주위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화학에서는 활성탄처리설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폐수를 공업용수로 재활용하기 위해 일일 $1500m^3$의 폐수 중 $750m^3$에 고도처리설비인 역삼투설비를 적용하였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Relation to Altitude and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 이도한;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71-480
    • /
    • 2008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고도와 식생에 따라 4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번식기 조류군집과 서식지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 종수는 총 32종으로 각 조사구별 관찰 종수 및 밀도는 고도가 낮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27종, 37.31마리/ha, 고도가 낮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23종, 34.99마리/ha, 고도가 높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18종, 23.95마리/ha, 고도가 높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19종, 20.21마리/ha이었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11종(멧비둘기, 검은등뻐꾸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박새, 동박새)이었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4종(들꿩, 매사촌, 두견이, 흰배멧새)이었다. 조류 종수와 밀도는 고도가 낮은 지역과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소길드는 고도가 낮은 지역은 3가지 유형의 종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층 영소길드의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채이길드는 모든 조사구에서 수관층 채이길드의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별 밀도의 조사구별 차이분석에서 식생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낸 종은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4종으로 그 중 오목눈이와 박새는 수관층의 피도량의 차이, 진박새는 침엽수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5종은 관목층 수목의 밀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내는 종은 10종으로 벙어리뻐꾸기, 굴뚝새, 쇠유리새, 쇠솔새, 진박새, 노랑턱멧새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흰배지빠귀, 오목눈이, 곤줄박이, 동고비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번식조류군집 분포는 관목층의 밀생과 수관층의 총피도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관목층의 피도량과 수관층의 엽층다양성 및 총피도량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EOSAT 인공위성 해면고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의 중력이상의 결정 (Determination of Marine Gravity anomal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GEOSAT Satellite Altimeter Measurements)

  • 양철수;최광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3-391
    • /
    • 1994
  • 해면고도계 인공위성에 의하여 지오이드의 형상에 직접관련된 양질의 관측자료가 대량으로 수집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이용한 중력이상, 지오이드 기복의 변 환관계를 논하였다. 또한, 실제문제로서 해상중력장의 연구에 있어 활용이 기대되는 해면고도 관측자료를 중력이상으로 변환하고 선상측정치를 위주로 하는 기존자료와 비 교하였다. 해면고도로서는 2년간의 GEOST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오이드, 중력이상 의 변환은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였으며 정밀성을 기하기 위하여 관측치로 부터 범지구중력모델에 의한 추정치를 remove-restore 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해면 고도로부터 구한 계산치와 기존자료와의 차이는 10 mgal 정도로서, 선상중력 관측치의 정밀도와 비교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