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도의 차

검색결과 873건 처리시간 0.037초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의 형상 분석 (Analysis of Next Generation Network Configurations for Supporting Enhanced Services)

  • 김정윤;이경휴;김성연;박권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8권3호통권81호
    • /
    • pp.1-10
    • /
    • 2003
  • IP 전화 기술의 발전과 서비스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서 통신사업자는 투자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기존수입의 보전은 물론 신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 고도화가 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문서는 차세대 네트워크의 핵심 구성 요소인 소프트스위치, 미디어 게이트웨이, 응용 서버, 그리고 미디어 서버의 정의, 기능을 분석하여 그 역할을 정립한다. 즉, 차세대네트워크의 형상을 분석하여 구성 요소의 역할과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하고자 한다. 특히 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응용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두 구성 요소의 상호작용을 정의한다. 차세대 네트워크 형상의 분석 결과는 통신 사업자가 성공적으로 고도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수입을 보전하고 신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략 수립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전파강수관측소 HSR 추정 기법 (HSR estimation method of electromagnetic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s)

  • 임상훈;윤성심;조요한;정현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7-3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 강우레이더 관측망에 대한 동해안 지역 관측공백 해소와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예방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삼척과 울진 전파강수관측소의 강우추정을 위해 빔차폐 등을 고려한 HSR(Hybrid Surface Rainfall) 추정 기법을 소개하고 지상강우량과 비교 결과를 제시한다. 전파강수관측소의 HSR 추정 기법은 1) 자료 품질관리, 2) 고도별 자료의 병합, 3) 병합 자료 기반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산정, 그리고 4) HSR 강우 추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품질관리 과정은 전파강수관측소의 관측자료 중 강우추정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반사도, 차등위상차의 품질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자료 병합 과정에서는 고도별로 품질관리된 반사도와 각 고도의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병합한다. 그리고 병합된 반사도와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이용하여 비차등위상차를 구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여 R-KDP 관계식을 이용하여 HSR을 산출한다 시험적용 결과 제안된 HSR 강우 추정 기법이 강한 강우가 발생한 지역의 강우강도를 잘 추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GPS/INS/기압고도계를 결합한 고도 결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ltitude Determination System by Using GPS/INS/Baroaltimeter)

  • 김성필;유창선;;김응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1-5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GPS/INS/기압고도계를 결합한 고도 항법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한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무인항공기 비행제어 시스템에 적합한, 연속적이며 고도 변화에 민감한 고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기존의 INS/기압고도계를 결합한 고도 항법 시스템의 경우 2차, 3차 구조 모두 본질적으로 상보 필터(complementary filter)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기압고도계의 오차를 보상할 수 없는데,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인다.

산불 진화 장비별 현장 적용 실험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Test as the Forest Fire Suppression Equipment)

  • 김정훈;김장환;김경하;이병두;신재연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0-433
    • /
    • 2011
  • 산불 진화에 사용되는 지상 주력 장비를 대상으로 수원으로부터 호스 거리 및 고도에 따른 성능을 정량화하기 위한 현장 적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담수지 형태의 수원을 사용하고 수원으로부터 고도차가 40m 수준인 예비실험을 대상으로 성능값을 비교하였다. 본 현장 적용 실험에서는 산림 내 계곡지를 수원으로 하였으며, 고도차가 150m 로 예비실험의 3.75배인 지형을 선택하였다. 고도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은 예비 실험과 비교하였을 때 고도가 높아질수록 동일 거리에서 측정한 성능값은 평균 50%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평 및 수직 거리는 20% 이내 수준의 감소를 나타내어 진화에 큰 장애 요소로는 작용하지 않았으며, 펌프압력은 소형펌프의 압력 상승이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원의 형태에 따라 용수 공급차에 기인한 것으로 안정적 용수공급 저하, 펌핑압 부하 증가, 이물질 삽입 등이 원인인 것으로 사료되며, 고도에 따른 영향 인자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진화장비별 실제 진화대원의 적정 사용거리와 거리별 적정 소요인원을 산출할 수 있었다.

  • PDF

구조최적화의 과거, 현재, 미래

  • 조효남
    • 전산구조공학
    • /
    • 제7권3호
    • /
    • pp.4-15
    • /
    • 1994
  • 현재 구조최적화는 아직도 실무설계에서 제 위상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은 주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연구가 알고리즘 위주로, 교과서적 예제위주로 치달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고도의 전산화시대에도 실무설계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구조최적화 분야의 전문가들이 실무설계문제 응용위주의 연구개발에 주력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는 쉽게 극복될 것이며, 실무설계자들도 최적설계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외면만 하고 매도만 할 것이 아니라, 오늘날 멀티미디어 초고성능 PC시대에 막대한 정보 및 자료의 처리능력을 갖춘 CD롬과 고성능 통신기능, 고도의 음성, 문자, 영상인식 Input Media, 그리고 윈도우, 펜티엄 같은 현재의 OS와 OS/2, 시카고 같은 차세대 OS체계 하에서 고도의 CAD/CAD Expert 시스템이 실용화 되려면 최적설계는 재래적인 설게방법을 대치하는 시스템 내의 핵심설계코드가 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어차피 가까운 장래에 현재의 이론과 응용사이의 lAG와 실무설계자들의 오해가 해소되는 날이 오면 최적설계는 지금의 MPC시대는 물론 인공지능형, 사고형 차세대 컴퓨터 시대에 적합한 현대적인 구조설계법이 될 것임을 확신하는 바이다.

  • PDF

차세대 비행체 추진기관 시스템 소개 (Introduction to the Propulsion Systems for the Next Generation Flight Vehicles)

  • 이대성;양수석;차봉준;한영민;김춘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5회 학술강연회논문초록집
    • /
    • pp.17-17
    • /
    • 2000
  • 초음속 비행체 및 극음속 성층권 비행체용 추진기관으로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는 차세대 추진기관들을 산화제 공급방식에 따라 공기흡입 엔진, 로켓 엔진 및 복합사이클 엔진으로 분류하여 엔진의 구성방식 및 추진특성들을 기술하였다. 공기흡입 엔진은 저고도에서의 성능이 우수하고 재사용이 가능 하지만 공기 밀도가 낮은 고 고도 영역에서의 성능이 좋지 않으며 로켓 엔진은 넓은 고도영역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면 낮은 비추력 및 고비용 발사체계 등과 같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

한국통신 네트웍 고도화 추진 계획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50호
    • /
    • pp.35-41
    • /
    • 1997
  • 한국통신은 미래 고객의 요구와 멀티미디어 시대에 걸맞는 통신망의 고도화를 추진하여 통신시장의 개방과 국제화에 적극 대처할 계획이다. 21세기가 요구하는 통신망은 지능화, 초고속화, 개방화, 고품질화된 통신망이다. 한국통신은 이를 통신망의 고도화 추진방향으로 설정,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차세대 통신사업의 튼튼한 기지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경제성과 기술에 있어서 선진형으로 네트웍을 전환시킬 예정이다.

  • PDF

기계공업육성과 한국기계김속시험연구소

  • 고영식
    • 기계저널
    • /
    • 제17권3호
    • /
    • pp.193-198
    • /
    • 1977
  • 지난 15년간 우리 나라의 경제는 3차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서 실로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도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이룩하기 위 해서는 선결하여야 할 과제가 수없이 많다. 특히 정부는 77년부터 시작되는 제 4차 경제개발 5 개년계획기간중에 기계금속공업을 중화학공업의 핵심산업으로 육성시키고 있으며 제 4차 경제 개발계획이 끝나는 81년까지는 기계제품분야의 국산화비율을 현재의 50%에서 70% 수준으로 올리고 이에 따른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으로 중화학기계공업분야에서 수입대체효과는 물론 수출의 주종을 이루는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으로 있다. 실제로 기계금속공업은 다른 어떤 산업분 야보다도 고도의 기술축적이 필요한 산업이며 어떠한 기계없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볼 때 그 중요성은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견지에서 기계금속공업의 실제적인 육 성방법에서 시험연구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놓은 여건은 역사적인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 PDF

평판 집적 광학계를 이용한 분수차 상관기 구현 (Planar integrated optics for performing fractional correlation operation)

  • 박선택;김필수;오차환;송석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4-160
    • /
    • 1997
  • 푸리에 변환의 일반형인 분수차 푸리에 변환(fractional Fourier transform : FRT)을 근간으로 하는 분수차 상관기는 입력패턴의 위치나 모양에 따라 상관결과치가 변하는 공간 가변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분수차 상관기를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는 기존의 상관기와 비교하였고, 분수차에 따른 상관결과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확한 분수차 상관함수의 계산을 위하여 광학부품들의 정렬에 있어서 고도의 정확도와 안정도를 갖는 평판 집적 광학계를 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와 계산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평판 집적 광학계에 의한 분수차 상관기의 구현이 매우 정확히 수행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양계사료에 고추가루 첨가가 산란성, 난각질 및 난황착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ding Red Pepper in Hen′s Diet)

  • 최병수;김영일;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1-286
    • /
    • 1988
  • 본 시험은 하절기 산란계 사료에 대하여 고추가루(씨포함)를 0, 0.03, 0.05, 0.08% 첨가하여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난각질 및 난황착색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에 있어서는 시험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약간 증가 하였으나, 처리간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난중은 대조구와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일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산란양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높았으나 처이간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4. 사료섭취양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약 2~3g 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대조구 및 첨가구간 차이가 없었다. 5. 난각질의 경우 난각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상당히 높았으며 처리구간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1 ). 또한 난각후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6. 난황착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P<0.01) 첨가구간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사료 중 고춧가루 첨가는 0.05%$T_2$수준이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