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도안정성

Search Result 35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n Model for Checkdam Location Selection (GIS기법을 이용한 사방댐 입지선정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17-1821
    • /
    • 2010
  • 본 연구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사방댐 입지선정모델 개발은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사면안정성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사방댐 지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며,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하여 토석류와 산사태가 발생한 서부경남 지역의 38개 지점에 대하여 항공사진 수집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산사태 발생에 관계되는 강우, 지형, 지질 및 토양, 임상 등을 인자로서 규정하였다. 연구결과 서부경남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지리산, 가야산, 좌굴산 등 EL. 500m 이상의 비교적 고도가 높은 산악지역에서 지형성 집중호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우량과 산사태의 상관분석결과 시강우량 70mm 이상 및 누가강우량 230mm 이상에서 산사태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사태 발생지점에서의 고도(평균해수면 기준)와 능선의 고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빈도를 살펴보면 산사태 발생지점이 능선의 90% 이상의 고도에서 산사태의 발생빈도가 53%로 가장 높고, 80-90%는 21%, 70-80% 16%의 순으로 산사태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고도가 더욱 낮아져 산사태 발생지점이 60% 이하로 내려가면 산사태 발생빈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예를 들어 능선의 고도가 1000m일 경우 900m 이상의 고도(90% 이상)에서 산사태 발생빈도가 가장 높고 600m 이하의 고도(70% 이하)에서는 발생빈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표면 굴곡도에 따른 산사태의 발생빈도는 대부분의 평행사면에서 74%, 약간 오목사면에서 26%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구의 지질 및 토양별 산사태 발생빈도는 화성암계열의 지질 및 자갈/암괴 섞인 토사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34-40^{\circ}$ 사면경사에서 40%, $26-34^{\circ}$ 사면경사에서 26%, $26^{\circ}$ 이하의 사면경사에서 22%가 주로 발생하였으며, $40^{\circ}$ 이상의 높은 사면경사에서는 극히 미미하였다. 또한 임상 기준으로는 침엽수림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매우 안정, 안정, 부분적 안정, 불안정, 매우 불안정, 위험 지역으로 구분하고, 평가한 결과는 불안정 33개소, 매우 불안정 5개소 등 38개소 지점 모두에 사방댐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화력발전설비의 기술동향과 전망-제어시스템을 중심으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74
    • /
    • pp.66-71
    • /
    • 1999
  • 최근 사업용 화력발전설비의 건설에서는 이제까지의 실적 중시 시스템구축 경향에서 벗어나, 적은 인원에 의한 중앙집중감시의 고도화와 건설비저감 경향에 따라 신기술 특히 디지털기기의 응용을 지향한 주요 전기기기의 합리화가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또 제어로직의 소프트웨어화, 신호 전송화의 확대는 설비의 고도화$\cdot$합리화의 양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용 화력발전설비는 고신뢰성과 고가동률이 요구되어 전력의 안정공급에 있어 중핵을 담당하고 있다. 발전기와 여자제어장치, 발전소 감시제어시스템은 발전소단위의 고기능화,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협조제어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화력발전소의 감시는 적은 인력을 중앙에 집중 배치하여 일괄감시$\cdot$제어하는 경향이 확산되어, 감시$\cdot$조작$\cdot$이력관리 기능의 고도화와 작업환경의 정비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여기에는 적어도 최근의 디지털기기 응용확대가 크게 기여했으며, 이러한 것들이 신뢰성을 확보한 토털시스템 구축이라는 발전소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영역확대와 중요성이 커지게 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화력발전소 제어시스템의 고도화는 주요기기의 안정된 운전과도 깊이 관련되어있어 근년의 발전설비 건설에서 중요한 과제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한편, 화력발전소의 감시$\cdot$제어항목은 방대하며, 아울러 급속히 진보해가고 있는 디지털기술을 효율적으로 도입하여 설비의 고도화를 추진해갈 필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는 최근의 발전기의 기술동향과 감시제어시스템의 기술동향을 소개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사육고도에 따른 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보수력, 육색 안정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 비교

  • Gang, Seon-Mun;Song, Yeong-Ha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2-106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사육고도에 따른 비육후기 28개월령 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보수력, 육색 안정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도축전 6개월 동안 사육고도(200, 400, 800 m)에 따라 공시한 후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3{\pm}0.2^{\circ}C$에 8일 동안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 동안 400 m 한우육이 200 m 한우육보다 높았으며(p<0.05), 드립 감량은 저장기간 동안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낮았다(p<0.05). 표면 육색에서 $L^*$은 저장 4일까지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으며(p<0.05), 저장 8일에는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높았다(p<0.05). $a^*$$C^*$는 저장 0일에는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높았으며(p<0.05), 저장 4일부터는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p<0.05). $b^*$는 저장 0일에는 2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으나(p<0.05), 저장 4일부터는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p<0.05). MetMb과 $R_{630}/R_{580}$ 값은 저장기간 동안 400 m 한우육이 200, 800 m 한우육보다 높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 패턴은 신선육에서만 사육고도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200, 800 m에서 사육한 거세 한우육의 보수력과 800 m에서 사육한 거세 한우육의 육색 안정성이 냉장저장기간 동안 가장 우수하였으며, 전자코에 의해 사육고도에 따른 향기 패턴의 분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 PD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Static Height Stability of WIG Effect Vehicle with Direct Underside Pressurization (DUP 가 있는 위그선의 공력학 특성 및 고도 안정성)

  • Park, Kyoung-Woo;Kim, Jin-Bae;Lee, Ju-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3 no.12
    • /
    • pp.961-967
    • /
    • 2009
  • A 3-dimension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a WIG effect vehicle with DUP (direct underside pressurization) is performed to predict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static height stability. DUP can considerably reduce take-off speed and minimize the hump drag while the vehicle accelerates on the water to take off. The DUP of the model vehicle, Aircat, consists of a propeller in the middle of the fuselage and an air chamber under the fuselage. The air accelerated by the propeller comes into the camber through the channel in the middle of fuselage and augments lift by changing its dynamic pressure to static pressure dramatically. However, the air accelerated by a propeller produces excessive drag and reduces static height stability.

Altitudin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utterflies inhabiting Mt. Jirisan, South Korea (지리산 나비의 고도에 따른 다양성과 서식 분포)

  • Lee, Sanghun;Ahn, Nahyun;An, Jeong-Se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497-506
    • /
    • 2020
  • This study surveyed the altitudin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utterflies inhabiting Mt. Jirisa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rice (May, June, and July) using a line transect method along four routes in 2015. During the survey, a total of five families, 58 species, and 769 individuals were collected. Of the species collected, the majority belonged to the family Nymphalidae (28 species), followed by Hesperiidae (nine species), Pieridae (eight species), Lycaenidae (seven species), and Papilionidae (six species). As for the individuals, Pieridae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333 individuals), followed by Nymphalidae (309 individuals), Lycaenidae (63 individuals), Hesperiidae (33 individuals), and Papilionidae (31 individuals). A cluster analysis performed on the butterfly species distinguished three altitude zones. The butterflies showed different ecological traits in each of the altitude zones. Analysis of the altitudes of the habitats of eight dominant species revealed that each species inhabited a particular altitude. This stud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continuous monitoring will identify changes in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butterflies on Mt. Jirisa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valuation of Several Atmospheric Stability Parameters using Long-term Surface Layer Measurement Data (장기간 접지층 기상 측정자료를 이용한 몇 가지 대기안정도 산출방법의 평가)

  • 이종범;장명도;김용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49-350
    • /
    • 2000
  • 대기안정도와 혼합층고도는 보통 대기의 난류 상태를 정의하거나 대기의 확산 정도를 묘사하는데 사용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로써 대기오염 확산모델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많은 Gaussian 대기오염 확산모델에 대부분 Pasquill 안정도 계급 또는 fumer 안정도 계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수평확산폭($\sigma$y)와 수직확산폭($\sigma$z)을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기안정도 산출방법은 실제의 대기안정도와 많은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중략)

  • PD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WIG Effect Vehicle with Direct Underside Pressurization (DUP (Direct Underside Pressurization)을 가진 위그선의 공력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u-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7
    • /
    • pp.655-663
    • /
    • 2010
  • DUP (direct underside pressurization) is a device that can considerably increase lift, reduce take-off speed and minimize hump drag when a WIG effect vehicle takes off on the water surface. A 3-dimension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a WIG effect vehicle with DUP is performed to analyz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static height stability. The model vehicle, named Aircat, consists of a propeller in the middle of a fuselage, an air chamber under the fuselage, Lippisch-type wings and a large horizontal T-tail. The lift is mainly increased by the stagnation of the accelerated air coming into the air chamber through the channel in the middle of the fuselage. However, the accelerated air increases drag as well as reduces static height stability.

A study on the Temperature Rise of a MCCB for th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전기 접촉저항에 대한 MCCB의 온도 상승 연구)

  • 박성규;이종철;김윤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55-660
    • /
    • 2003
  •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절연 용기 (molded case) 내에 개폐기구, 트립(trip)장치 등을 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과부하 및 단로 등의 이상 상태시 자동적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기기이다. 오늘날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는 안정된 전력공급이 요구되고 있으며, 기술의 고도화를 배경으로 소형화, 신뢰도 및 경제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와 함께, MCCB는 전력 공급장치분야 뿐만 아니라,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Aircraft Sensitivity Analysis for Supersonic Air-Data Error at Low Altitude (공기정보 오차에 의한 저고도 초음속 영역에서의 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

  • Kim, Chong-Sup;Hwang, Byung-Moon;Kim, Seong-Youl;Kim, S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11
    • /
    • pp.80-87
    • /
    • 2005
  • T-50 supersonic jet trainer aircraft using digital flight-by-wire flight control system receives aircraft flight conditions such as altitude, VCAS(Calibrated Airspeed) and Angle of Attack from IMFP(Integrated Multi-Function Probe). IMFP sensors information have triplex structure using three IMFP sensors. Air-data selection logic is mid-value selection in three information from three IMFP sensors in order to have more reliability. From supersonic flight test at high altitude, air-data information is dropped simultaneously because of supersonic shock wave effect. This error information may affect to aircraft stability and safety in supersonic area at low altitude. This paper propose that sensitivity analysis and HQS(Handling Quality Simulator) pilot simulation in order to analyze flight stability and controllability in supersonic area at low altitude when these information is applied to flight control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