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도불포화지방산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우렁쉥이 껍질 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5.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이 무지개송어 간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5. Feeding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Liver Lipid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강석중;최병대;최영준;염말구;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45-453
    • /
    • 1994
  • 색소 추출물의 급이에 의한 무지개송어 간지질의 지방산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 추출물의 지방산조성은 18:2n-6가 $14.2\%$, 20:5n-3가 $3.5\%$, 22:6n-3가 $8.3\%$로 EFA 사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2. 모노엔산의 함량은 급이 중 변화가 컸으며 이는 고도불포화산의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색소 추출물 급이에 의해 2주 후 무지개송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25.9\%$$23.1\%$로 나타났으나, 대조구 및 pink구에서는 $15.0\%$$18.8\%$로 각각 나타났다. 4. 20:4n-6의 함량이 대조구나 pink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EFA 결핍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n-11 및 20:2n-11의 함량이 낮은 것은 급이사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3계 지방산 투여가 성장기 흰쥐의 간장 및 혈청 Triacylglyc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pha}-linolenic$,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administration on lowering of triacylglycerol level in the hepatic and serum of rat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14-420
    • /
    • 1998
  • 식이성지방 n-6/n-3비(1 : 2) 및 포화지방산:단순불포화지방산:다가불포화지방산비(1:1:1)를 일정하게 조정한 조건하에서 n-3계 지방산, ${\alpha}-LA(C_{18:3}),\;EPA(C_{20:5}),\;DHA(C_{22:6})$를 함유시킨 식이를 조제하여 성장기 SD-계 흰쥐 수컷에 2주간 급여하여 간장, 혈청의 Triacylglycerol(TG)농도 및 간장 TG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EPA 및 DHA 는 순도 98%로서 고도로 정제한 ethyl ester 형태로 식이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 ${\alpha}-LA$군에 비하여 EPA군 및 DHA군에서 간장 및 혈청 TG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간장의 인지질 농도는 DHA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 막 결합성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PAP)성은 간장TG 농도와 같은 경향으로서 EPA와 DHA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DGAT) 활성은 각 군간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간장TG 농도와 간장 막결합성 PAP활성과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0.84)를 나타내어 간장TG 합성억제가 인정되었다. 지방산 합성계 효소의 활성도는 EPA및 DHA군에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3계 지방산, EPA 및 DHA에 의한 간장 및 혈청 TG 농도의 감소는 막 결합형 PAE 활성과 저해에 의한 간장TG 합성 및 지방산 합성 저해가 관여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 PDF

고추향미유가 첨가된 조제고춧가루의 저장 중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oasted Red Pepper Powder Mixed with Red Pepper Seasoning Oil during Storage)

  • 양종범;고명수;문윤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3-238
    • /
    • 2007
  • 라면 수프의 품질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라면 수프의 주원료인 고추향미유가 첨가된 조제고춧가루를 $65^{\circ}C$ 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일반성분은 6주간 저장 후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p>0.05), pH 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ASTA 값과 CIE $L^*$값, CIE $a^*$값, 그리고 CIE $b^*$값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9 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이들 중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18:2) 가 55%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시료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은 linoleic acid(18:2) 이었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리지방산의 총량이 크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유리지방산의 함량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유리 불포화지방산과 유리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탈산소제에 의한 반염건고등어 저장중의 품질안정성 (The Storage Stability of Semi-Salted and Dried Mackerel by Free-Oxygen Absorber)

  • 이응호;정영훈;주동식;김정희;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38
    • /
    • 1985
  • 다획성적색육어류에 속하는 고등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즉석에서 그대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알맞은 수분함양과 식염함양이 적은 반염건고등어를 제조하여 함기포장한 것을 대조제품으로 하고 탈산소제를 봉입한 포장제품을 진공포장제품, 질소치환포장제품과 비교하여 저장중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pH는 전제품이 $6.1{\pm}0.2$의 범위내에서 저장중 약간의 증감이 있었으며, 휘발성염기질소와 아미노질소는 전제품이 저장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은 휘발성염기질소의 증가폭이 낮았다. 색조는 저장중 전제품이 L값(명도)이 약간 감소한 반면에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함기포장제품(대조제품)의 경우 생균수는 저장 15일경에 $3{\times}10^6/g$에 달하였으나 진공, 질소치환 및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은 저장20일까지도 $2{\sim}6{\times}10^5/g$범위였다. TMAO는 저장중 감소하고 TMA는 증가하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istamine은 전제품 모두가 16mg/100g이 하였다. 또한 핵산관련물질은 초기에 IMP가 축적되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IMP가 분해되고 이노신과 하이포크산틴이 축적되었다. TBA값은 함기포장제품의 경우 저장 9일째 최고값을 나타내다가 감소하였으며, 진공포장제품과 질소치환포장제품은 저장 9일째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나, 함기포장제품의 경우보다 1/2 정도로 낮았다. 그러나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은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과산화물 값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시료는 포화지방산이 $35.6\%$, polyene 산이 $34.2\%$, monoene 산이 $30.3\%$였고 oleic acid가 $20.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순이였다. 저장중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고도불포화지방산($C_{20:5},\;C_{22:6}$)이 감소하는 반면에 $C_{16:0},\;C_{18:1}$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이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보존효과가 가장 좋았다. 관능검사 결과, 함기포장제품은 저장 9일째에 선도저하에 의한 이취로 식용할 수 없을 정도였으나, 진공포장, 질소치환포장제품 및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은 저장 15일까지도 식용가능하였다. 특히 탈산소제봉입포장제품은 진공포장제품 및 질소치환포장제품과 마찬가지로 품질보존효과가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토코페롤첨가 효과 (Effects of Tocopherols on the Oxidation Stability of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안명수;임웅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5-260
    • /
    • 1990
  •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0.02%(w/w), 0.05%(w/w) 및 0.10%의 알파와 델타토코페롤의 첨가효과를 과산화물가, 공액이중산가 및 지방산조성의 측정치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파토코페롤은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모든 측정치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가속적인 산화촉진작용을 나타냈으며 델타토코페롤은 무첨가군에 비해 약간의 항산화효과가 저장초기에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났으나 저장일이 경과됨에 따라 그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체내 분자구조 및 높은 함량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으로 인해 저장성이 취약할 것으로 예측된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토코페롤의 첨가는 기름제조 단계에서부터 이화학적 변화에 대한 각별한 주의와 함께 첨가전의 토코페롤의 함량 등이 신중하게 고려되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quors Prepared with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 정은실;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38-1042
    • /
    • 2007
  •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성분으로 EPA와 DHA 와 같은 오메가 3 고도 불포화지방산, 타우린 및 유리 필수 아미노산, 그리고 카로테노이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생리학적 기능성이 풍부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하여 술을 제조한 후, 품질을 평가하였다. 미더덕은 전체, 껍질, 살 부분으로 부위를 나누고, 오만둥이는 전체를 이용하여 각각 10, 20, 50 g을 알콜 함량 30%의 시판 과실주용 소주 250 mL에 첨가하여 4달간 숙성한 후 주정도, DPPH 라디칼 소거능, 색도측정,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조한 각 술의 알콜 함량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만둥이보다 미더덕이 조금 더 활성이 좋았으며, 미더덕의 부위별로는 살 부분이 가장 좋았다. 술의 색도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는 경향,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 미더덕, 오만둥이 술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국산 양식 홍합 함유 식빵의 제조 및 생리활성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White Bread Containing Korean Blue Mussel)

  • 조민지;김윤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23-1629
    • /
    • 2016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많이 양식되고 있는 홍합(진주담치)은 다가 고도 불포화지방산을 비롯한 다양한 유용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항산화능, 항비만능, 알코올분해 효소 촉진능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홍합의 이용성 다양화를 위하여 홍합 분말을 첨가한 식빵(0, 0.25, 0.5, 0.75, 1%, 홍합/밀가루, w/w)을 직접반죽법으로 제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홍합분말이 첨가될수록 식빵의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홍합분말의 첨가는 식빵의 비용적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항산화능(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증가시켰다. 또한, 홍합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 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증가하였다. 관능 검사에서는 홍합분말 1% 첨가 식빵이 맛, 향, 물성과 선호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홍합이 식빵의 경도와 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생리활성을 향상 할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온가열처리에 의한 어육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mposition of Fish Meat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s)

  • 오광수;김정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9-464
    • /
    • 1991
  • $121.1^{\circ}C$에서 가열처리했을 때 고등어육의 수분함량은 가열처리 후에, 그리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감소하는 반면, 조단백질 함량은 약간씩 증가하였다. pH는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량 역시 급증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자숙처리 및 Fo 5 시료에서는 생시료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가열처리가 더 진행될수록 점차 분해되었다. 고등어육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히스티딘, 타우린, 리진, 알라민, 류우신 및 글루탐산 등이 주성분이었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Fo값이 커질수록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히스티딘의 양적 감소가 가장 컸다. 핵산관련물질 중 이노신산 및 아데노신이인산은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아데노신일인산 및 히포크산틴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산화트리메틸아민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한 반면, 트리메틸아민 함량은 급증하였다. 또한 총크레아틴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지질성분의 변화에서,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및 갈변물질량은 가열처리 후에 급증하였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지방질(TL)에 대한 비극성(NL) 빛 극성지방질(PL)의 조성비는 생시료가 71.9%, 28.1%였고, Fo 15 시료는 81.5%, 18.5%로서 가열처리 정도에 따라 NL은 증가하는 반면, PL은 감소하였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보면, 자숙처리에서는 지방산조성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121.1^{\circ}C$ 열처리에서는 Fo값이 커질수록 22 : 6 등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16 : 0 및 18 : 0 등의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때 가열처리에 따른 고도불포화지방산의 감소는 대부분이 PL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 PDF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가열조리에 의한 지방산조성의 변화 (Effects of Cooking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with CLA Fortified Diet)

  • 박은정;김종태;최영준;최병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0-1714
    • /
    • 2010
  • CLA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하고 성장한 고등어에 함유된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지방산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요리하였을 때의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가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양식 고등어의 적절한 조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리 후 포화산 및 모노엔산은 생육의 Control 27.5%, CA25 28.8%와 차이가 없었다. 폴리엔산 역시 RO-8GM, RO-8CM이 31.2%, 30.7%, BO-8GM, BO-8CM은 27.1%, 31.5%, CA-8GM, CA-8CM은 25.4%, 28.4%를 나타내어 생육의 Control 29.4%, CA25의 31.9%와 비교하였을 때 된장조림 및 통조림의 경우 CLA 무첨가구에서 함량이 감소하였지만, CLA 첨가구에서는 통조림구에서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리된 고등어 중 n-6/n-3의 비는 구이의 경우 Control 및 CA25구 각각에서 0.29, 0.24, 된장조림의 경우 각각 0.28, 0.27 그리고 통조림의 경우 각각 0.28, 0.31로 나타났다.

BHA 첨가추출 정어리유 저장중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안정성 (Stability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torage of Sardine Oil Extracted with BHA added Solvent)

  • 이강호;정인학;김인철;김영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6-151
    • /
    • 1987
  • 정어리유의 산화 안정성과 지질추출시에 첨가한 BHA에 의한 저장중의 산화방지효과를 정토하고 산화로 인한 지방산 조성의 면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HA는 유리 지방산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2. BHA는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카르보닐 화합들의 생성을 아주 강하게 억제하였다. 즉 BHA는 과산화을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었다. 3. 정어리유는$C_{20:5}$$C_{22:6}$의 함량이 $23\%$ 이상으로서 매우 높았다. 4. 산화에 의한 지방산의 감소는 polyene 산에서 급격하였으며 특히 $C_{20:5}$$C_{22:6}$산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BHA 첨가는 $C_{22:5}$$C_{22:6}$산의 산화를 크게 억제 할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