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대 천문 기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고대 천문기록과 역사 환경과의 상관관계 연구

  • Yang, Hong-Jin;Choe, Go-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1
    • /
    • pp.76.1-76.1
    • /
    • 2013
  • 고대 천문기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기록의 사실 여부와 함께 천문기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의 천문기록 중에서 관측 빈도수가 높은 유성과 유성우 기록을 통해 이들의 분포와 역사적 환경 요소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유성과 유성우 기록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한국과 중국 일본의 고대 유성과 유성우 기록은 잘 알려진 주기 유성우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인접한 세 나라의 관측 기록은 시대별로 일부 다른 분포를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세 나라의 역사적 환경과 천문기록 분포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200년부터 1700년까지 500년 동안의 왕조-왕위교체, 외부침략, 내란과 같은 역사 사건을 조사하여 중요도에 따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이들을 유성과 유성우 기록 분포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 일본의 고대 유성과 유성우의 기록 분포와 역사적 사건과는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세 나라의 고대 천문관측 기록이 정치적 사건의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고대 천문기록을 분석할 경우 역사적 사건이나 왕위교체 등의 사회적 영향보다는 시대별 천문기록의 분포개수를 고려한 가중치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stronomy Education Programs using Astronomical Heritage and Exploring its Educational Possibility (천문 유산을 활용한 천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가능성 탐색)

  • Lee, Jihye;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2 no.3
    • /
    • pp.325-343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wo science education programs using Angbuilgu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are Korean astronomical heritage, and explore its educational possibility through the pilot application. Considering the TSK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Angbuilgu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linkage with science curriculum, and linkage with NOS, Angbuilgu was developed as a hands-on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as a science inquiry activit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firmed by pilot application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groups. Through the Angbuilgu activity, the students refined their conceptual knowledge by correcting misconceptions about the solar motion by season and then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the celestial coordinate system. Students recognized the scientific value of Angbuilgu and understood the nature of interactions STS. In the ancient astronomical data activity, students experienced inductive and deductive inquiry methods and utilized various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rough the activities, students improved their scientific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TSK.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archaeoastronomical relics in Manchuria

  • 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47.3-47.3
    • /
    • 2017
  • 한국과 중국에는 오랜 천문 역사와 함께 많은 유물과 유적이 남아 있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천문학 전반에 걸쳐 중국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국의 고대 천문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탓에 역사시대 이전의 두 나라의 천문학 특징과 상호 교류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청동기 시대 고인돌 덮개돌에 새겨진 별자리와 고구려 고분 벽화의 별자리와 삼국사기에 기록된 독자 천문 기록의 검증 등으로부터 고대부터 이어진 우리의 고유한 천문 지식과 문화에 대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중국은 고고천문 연구를 통해 중국 여러 지역에서 발굴된 천문유물과 유적의 내용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국의 고고천문 자료들은 역사시대 이전 고대의 문화 지역인 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 앙소문화(仰韶文化),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 그리고 홍산문화(紅山文化)와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화지역에서 발견된 고고천문 자료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한반도와 인접한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천문 유적을 중심으로 중국 다른 지역의 고고천문 유적과 비교하였다.

  • PDF

Cooperation Research Plan in the Historical Astronom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전통천문학 협력 방안 연구)

  • Yang, Hong-Jin;Yim, Ins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7.1-57.1
    • /
    • 2016
  • 전통천문학은 우리 역사에 남아 있는 대표적 과학자산이며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에는 역사시대 이전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대 별자리 그림을 비롯해 천문관측기록과 천문대 등 다양한 천문자산이 전해지고 있다. 오랜 시간 여러 전란과 일제 강점시기를 거치며 많은 자료가 소실되었지만 한반도의 남과북에는 여전히 많이 천문유산이 남아 있다. 천문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남북한 천문학자들이 전통천문학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남북한의 전통천문학분야 협력 방안에 대한 기획연구를 진행 중이다. 북한 천문학자들은 지난 2012년 IAU GA를 기점으로 다시 국제 학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 IAU GA에서는 전통천문 분야를 비롯해 두 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남북한 공동 연구를 위해서는 북한의 전통천문학 연구와 국제 학술교류 현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지금까지 조사한 북한의 전통천문 연구 현황과 대외 학술교류 현황에 대해 보고하고 향후 남북한 공동연구를 위한 방법과 연구 주제에 대해서 발표하고자 한다.

  • PDF

Study for the observation record of constellation Crux in the ancient time of China and its de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of the Chinese constellation 'Goru(庫婁)'

  • Park, Daeyoung;Lee, Yong-Sam;Kim, Yong-K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8.1-48.1
    • /
    • 2016
  • 남십자자리(Crux)는 현재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별자리지만 고대 중국의 전통 별자리 체계가 성립되던 시기인 춘추전국시대만 하더라도 지평선 부근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였다. 우리는 세차운동 계산을 통해 남십자자리가 출몰성에서 전몰성으로 변했음을 확인하였고, 고대 중국의 문헌 기록과 성표, 성도의 별자리 그림 분석을 통해 남십자자리의 밝은 4개의 별이 중국의 전통 별자리인 고루성(庫褸星)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십자자리가 관측되던 시기와 관측되지 않던 시기에 각각 작성되었던 성표와 성도 분석을 통해 고루성의 별자리 모양이 점차 변형되어 갔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양의 천문기술이 중국에 전해 진 이후 진행된 동서양의 별자리 상호 비교 및 동정 결과들을 분석하여 중국의 전통 별자리 체계에서 어떻게 고루성이 완전히 배제되게 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를 포함, 본 연구의 초기 결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 PDF

Sun-Earth Connection in Korean Historic Observations

  • Kim, Rok-Soon;Yang, Hong-Jin;Cho, Kyung-S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1
    • /
    • pp.43.3-43.3
    • /
    • 2021
  • 10세기부터 18세기까지 한국 역사서에 기록된 38개 흑점과 이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25개의 적색 오로라를 조사하여 고대 흑점의 지구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고대 관측 시기를 1300년을 기준으로 이전의 온난기와 이후의 냉한기로 나누어 보면, 흑점의 관측 빈도는 두 기간에서 비슷하지만, 오로라는 냉한기에 집중적으로 관측된다. 특이하게도, 크기가 큰 흑점의 경우는 냉한기보다 온난기에서 관측 빈도가 세 배 이상 높다. 또한, 흑점과 관련된 오로라의 강도를 분석해보면 크기가 큰 흑점은 작은 흑점보다 2~3배 이상 지구영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1185년에 관측된 흑점이 수개월에 걸쳐 여러 차례 관측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활동성 면에서 2003년 할로윈 이벤트와 유사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향후 현대의 흑점 관측 스케치와 국제 흑점수의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다면, 유일하게 한국 역사서에만 찾아볼 수 있는 흑점의 크기 단위는 흑점수와 같이 태양활동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 ASTRONOMICAL RECORDS AND POLITICAL EVENTS (고대 천문기록과 정치적 환경과의 상관관계 연구 - 유성과 유성우 기록을 중심으로 -)

  • Yang, Hong-Jin;Choi, Goeun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27 no.5
    • /
    • pp.411-418
    • /
    • 2012
  • W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s of astronomical records and historical events using historical meteor (shower) records. In Korean chronicles, planets and meteor (shower) records are the most abundant astronomical phenomena. And they represent a general tendency of the number distribution of whole astronomical observations. We examine the correlation for the number distribution between meteors (showers) and planets during A.D. 1200-1700 and find that both records have a similar distribution. We classify historical events into three grades according to the social impact,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s of meteor (shower) records with social events, such as, new king's accession to the throne, foreign invasions, and domestic turmoil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we can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 meteor (shower) records and the political even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Korean historical records have not been influenced by the political events. We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meteor (shower) records and political events for A.D. 1200-1700, respectively, but cannot find any correlations between them.

견우성은 어느 별인가?

  • Kim, Dong-Bin;An, Sang-Hyeon;Song, Du-Jong;Lee, Yong-Sa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31.3-31.3
    • /
    • 2009
  • 견우와 직녀의 사랑 이야기가 얽혀 있는 두 별은 여름철을 대표하는 별들로서 중국 문화권에서는 지난 수 천 년 동안 매우 인기가 높은 별이었다. 두 별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노래를 모아 놓은 시경(詩經)에 이미 등장하고 있고, 서기 408년에 조성된 고구려의 덕흥리 고분 속에 있는 벽화에도 그려져 있다. 고려시대에는 이 별들에 대한 국가적인 제사를 지냈으며, 조선 시대에는 칠월칠석에 국왕이 신하들과 어울려 잔치를 베풀고 칠석시(七夕詩)를 지어서 책으로 편찬하는 일도 있었다. 한편 견우성은 주로 농사와 관계된 별점을 가지고 있었고, 시각제도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28宿(수)의 하나였으므로 천문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관측한 별이다. 그러한 관측의 결과는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에 다수가 남아 있다. 그런데 동양 천문학에서 이미 널리 다루어졌던 문제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이 문학적 견우성과 천문학적 견우성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 일반 시민들에게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의 알테어(Altair)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사서와 고대 천문서 및 천문도가 지칭하는 견우성은 염소자리의 다비(Dabih)라는 별이다. 견우성이 28宿(수)의 하나라는 사실은 그 별(별자리)이 황도와 백도 근처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알테어는 적위가 높아서 도저히 28宿(수)에 속할 수가 없다. 게다가 알테어는 은하수 속에 들어가 있으므로, 견우와 직녀가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는 일반적인 설화와도 어긋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다수의 서적과 매체,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행사와 천문관에서 상영되는 프로그램들에는 모두 알테어를 견우성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일치가 천문학적인 견우성과 인문학적인 견우성의 불일치로 보고, 이 문제를 실증적으로 접근해 본다. 즉,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에 실려 있는 견우성 엄폐 관측 기록을 조사하여 한국사에서 전문 천문학자들은 어느 별을 견우성이라고 보아왔는지 알아보고, 또한 일반인들이 지은 시문에는 어떤 별을 견우성으로 여겼는지 고찰한다. 아울러 역사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선인들의 생각을 짚어보고, 중국과 일본의 학자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살핀 다음, 마지막으로 현실적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고찰해 본다.

  • PDF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 Ahn, Sang-Hyeon;Park, Jong-Wo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1 no.4
    • /
    • pp.505-528
    • /
    • 2004
  • We have reproduced the records of lunar occultation recorded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삼국사기), the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고려사),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Choson Dynasty (승정원일기), and obtained the epochs of their realizations. We analysed these results to understand how the system of hours had been kept and when a day began. During most of the periods encompassed by these annals, the 12 double hours(12진각법) and the system of 100 divisions of the day (백각법) had been used when the lunar and the solar eclipses were calculated by royal astronomers. In these systems, the starting point of a day is midnight. On the other hand, the five watch system of hours (경점법), in which a night is divided into five watches, was also used. In this system, a day begins at the sunrise. We found that the traditional twilight, called dusk and dawn (혼명) and us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 largely corresponds to the nautical twilight in modern concepts. This fact means that the Korean expressions and words for time system in every day life had originated form the five watch system of hours. We pointed out that the sunrise and sunset were convenient boundary lines to ancient astronomers, as well as to farmers in the agricultural society. Our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epoch of each astronomical record in chronicles.

DATABASE OF HISTORICAL ASTRONOMICAL RECORDS (고대 천문현상 관측기록의 검색 DB 구축)

  • SUNG HYUN-IL;AHN YOUNG SUK;YIM IN SUNG;YANG HONG-JIN;KIM BONG GYU;KIM SANG CHUL;SHIN JAE SIK;KANG JOON MO;SOHN SANGMO;NAM HYUN-WOONG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19 no.1
    • /
    • pp.121-128
    • /
    • 2004
  • We have constructed a database of Korean historical astronomical records. The database contains observational data recorded from BC 2183 to AD 1910. We have also built a webpage for searching through the database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dynasties (2) astronomical phenomena (3) reigning kings (4) references (5) keywords. Users may select two or more dynasties to search through the database for a certain phenomena, and compare data with those of other dynasties. The queried data can be primarily sorted by one critetion, and secondarily sorted by another, each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The search results give dates both in Solar and Lunisolar calendars, years and dates in Sexagenary cycle, dynasties, reigning kings, astronomical phenomena, and references. The database and webpage were constructed under the research project of the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 (KADC, http://kadc.kao.re.kr) in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