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대수리시설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ancient reservoir through hydrological analysis - Cheong reservoir located Yeongcheon, southeastern part of Korea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수리시설의 농업생산력 연구 - 영천 청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Seong, Jeo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33
    • /
    • 2018
  • 농업이 기간산업이었던 고대사회에서 수리시설(水利施設)의 축조는 농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대규모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수리시설의 축조 시기와 배경, 축조 기술과 운영, 구조, 몽리(蒙利) 효과 및 보수(補修)와 수축(修築) 등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농경(農耕)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관개(灌漑) 수리시설의 축조와 정비는 수전(水田) 개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제방(堤防)을 축조함으로써 주변의 수전 개발을 촉진하고, 가뭄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전답을 유지할 수 있어 수확량을 높이게 된다. 농업생산력의 향상은 대내적 체제 정비는 물론 치열한 국가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배경이 된다. 이처럼 고대수리시설은 개인과 집단 나아가 국가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근본이었지만, 과연 우리는 그 역사성과 의미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했던 것일까? 또한, 고대수리시설의 관개 및 치수(治水) 능력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으며 근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였을까? 일부 수리시설에 대해 관개면적을 추정한 경우는 있으나, 그 예도 많지 않을뿐더러 시기적인 변천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수리시설 중 경북(慶北) 영천(永川)의 청제(菁堤)를 대상으로 고고학적 역사학적 입장에서 보다는 수문학적(水文學的) 농업수리학적(農業水利學的) 관점에서 저수량(貯水量) 및 관개(灌漑)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살펴보았다. 지형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규모 및 관개 면적을 추정하였으며 수문학적 해석 모형(模型)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김현준 등, 2012)을 이용하여 저수량 및 관개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CAT은 공간 단위별로 침투(浸透), 증발(蒸發), 지하수(地下水)흐름 등의 모의(模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모형이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및 홍수방재용(洪水防災用) 저류(貯留)시설 등의 저류량(貯留量) 및 방류(放流量)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장철희 등, 2012). 고대수리시설의 저수량 및 관개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공학적 수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과거물 관리 및 생산력의 실태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역사학적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수리시설의 역사성 및 우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an-Ja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

  • Oh, Jun-young;Kim, Young-m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1
    • /
    • pp.68-83
    • /
    • 2016
  • Pan-jang(板墻) has become the lost facility, and the examples of its original form can be found no more due to its variable mater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tudy panjang as a lost facility, the following are needed: - To bring to light its usage and examples. - To investigate its components and structure. Panjang refers to the wall made of wooden plate and is classified as a special wall according to its mater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Chinese mokyeongbyuk(木影壁) and Japanese panbyeong(板?) are similar to Korean panjang in terms of the materials, bu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their structures. Panjang was also transform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or forms. As the wooden elements of panjang, sinbang(信防), pillars, do-ri(道里), jungbang(中枋), inbang(引枋), parn(板), dae(帶), choyeop(草葉), bangyeon(方椽), gaeparn(蓋板), pyeonggodae(平高臺), and yeonharm(椽檻) were selectively used, and they are similar, in particular, to the components of ilgakmoon(一角門). The stylobate of panjang is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according to the kinds and structures of the wooden elements; and its frame into two according to whether sanginbang(上引枋) is used or not. The materials for the roof area include planks(蓋板) and tiles and have the distinct structural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