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능률 가공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전해 인프로세스 드레싱법(ELID)을 이용한 고능률.고정도 원통연삭

  • 이득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161-165
    • /
    • 1993
  • 최근 산업의 발달과 함께 제품의 고정도화,다양화,생산성 향상등의 요구에 의해 연삭가공에 있어서도 고능률.고정도가공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산업,광산업 등에 넓게 응용되고 있는 광학소자 가공에서는 가공정도와 가공능률이 동시에 달성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많지만, 이러한 광학소자의 가공에 있어서 기존의 연마방법은 가공정도와 가공능률에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연삭가공에서 고능률,고정도가공의 한가지 방법으로 "전해 인프로세스드레싱(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ELID)연삭법"이 개발되어 고강도 메탈본드숫돌에 의한 초경합금,세라믹재료등의 경취성재료를 고품위 가공하고 있다. ELID연석법이란 숫돌의 다이아몬드나 cBN등의 연삭입자를 결합하고 있는 금속결합재를 전기분해에 의해 적당량 제거하여 일반적인 연삭과 같이 연삭입자를 연속적으로 돌출시켜 가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연삭방법이다. 본 연구는 ELID연삭기술을 이용하여 원통연삭에서 철갈재료 및 세라믹재료의 고능률.고정도 가공특성을 살펴보았다. 원통연삭에서의 주철파이바본드숫돌 및 코발트본드숫돌에 의한 ELID연삭과 비트리파이드본드숫돌에 의한 일반연삭과의 고능률 가공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저순도 알루미나 예비소결체 절삭시의 공구 수명

  • 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7-247
    • /
    • 2004
  • 세라믹의 완전 소결체는 높은 경도와 취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삭과 같은 입자가공이 행해지게 되어, 가공능률이 매우 낮고, 복잡한 형상 창성이 어렵다. 완전소결된 세라믹의 절삭가공에서는, 공구수명이 짧고, 가공속도가 매우 늦어 일반의 부품가공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소결이 전혀 행해지지 않은 성형체의 절삭가공은 공작물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가공속도, 가공능률, 부품의 척킹 및 치수 정밀도 등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엔지니어링 세라믹의 고능률, 고품위 절삭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중략)

  • PDF

Highly Efficient Constant Pressure Grinding of Roll on Rolling Machine Using ELID Method (전해 인프로세스 드레싱법을 이용한 압연 ROLL의 고능률 정압연삭특성)

  • 이득우;대삼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b
    • /
    • pp.108-112
    • /
    • 1995
  • 최근, 제품의 다양화, 생산성향상 등의 요구에 의해 소성가공 분야인 압연가공에 있어서도 절삭가공에서와 같이 고능률, 고정도가공이 주목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압연롤 그라인딩(On-line Roll Grinding :ORG)법에 전해인프로세스드레싱법(ELID)을 적용하여 압연롤의 경면가공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경면압연을 수행함을써 압연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ELID법을 적용한 ORG를 제시하여 압연기에 설치하고 정압 연삭으로 압연롤의 경면가공을 실현하며, 압연시발생하는 흠집을 고능률로 제거하기 위한가공능률 평가를 중심 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연삭 가공에 있어서 열변형으로 인한 영상오차에 관한 연구

  • 박구하;홍순익;김남경;송지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120-124
    • /
    • 1992
  • 평면 연삭가공에 있어서 피삭재의 진직도의 제어는 정밀계측기와 같은 정밀기기의 제작에 중요한 문재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삭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 능률 단공정 가공시 발생할 수 있는 피삭재의 열변형기등을 유한요소법으로 밝힌것을 기초로 실험과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고능률 연삭시 형상오차에 미치는 여러가지인자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회귀분석에의해 형상오차의 추정치를 예측하였다.

도광판 금형의 초정밀 · 고능률 가공 기술 동향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99
    • /
    • pp.52-56
    • /
    • 2005
  • 본 고는 지난 8월 25일과 26일 양일간에 걸쳐 산업기술대학교에서 주최한 제3회 초정밀 광학클러스터 기술세미나에서 일본 (株)岡本工作機械製作所(Okamoto Kazuo Watanabe)가 발표한‘도광판 금형의 초정밀 · 고능률 가공기술 동향’에 관한 내용이다. 액정 Display의 고정도화, 대형화, 경량화, 박막화, 저소비전력화 등 기술적 발전의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도광판과 관련하여 현재 도광판 가공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 회사의「도광판 금형 가공기 LCD Series」의 기본 특징 및 최신 기능에 대한 소개를 통해 도광판 가공기술에 대한 기술 및 시장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ELID 연삭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0
    • /
    • pp.65-73
    • /
    • 2005
  • 고정 지립, 즉 지석으로 경면 가공한 새로운 연삭 가공법이 확립되면서 또한 초정밀한 운동 정밀도를 가진 기계 요소와의 결합에 따라 광학 부품이 나 전자 부품에 이용되는 기능성 재료를 고품위·고능률로 경면 가공하는 초정밀 연삭 기술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유리 지립을 이용하는 연마 가공이 고정 지립화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연삭 기술은 가공 품위, 형상, 거칠기, 정밀도, 능률 등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최적화하는 초정밀 연삭 기술로서 그 위치를 다지기 시작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하나로[ELID 연삭법]이 있는데, 본 기술은 최근 다양한 공업 생산에 실용화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연구 개발 분야에서도 확립되기 시작했다. 본 고에서는 ELID 연삭법의 원리, 효과, 적용 그리고 장치와 응용에 대해 설명한다.

  • PDF

고능솔.고정도를 위한 연삭가공

  • 송지복
    • Journal of the KSME
    • /
    • v.26 no.4
    • /
    • pp.290-296
    • /
    • 1986
  • 좋은 품질의 제품을 높은능률 낮은원가로 생산하는 것이 가공의 목표이다. 연삭가공은 이 목 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공기술의 하나이며 현재 기계부품의 제작에 있어서 최종공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도 해명되어야 할 과제들(예를 들면 연삭입력조건의 형식화, 연삭결과의 예측기술 확립, 숫돌의 선택기준의 설정, 연삭가공의 고능률화 고정도화를 위한 최적기술등)이 적지 않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고 연삭가공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연삭현상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먼저 연삭가공 시스템과 연삭과정의 몇가지 현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고능률 고정도화를 위한 연삭가공기술로서 연삭입자의 절인속도를 증가하는 고속연삭법, 절인과 공작물과의 간섭현상을 크게하는 중연삭법, 유효숫돌의 절대량과 연삭량을 제어하는 정 밀연삭에 관하여 기술코져 한다.

  • PDF

ELID 연삭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1
    • /
    • pp.57-63
    • /
    • 2006
  • 지금까지 재현성이나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온 경면 연삭이나 연성 모드 연삭도 ELID 연삭법의 개발에 따라 실용화되기 시작하고 있다. 부드러운 지석으로 피삭재 표면을 문지르듯이 가공한 기존의 다듬질 연삭은 예리하게 돌출된 미세한 지립에 의해 삭둑삭둑 잘리며 능률적으로 경면화되고 초정밀화 될 수 있는 신가공 기술로 변해 왔다. 또 절삭 가공의 이미지로 난가공재를 깎는 고능률 연삭도 실용 단계로 들어섰다. ELID 법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해 관련된 제조업체의 협력으로 주변 기술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지만 ELID 연삭 조건을 최적화하려면 작업 목적의 설정과 구성 요소의 선정을 좀더 명확하게 한 다음 적용할 기계 정밀도·성능, 기능과의 적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Feed Optimization Based on Virtual Manufacturing for High-Efficiency Turning (고능률 선삭 가공을 위한 가상 가공 기반의 이송량 최적화)

  • Kang, You-Gu;Cho, Jae-Wan;Kim, Seok-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1 no.9
    • /
    • pp.960-966
    • /
    • 2007
  • High-efficient machining, which means to machine a part in the least amount of time, is the m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is study, a new feed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virtual manufacturing was proposed to realize the high-efficient machining in turning process through the cutting power regulation. The cutting area was evaluated by using the Boolean intersection opera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workpiece. And the cutting force and power were predicted from the cutting parameters such as feed, depth of cut, spindle speed, specific cutting force, and so on. Especially,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optimization method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nd measured cutting forc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optimization method could effectively enhance the productivity in turning process.

고능률 고정밀 래핑 장비의 개발

  • 김동석;하상백;이상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3-33
    • /
    • 2004
  • 래핑은 상하정반 사이에 공작물과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삽입하여 유성치차운동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오래 전부터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래핑의 특징은 한번에 많은 수의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어 가공능률이 우수하고, 높은 형상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부의 표면 거칠기가 양호하고 가공 변질층이 작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박판 형상의 가공물이나 경도에 비해 강도가 취약한 경취성 재질의 가공물을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정밀 기계산업 분야 이외에도 광통신 산업, 반도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등에서 그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