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 개념

Search Result 1,48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ritical Reviews on Concept of Spatial Planning - From the Perspective of ESDP and PCPA in 2004 in the UK - (공간계획의 개념에 관한 검토 - 유럽의 ESDP와 영국의 PCPA 2004를 중심으로 -)

  • Kim, Tae-Hoon;Kwon, Hyuk-Jin;Lee, Cheon-Ja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99-122
    • /
    • 2015
  • Spatial planning, is required to be conceptualized corresponding to the shifts in planning paradigm through 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es. The concept of planning, thu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not only the planning discipline but also the planning activities or practices.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examine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based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lanning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and use planning, then review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in terms of its dimensions. The research range will be limited to on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and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s and bot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pproaches will be applied concurrentl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found as follows: Firstly, spatial planning has been reviewed with regard to theoretical, practical and integrated approaches. Second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definitions, dimensions and analysis criteria and then analyzed conceptual differences compared with traditional land use planning. Finally,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highlighted based on the dimensions of spatial planning, such as future visions, policy toolbox,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lusivity.

천변저류지 계획수립 방안

  • 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8-82
    • /
    • 2006
  • 현재 치수계획은 선적인 개념의 제방위주 하천대응 치수계획에서 벗어나 면적인 개념의 유역 대응 치수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 유역대응 치수계획으로 천변저류지 계획이 수립되고 있지만 계획수립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을 중심으로 각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 사용하였던 방법들을 정리하여 천변저류지 수립절차, 분석방법, 홍수조절효과, 운영방안 등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천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산정에 대한 문제점 및 향후 계획을 제시하여 천변저류지 계획 전반에 대한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concept of neighborhoods and its implication to urban park planning (근린주구개념과 도시공원설계)

  • 김성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8 no.2
    • /
    • pp.21-30
    • /
    • 1990
  • 근리주구개념은 도시사회구조를 이해하는 기본적 틀로서 인식되어왔을 뿐 아니라 도시공원의 계획에 따르는 공원체계의 개발 및 도시민의 여가행동 규명에 중요한 하부체계로 사용되어왔다. 80년대를 전후하여 발표된 다수의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낮은 이용사례는 공원의 소극적 관리 상황 뿐 아니라 계획 그 자체에 문제가 있음을 환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소 도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에 의한 근린주구 개념을 파악하고 주민의 근린공원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전통적인 근린 공원계획의 설정목표 및 기준상의 문제를 제조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주민의 근린주구개념의 '동질성'의 사회경제적 기능주의 입장보다는 물리지형적 특성으로 기울어 사회학자 및 공원계획가의 근린주구에 대한 기본전제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계획가에 의해 임으로 설정된 근린공원의 서비스 영역(0.8km 둘레) 내부에 위치한 주민들의 공원비용은 주민자신에 의해 도출된 근린 주구 영역이 공원의 포함여부에 커다랗게 영향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근린주구의 사회학적 개념과 현상학적 접근방식의 일환으로 Cognitive Mapping 기법에 대한 정리도 제시한다.

  • PDF

Study on Improvement of Methods for Dividing Watershe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특성을 고려한 유역분할기법 수립 개선 연구)

  • Jung, Sang-Hwa;Kim, Kyu-Ho;Im, Dong-Kyun;Kang, H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33-1536
    • /
    • 2009
  • 기후변화에 따른 빈번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지속적으로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한 지역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과거 태풍 루사나 매미의 경우 도시유역에서 주요 피해가 발생하여 대규모 피해를 야기하였으나 2006년 발생한 태풍 에위니아의 경우 집중호우로 인한 배수문제,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 발생과 이에 따른 도로 및 하천 유입으로 피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피해는 남해안 및 영남지방, 강원 영서지방에서 주로 발생한 것으로 과거 피해 유형과 차이가 난다. 기존 하천 중심의 치수대책만으로는 다양한 지역특성을 고려한 치수계획을 종합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한계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2001)는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 하도와 유역 시스템을 함께 고려하는 유역종합치수정책을 제안하였다. 홍수피해잠재능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면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적 비교가 가능하고, 단위구역의 치수특성 및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지수(이승종, 2006)이며, 치수안전도 설정을 위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제시된 개념으로 아직 이론적 기반이 미흡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수정된 개념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국가 치수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인 홍수피해잠재능과 치수안전도의 치수계획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특성별로 유역분할기법을 조사 정리하였으며 국외 사례를 분석하여 유역분할기법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유역단위 맞춤형 치수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he trend of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applying the concept of average riverbed (평균하상 개념을 적용한 낙동강 하상변동 경향 분석)

  • Kim, Seong J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5-235
    • /
    • 2022
  • 하천정비 계획을 수립하거나 하천 구조물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하상변동은 최심하상의 변화나 계획 홍수위에 대한 평균하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최심하상의 변화를 이용할 경우에는 국부적인 하상변동이 지나치게 과대 평가되어 전체 하상변동 경향에 오해를 불러 올 수 있으며, 계획 홍수위를 이용한 평균하상 개념을 이용하면, 평균하상이 지나치게 높게 위치하여 평수위를 상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실제적인 하상으로 보기 어렵다. 즉, 계획 홍수량을 이용하여 평균하상고를 산정하면 평상시 물에 잠기지 않는 바닥면보다 평균하상이 높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획홍수위가 아닌 연평균 홍수위를 활용하여 연평균하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보 개방했을 때의 낙동강 하상변동 분석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점은 낙동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 하천기본계획에서 계획홍수위와 연평균 홍수를 이용하여 평균하상을 계산하였다.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2013년도와 2016년도의 하천 단면에 대해 연평균 홍수량을 입력하여 연평균 홍수위와 연평균하상고를 산정하였으며 기존 계획홍수위보다 연평균홍수위를 기준으로 활용하였을 때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여졌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연평균하상의 개념이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계획평균하상보다 직관적이고 적절하게 하상고를 대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roduction Methods of Agropark Concept in Saemangeum Reclamation Area (새만금 간척지 아그로파크 개념 도입 방안 연구)

  • Seo, Donguk;Ritzema, Henk;Smeets, Peter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2 no.4
    • /
    • pp.93-102
    • /
    • 2016
  • 최근 새만금 농업용지에 아그로파크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어 새만금 간척지에 현실적이고 적합한 아그로파크 개념을 반영한 농업용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새만금 토지이용계획 상 주요 11개 단지들은 네덜란드의 아그로파크처럼 같은 장소에서 서로 다른 기능들이 공간적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념보다는 각각의 기능을 가진 독립된 공간처럼 단지별로 나누어져 있어 단지들 간 종합적으로 연결된 개념으로 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업용지에 아그로파크를 도입할 수 있는 두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의 토지이용계획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어느 특정 구역에 자원 순환 등의 연결고리를 갖고 생산, 가공, 유통이 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아그로파크를 조성하여 확대할 수 있도록 토지이용계획이 수정될 수 있는 방안이다. 이 경우 농업용지는 지속적으로 아그로파크들의 확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 개발될 수 있고,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한 방안이다. 둘째, 현재의 토지이용계획을 고려할 때, 아그로파크 기능 발휘를 위해 농업용지 각 단지별로 연계 가능 기능들을 연결하는 방안으로, 아그로파크 시범단지를 조성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두 경우 모두 아그로파크 기능 발휘를 위해 새만금 농업용지 종합관리센터가 구축되어야 한다. 향후 성공적인 아그로파크 조성을 위해 이 두가지 방안에 대한 세부 계획과 설계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lanning Concept and Design Strategies in the 5 Prize-winners of the Urban Concept Competitions for the Busan River City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도시개념 공모안에 나타난 계획개념 및 설계전략 분석)

  • Jeon, Sang-Uk;Lee, Seok-Hwan;Baek, Ki-Young;Lee, Hee-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513-522
    • /
    • 2011
  • This study has don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urban design idea for waterfront industrial-logistics cit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5 prize winning pieces which had submitted for "The Competition of Urban Concept for the Busan River City" by leading urban architectural designers who have futuristic and international vision. Following the analysis on design guideline with the 5 categorical subject (concept, land use, transportation, residencial area, open spac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design are summarized. The result can be utilized for the waterfront planning and design including new town project.

ADVANCED MANAGEMENT AND INDUSTRIAL CONCEPTS INTRODUCED BY A NUCLEAR POWER PROGRAM ("원자력개발계획에 수반된 경영 및 산업상개념의 전환")

  • Cochrun L. F.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6 s.5
    • /
    • pp.32-37
    • /
    • 1975
  • 원자력 발전 계획에 채택은 현대적인 경영 및 산업상의 개념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누릴 기회가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개념들은 발전소의 계획설계 제 허가 및 건설공사의 제반 과정에서 적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적 개념의 적용 대상인 원자력발전소와 다른 공업제품에서 이 두가지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1. 각 계통간에 복잡한 상호 관련성이 있다는 것. 2. 안전계통과 그의 해석에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된다는 것. 그리고 3. 고가의 투자액이 소요된다는 것에 있다. 이러한 개념은 일단 채택 소화된 후에야 원자력발전소 후속기업무와 기타의 산업분야 및 산업경영에 까지 광범위하게 유익하도록 적용할 수가 있으며 이들의 적용은 생산성의 구체적인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시간과 자본의 투자보상이 개선된다. 여기서는 주어진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개념중이 일부만을 골라서 개진한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using net water consumption concept in Jeju Island (순물소모량 개념에 의한 제주도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7-297
    • /
    • 2016
  • 유역 수자원 관리의 관점에서, 경작지에서 필요한 수량은 경작지에서의 작물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급해야 할 수량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작물 경작상태의 최대증발산량에서 경작이전상태의 실제증발산량을 감한 수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작물 경작으로 인하여 증가된 물소모량을 순물소모량이라 정의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낙동강유역 하구조사 기술보고서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제3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1991-2011), 21세기를 바라보는 수자원전망(1993), 수자원개발 가능 지점 및 광역배분계획 기본조사(1996) 등에서 유역규모의 수자원 부존량 해석, 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해서 유역 물수지 방법에 의한 순물소모량 개념의 접근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순물소모량 개념을 적용하여 4개 시험유역(한천, 천미천, 강정천, 외도천) 및 제주도 전역에 대한 지역별 수요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향후 예상되는 작물재배면적 변화에 따른 순물소모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기존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고 있는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