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지표

Search Result 1,07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Urban Water Cycle (도시 물순환 평가지표 개발)

  • Kim, Hyung San;Lee, Sang Jin;Lee, Seong Woo;Lee, Young G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5-465
    • /
    • 2021
  • 2019년 도시계획현황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9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인구증가는 불투수면적 증가, 표면유출 증가, 침투량감소 등 도시 물순환의 왜곡을 발생시키며 건전한 물순환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 물순환을 저해시키는 요인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물순환 관련법, 물순환 및 물관리를 위한 조례, 국내외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국내에서 수행된 다양한 지표 연구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물순환 지표를 특정할 수 있는 6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105건의 논문 및 보고서를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9건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별 지표를 수요·공급, 이수·치수, 수질·생태로 구분하여 정보를 분리화 한 후 분리된 정보를 유사한 지표별로 통합하여 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 PDF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evaluating sustainablility of district unit planning in Seoul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 Yang, Byoung-E;Lee, Gwan-Gyu
    • KIEAE Journal
    • /
    • v.4 no.3
    • /
    • pp.15-26
    • /
    • 2004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environmental indicators to evaluate sustainability of district unit planning in Seoul. The indicators are devised to evaluate three categories of influencing areas such as district planning area, surrounding areas of planning area, and city wide area. In order to formulate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subsystems of the environment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into seven sectors of the environment such as air and climate, soil, water, green space, fauna, noise, and landscape. 16 indicators were developed from the seven sectors. Weighing were given to each indicator resulting from AHP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nvironment and urban planning experts.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Building - Focused on evaluating indicators for utilizing natural energy - (건물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자연에너지 활용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 Bang, Jae-Sung;Yang, Byoung-E
    • KIEAE Journal
    • /
    • v.6 no.2
    • /
    • pp.27-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assess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building. This reseach focused on evaluating indicators for passive design in the stage of site planning and building massing.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first priority was given to set up systematic framework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passive design. Based on the framework, the assessment categories and indicators by each category were established. Secondly, the weighted value of each indicators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xper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of experts, feasible indicators were obtained and the grades of measured values were deduced. Finally, this paper presented comprehensiv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icators which is related to the passive design.

Grouping method on functional classification for national highway (국도 기능 분류를 위한 그룹핑 방법론에 관한 연구)

  • 김주현;도명식;정재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131-144
    • /
    • 2002
  • 도로의 그룹핑(Grouping)이란 도고 계획, 설계, 관리, 조사 계획 및 정비 방침 등을 세우기 위해 유사한 성격의 도로 구간을 군집화하는 방법이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도로 그룹핑 방법은 그룹 수를 미리 지정함으써 분석가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었고, 그룹핑 변수 선정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도로 그룹핑 방법을 개선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 제시된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에서 제공하고 있는 일반국도의 2000년 294개 상시조사 지전의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월, 요일 변동계수만을 적용한 그룹핑 방법보다는 기타 교통지표(AADT, $\Sigma$K1000(K값의 상위 1000번 순위까지의 누적 값), 중차량 비율, 주야율)를 동시에 적용할 때 좀 더 효율적이면서 세부적으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타 교통지표론 적당한 그룹핑 결과로는 5그룹의 국도 기능 분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기존의 소재지역과 기능에 따른 국토의 구분을 지방 산업도로 그룹, 지역 간선도로 그룹, 대도시 주변형 도로 그룹, 중소도시 주변형 및 관광도로 그룹, 관광도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도로 그룹핑 결과에 각 지역특성을 추가하여 분석한다면 도로의 계획, 선계, 관리 등에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예상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설계시간계수 선정, 전역 조사 지점의 AADT추정, 상시 교통량 조사 자료의 누락 데이터 보정 및 교통량 조사의 스케줄링에 많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Proposal of Distribution Method for Inter-Regional Sewage Treatement Zone Using GIS and Gravity Model (GIS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광역 하수처리권역 설정)

  • 하성룡;박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20-25
    • /
    • 1998
  • In order to support effective decision-making related to inter-sewage planning, this study proposes the spatial distribution method of inter-sewage treatement area using spatial analysis of GIS, Communication system of database, spatial interaction of Gravity model. Evalution Indexs are consist of economic, social/polit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value which are explained by the analysis of AHP algorithm ,based on opinion of related experts. Network module in Arc/Info is applied in order to find out minimum pipeline root in Miho river watershed, one of the sub-basin of Geum river basin. This value also is ut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cost decay function in gravity model.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KIAHS (Korea's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Sites (한국 국가중요농업유산지역 관리체계 개발 연구)

  • Lee, Jeong-Hwan;Yoo, Hak-Yeol;Jeon, Young-Ok;Choi, Sik-In;Youn, Won-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4 no.3
    • /
    • pp.13-24
    • /
    • 2018
  • 한국의 농업유산 정책은 2002년 FAO가 도입한 GIAHS 제도를 바탕으로 2012년에 농림축산식품부가 도입하였다. 현재 한국 국가중요농업유산(KIAHS)지역으로 지정이 되면, 농림축산식품부의 다원적 자원 활용사업에 의해 3년간 보전 관리를 위한 예산지원을 받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그렇지만, 다원적 자원 활용사업 종료 이후 KIAHS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관리체계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KIAHS 지역에 대한 지속적 관찰 및 데이터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지표 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KIAHS 지역의 보전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 해외사례 조사,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지표의 검증 및 현장 적용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모니터링 지표 및 관리체계를 도출하였다. 모니터링 지표는 단계별 검증절차를 거쳐서 총 17개의 공통지표와 각 지구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율지표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니터링 지표들은 준비-지정-관리의 3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적용가능한 지표를 제시하고, 측정시기와 방법, 측정주체 등 관리체계 구축에 필요한 항목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Third Phase New Town Develop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expert survey method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3기 신도시의 계획지표 및 개발방향설정 연구)

  • Yoon, Jeong Jo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0 no.3
    • /
    • pp.43-5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dicators and development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new towns are planned to be built. To this e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analyzing the survey data of experts in each fiel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echnique. First,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existing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that there were many negative assessment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mart technologies and services,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and inclusion. Regarding the third phase new town, expert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a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comfort, quality and service of residence. In addition, experts cited the superiority of landscape/design, jobs/self-sufficiency and social/cultural diversity as important indicators.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experts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professional field, the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gender", and the third phase new tow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professional field". Third, experts thought that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industry and jobs, quality of life and diversity,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and social and residential welfa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lanning of third phase new town. In addition, experts considered expanding park and self-sufficient land as important in the land use plan, and ranked eco-city as a desirable type of the city, and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park areas and education facilities as the most important living infrastructur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Index Based on Weighting Method (가중치 부여 방식에 따른 지수변화 민감도 분석)

  • Baeck, Seung-Hyub;Lee, Dong-Ryul;Choi, Si-Jung;Ho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0-450
    • /
    • 2011
  • 최근 유역의 급속한 도시화, 농업의 근대화, 홍수로 인한 수해 증가, 극심한 홍수, 물이용 형태의 변화, 수질 오염 등 하천관련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물 관련 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유역조사를 통한 수문 및 하천 정보의 기초자료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유역에 대한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고 국가수자원계획의 정책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지수들을 사용하고 있다. 지표 및 지수를 통해 한 분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관측 값 또는 기초자료들 중에서 현상을 잘 기술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값들을 선별하여 표준화를 거치고 각각의 세부지표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가중치를 부여한다. 기존 수자원관리를 위해 개발된 지표 및 지수에 사용된 가중치 방법은 동일가중치 방법이나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한 계층분석법(AHP) 등이 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 및 지수개발에 있어 사용되는 가중치 산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각 세부지표나 대리변수 사이의 가중치 산정방법에 따른 평가결과의 변화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중치 부여 방식에 따른 지수변화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somorphism and Standardization of School Development Plan and Specialization Plan (「학교발전계획 및 특성화계획」의 동형성 및 표준화 연구)

  • Ha, Ji-hye;Lim, Heon-W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3
    • /
    • pp.47-53
    • /
    • 2017
  • The university must open the "School Development Plan and Specialization Plan" at the university allimi. The reason for this is the Special Act o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Educational Institutions, enacted on May 25, 2007, and the Plan for Reform of University Refor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Mar 28, 2014. Therefore, we examined the similarity and standardized model of the "School Development Plan and Specialization Plan" published by a total of 137 colleges.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17(12.4%) of the college produced information in two ways(school development and specialization), and the rest were not. The school development plan presented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world number one, The characterization plan presented qualitative indicators such as human. Based on this, standardized research procedures and conception are presented.

A Study on The Satellite image and GIS application from Urban Improvement Project (도시정비사업에서의 위성영상과 GIS 활용 방안 연구)

  • Han, In Goo;Lim, Young Taek;Choi, Bo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21
    • /
    • 2007
  • Recently, the satellite image is getting large spotlight as a way for getting necessary information of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but the satellite image is only used to explain the status or basemap instead of paper map in urban planning works. From this study we derived the detail indexes to fix the boundary of urban improvement project, for measuring these indexes used with satellite image and GIS. the linkage of GIS and satellite image let us to catch the indexe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type deciding in Urban Improvement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