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의 기본방향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valuation methods of flood control safety to establish flood management system of river basin (유역단위 홍수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치수안전도 평가방안)

  • Lee, Min Woo;Jang, Won Jae;Lee, Yong Kw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0-220
    • /
    • 2022
  • 물관리 일원화, 물관리기본법 제정·시행 등 우리나라 물관리 체계의 혁신기에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통합 물관리 전략 마련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국가물관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여 공표·발간되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유역단위의 물관리를 원칙(12대 기본원칙 중(中))로 하며, 물관리 3대분야(수질·수생태, 이수, 치수)에 대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관리 방향을 정립하고 분야별 관련 및 하위계획과의 일관성·정합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 중, 유역 재해안전도와 관련하여 하천범람에 대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평가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거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의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잠재능(PFD)을 적용하여 등급별 홍수방어대책 수립방향 및 하천의 설계빈도 조정을 검토하였으며,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실무적 적용 어려움(산정인자 다(多)), 설계빈도와의 연계성 부족,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성 미흡 등에 대한 개선·보완의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유역내 전체하천이 아닌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만 치수안전도 설정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하천 전체구간의 설계빈도 상향에 따른 홍수방어대책이 비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산정인자 단순화, 홍수위험지도를 활용을 통한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도 향상 및 치수단위구역별 설계빈도 조정 가능 등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빈도별 치수단위구역의 홍수피해잠재능(PFD)의 통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 등급 설정 및 설계빈도 조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역내 전체하천에 대한 치수단위구역별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고, 중권역 단위의 치수안전도를 평가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에 유역 재해안전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tegrated in Local Comprehensive Plans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도시 물순환 개선을 위한 도시기본계획과 저영향 개발(LID) 연계성 분석)

  • Kang, Jung-Eun;Hyun, Kyoung-Hak;Park, Jong-B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625-1638
    • /
    • 2014
  • Recently,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LID is needed to be incorporated i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the real worl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lanning and LID in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is critical gap by 1) examining whether current urban planning institutional system considers LID or not and 2)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local comprehensive plans integrate LID in seven large cities. Study results show that a few planning guidelines declaratively mention the need of LID but they don't include specific LID strategies. In addition, we found that 7 local comprehensive plans in the sample received a mean score of 11.71, which represents 19.52% of the total possible points and there are wide variations among cit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still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on LID. We propose the revision of planning guideline by incorporating LID principles and non-structural and structural LID technologies.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 Ra, Jung-hwa;Cho, Hyun-Ju;Lee, Hyun-Tae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48-64
    • /
    • 2008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t a systemic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to cope with the destroyed landscape problems which was caused by massive development project and thoughtless development in country area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ere are 60 planning index items which are nature conservation area,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build and manage wetland biotope and so on. total number of planning index is 34 after finalizing the physical index items. As a result of on-spot research, all 34 planning index after literature analysis is existing. Also, there are 38 finally-selected index which includes 4 added planning index in the process of research like natural vegetation in frequently-used spot.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detailed planning index, most are above 5 points, which i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patterning for the detailed planning index, it was classified with seven elements. The first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was set with integrated analysis on result of pattering for the detailed planning index and importance of detailed planning index. Based on first model, to make more systematic landscape, the analysis of MCB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MCB analysis according to planning index, it is confirmed that each planning index shows maximum.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the 9 plans keynote, the average importance point was 4.62 for conservation area and 4.54 for enrichment area respectively. By integrating the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basic aims of the first model, MCB analysis and plans, we set the second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In vertical transition, for example, 'conservation area' showed the importance point above 5.2 for all planning index except setting recreational space. Also, the analysis on parallel structure showed that relation between 'additional improvement, management, and connection' and other planning index is above 5.3 and importance on correlation with 'the part which should be protected from nature and landscape' marked 6.07 which is the highest.

협회안내 - 대한설비건설협회 2014회계연도 사업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6
    • /
    • pp.60-68
    • /
    • 2014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 2월 26일 설비건설회관 대회의실에서 제50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2014회계연도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2014년도 사업추진의 기본방향은 분리발주 법제화에 대한 후속조치 및 공공기관의 설비건설 주계약자 공동도급 정착 추진을 비롯해 설비건설 해외시장 진출 확대 등 업역확대, 하도급시장 환경개선 등 설비건설업계 권익보호, 설비건설 기술인력 양성사업 및 건설업 등록신청 업무 등의 협회 신규 위탁사업 지정 추진과 공종별 발전과 협력을 위한 제위원회 운영 및 설비건설의 대 내외적 홍보활동 강화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 PDF

협회사업 - 대한설비건설협회 2013회계연도 사업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2
    • /
    • pp.67-75
    • /
    • 2013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 2월 21일 설비건설회관 대회의실에서 제48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2013회계연도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2013년도 사업추진의 기본방향은 ▲설비건설의 원도급시장 진출 확대 ▲회원사의 하도급 환경개선 추진, ▲기계설비 미래 발전을 위한 기계설비기준법 추진 및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을 통한 기계설비 위상강화 방안 등이며 이밖에 회원사의 적정공사비 확보 및 정부 위탁업무의 공정하고 신속한 처리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 PDF

통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본정책방향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92
    • /
    • pp.30-34
    • /
    • 1995
  • 정보통신부는 7월 4일 통신사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기본정책방향을 수립.발표하였다. 통신사업의 세계화를 추진하고 국가기간 통신망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우리 통신사업자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통신부가 '80년대 후반부터 일관되게 추진해 온 통신사업경쟁구도의 최종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관련기관 협의와 공청회를 거쳐 8월 중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확정한다.

  • PDF

BOP를 이용한 수주생산관리시스템의 설계

  • 백원장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469-475
    • /
    • 1999
  •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수주생산업체의 생산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데는 널리 알려진 자재소요량 기법이 적합하지 않다. BOP는 이러한 수주생산업종의 생산일정계획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것을 이용한 효과적인 유한능력 생산일정계획절차를 제시한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연구 주제 및 현재 일정계획절차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BOP를 이용한 수주생산관리시스템의 설계

  • 백원장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469-475
    • /
    • 1999
  •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수주생산업체의 생산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데는 널리 알려진 자재소요량 기법이 적합하지 않다. BOP는 이러한 수주생산업종의 생산일정계획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것을 이용한 효과적인 유한능력 생산일정계획 절차를 제시한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연구 주제 및 현재 일정계획절차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 It's Requisites and Strategies (건설산업의 성장과 발전의 전제조건)

  • Kim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195-201
    • /
    • 2002
  • 이 논문은 ${\lceil}$제2차 건설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기본과제와 중점과제을 검토하는 것이다. 우선 외환위기 이후의 건설 산업환경과 여건을 살펴보았고 이를 기초로 2차 기본계획이 수립되는 기간의 건설산업정책의 기본방향과 중점과제를 도출하였다. 그결과 건설산업 정책은 과거의 온정주의에 근거하여 건설산업을 구성하는 업체들의 형평성을 제고하는 것에서부터 경쟁에 근거한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건설업체에 대한 엄격한 평가와 무제한적인 경쟁과 그리고 건설공사의 품질에 대한 무한 책임을 담보하는 국제기준(Global standard)의 건설산업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야 하고 이를 고려한 건설산업의 정책과제는 첫째, 건설산업의 효율성의 제고, 둘째, 국제규범의 건설체계의 구축, 셋째, 건설산업의 세계화 기반의 조성하는 것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개발(정보화 포함), 건설인력육성, 건설공사 안전${\cdot}$환경 및 품질확보, 중소건설업 및 중소건설 용역업의 육성, 건설공사의 생산성 향상, 건설자재의 품질향상 및 규격표준화, 건설사업관리제도의 발전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 plan to advance the national standard system (국가표준체계의 선진화 방향)

  • 박찬복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465-472
    • /
    • 1999
  • 중국이 WTO에 가입을 하고 러시아가 APEC에 가입할 예정으로 있는 것과 같이 한반도 주변의 국제 경제적 환경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WTO의 무역에 대한 기술 장벽 협정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와 과학기술의 교류협력의 전반에 걸쳐 국가표준체계에 대한 국제적 신인도 확보는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가표준계획법은 제정되었다. 여기서는 그 배경과 내용 그리고 기본계획의 수립 방향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