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분석구역

Search Result 3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one-Based Land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Maps; A Case of Pohang City (지형 수치지도를 활용한 표준분석구역 설정 및 토지이용 정보체계의 구축방법론)

  • 구자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2
    • /
    • pp.169-182
    • /
    • 1998
  • The Zone-Based. landuse Information System(ZBLIS) is an useful information system for city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for planning and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BLIS. The concept of Planning Analysis Zone(PAZ), as a basic unit of analysis, was defined to establish the ZBLIS. Then, various PAZs were suggested through a case study of Pohang city. Also, various useful attribute data were recommended in this study for ZBLIS. Digital Maps were used to establish ZBLIS. Among 730 subcategory items in the Digital Maps, some necessary items were selected for ZBLIS. A 84 items was recommended to be use of the ZBLIS. And 250 more items were recommended for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ZBLIS. While previous studies of landuse infonnatiom systems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Parcel-based Landuse Infonnation System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ZBLIS and suggest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BLIS.

  • PDF

Zoning by Natural Disaster and Practical Application (풍수해관리구역의 설정과 활용 방안)

  • Song, Juil;Yoo, Jae-hwan;Jang, Moon-yup;Kim, Ha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8-258
    • /
    • 2015
  •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해당 지역의 풍수해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피해예방 및 저감을 위한 각종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방재분야 최상위 종합 계획이다.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같은 법 시행 규칙 제4조의4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및 시 군에서 수립하고 있다. 또한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6항에서는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의 수립 변경권자가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시 군, 시 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반영하도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물 위주의 저감대책, 풍수해위험지구 정보의 한계, 풍수해위험지구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으로 인한 개별사업에 의한 재해저감 대책 수립 등의 이유로 현실적으로 반영이 잘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경기도 도시기본계획의 방재 및 안전계획 부분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의 연계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자체가 방재대책과 관련하여서는 원론적인 측면에서만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도시계획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천, 내수, 사면, 바람, 해안재해 등 재해유형별로 풍수해의 직접적 발생과 풍수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적 영역, 개발 상태, 개발예정 등 토지이용현황 및 계획 등을 고려하여 풍수해중점관리구역, 풍수해선제관리구역, 풍수해전략관리구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론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계획 수립 시 풍수해관리구역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풍수해관리구역 지정과 관련한 법제도 및 지침 등이 마련된다면 풍수해관리구역은 풍수해저감을 위한 토지이용 및 기반시설, 건축물 제한 등 도시계획적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IS 및 해양공간정보 융합 분석을 통한 선박의 주요 통항로 및 통항영역 연구

  • 엄대용;윤은진;이방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25-326
    • /
    • 2022
  • 2020년 AIS 자료와 해양용도구역 정보를 종합해 월별/해역별 주요 선박 통항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연안의 주요 선박 통항로 영역을 유효·비유효 구역으로 구분하여 향후 빅데이터 기반의 통합 항로 예측에 적용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선박 해양사고정보, 해양에너지, 수산 등의 해양공간계획(MSP) 정보를 추가·분석할 예정이다. 나아가 국가어항을 중심으로 항만별 분석, 화물선·여객선·어선 중심의 선종별 분석 정보로 확대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항로 예측 기술의 입력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Design of Landscape Lighting of Dongdaegustation square in Daegu (대구시 동대구역 광장의 경관조명 디자인)

  • Lee, In-Hyo;Jo, Young-Mi;An, O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1-124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관문지역인 등대구역 광장의 경관조명디자인을 계획한 것이다. 연구대상지역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4구역으로 구분하고, 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관조명을 디자인하였다. 즉 수목과 파골라, 벤치 등이 배치된 정적인 A구역은 자연 속에서 안전하게 휴식할 수 있는 빛을, 이동의 결절점인 B구역은 활기차고 역동적인 빛을 계획하였다. 또한 등대구역을 상징할 수 있는 분수대와 지하철역의 삼각뿔 부속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C D구역은 빛의 거점으로, 거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빛을 연출하도록 디자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Site Planning Factors Related to School Location on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Korea (학교 입지 계획요소가 학생수 증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6 no.1
    • /
    • pp.20-29
    • /
    • 2017
  •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the element of school location planning - the density of development, availability of various private institutes, the location of school, the type of school district, the distance to nearby schools, the existence of communal areas, the pedestrian street, the number of road lanes - affect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long term, we examined the tendency of the number of long-term (24 yea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factors such as development density, location of school, type of school district, distance from neighboring schools, separation of pedestrians and cars are clearly related. Second, the planning factors such as location of private school and installation of pedestrian-only street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Third, the number of road lanes and element of "communal area" is irrelevant. This study is limited to generalization of five new metropolitan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elaborate the analysis factors and evaluation criteria.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 The Case of the City of Pohang -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계획분석구역별 토지이용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 포항시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 Koo, Ja-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3
    • /
    • pp.77-8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ZBLIS)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public statistics data with a case for Pohang. The Basic Spatial Units(BSUs) used in ZBLIS i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Dong and Lie), and larger or smaller spatial units than this are brought out from BSUs. In the first step, the structure of ZBLIS is constructed to choose Analysis Zone on the top menu, and in subsequent steps, to choose Analysis Categories on sub-menu in terms of dialog windows, and then to choose Analysis Sub-categories and Analysis Theme. The 11 Analysis Categories are consisted of Population, Land Use, Transportation, Industry and Economy etc.. In this case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occur some technic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king base-map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inputting attribute data to this base map. For each of these problems, some handling method are recommended.

  • PDF

Probing the Impact Fee Zone Boundaries Based on Stepwise Scenarios of the Population Grid Cell Buffer Formation (인구격자 셀 버퍼공간 설정에 의한 기반시설부담구역경계 검토방안 연구)

  • Choei, Nae-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53-60
    • /
    • 2009
  •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amended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by adding criteria to designate the Impact Fee Zone on the basis of the population increase rate. Taking the Dongtan Newtown in Hwasung City as the case, the study first tries to apply a grid analysis method to figure out the cells that exceed the legal population increase rate criteria. Then, the study, for rather a practical purpose, introduces a scenario analysis that tries to envelope the cells into a spatially contiguous groups based on their degrees of stepwise adjacency by cell buffer formation. By overlapping the selected cell groups chosen by such stepwise scenarios over the actual zoning map of land-uses for the vicinity, it seems clear that the chosen areas rationally coincide with those residential blocks and commercial areas with the high population density in the Newtown.

  • PDF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Area in Green Belt -Focused on City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act City Method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 Chung, Jae-Yong;Oh, Min-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2
    • /
    • pp.5917-5930
    • /
    • 2011
  • This study suggests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and planning elements with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ggestions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cities within Green-Belt.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the late 20th century, Compact-City has been suggested as standard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is promoted urban development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plan elements by urban environment, space, community, and management. It was classified as an applicable element in Green belt and Compact City type. Finally, after comparing several city development projects (Gwacheon, Uiwang, Hanam), differences and Limitations between the Compact-City type urban development. Considering analysis of this study,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Green Belt should be prepared to sustainable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Evaluation methods of flood control safety to establish flood management system of river basin (유역단위 홍수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치수안전도 평가방안)

  • Lee, Min Woo;Jang, Won Jae;Lee, Yong Kw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0-220
    • /
    • 2022
  • 물관리 일원화, 물관리기본법 제정·시행 등 우리나라 물관리 체계의 혁신기에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통합 물관리 전략 마련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국가물관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여 공표·발간되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유역단위의 물관리를 원칙(12대 기본원칙 중(中))로 하며, 물관리 3대분야(수질·수생태, 이수, 치수)에 대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관리 방향을 정립하고 분야별 관련 및 하위계획과의 일관성·정합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 중, 유역 재해안전도와 관련하여 하천범람에 대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평가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거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의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잠재능(PFD)을 적용하여 등급별 홍수방어대책 수립방향 및 하천의 설계빈도 조정을 검토하였으며,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실무적 적용 어려움(산정인자 다(多)), 설계빈도와의 연계성 부족,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성 미흡 등에 대한 개선·보완의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유역내 전체하천이 아닌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만 치수안전도 설정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하천 전체구간의 설계빈도 상향에 따른 홍수방어대책이 비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산정인자 단순화, 홍수위험지도를 활용을 통한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도 향상 및 치수단위구역별 설계빈도 조정 가능 등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빈도별 치수단위구역의 홍수피해잠재능(PFD)의 통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 등급 설정 및 설계빈도 조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역내 전체하천에 대한 치수단위구역별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고, 중권역 단위의 치수안전도를 평가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에 유역 재해안전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 Interpolation Algorithm of Hazard Mapping for Damaged from flood According to Real Rainfall Linkage (실측 강우 연계에 따른 호우피해예상도 표출 보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im, So Mang;Yu, Wan Sik;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1-381
    • /
    • 2018
  •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인 자연재해로 각기 다른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홍수 침수 관련 지도가 작성되어 왔다. 연구 성과로 작성된 계획 빈도 및 상위 2개 빈도의 호우피해예상도를 실측 강우와 연계하여 재난관리단계별 대응단계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간 피해위험구역을 표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피해위험구역을 표출하기 위해 실측 강우와 연계된 호우피해예상도에 공간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 한다. 호우피해예상도란 돌발호우나 태풍으로 인하여 홍수가 발생하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지역을 미리 예측 가능하도록 제작된 지도이다. 지형자료(DEM), 하천 중심선(Stream Centerline), 하천 횡단면(Cross-Section Line), 제방고(Bank), 수문기상 자료(Hydrological Data), 조도계수(Roughness) 등을 사용하여 하천법 제 21조와 하천법시행령 제 17조를 근거로 작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우피해예상도에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역거리가중법) 보간,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system, 불규칙삼각망) 보간, Kriging 보간 방법 적용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호우피해예상도에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 보간 방법에 따른 적용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한 호우피해예상도 보간을 통하여 계획빈도 및 상위 2개 빈도 이외의 빈도(하위빈도-계획빈도, 계획빈도-상위빈도 구간)에 대한 호우피해예상도의 피해위험구역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호우피해예상도에 IDW, TIN, Kriging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계획빈도 및 상위빈도 이외의 빈도에 대한 피해위험구역을 표출 할 수 있다. 표출된 계획빈도 및 상위빈도 이외의 빈도를 지점확률강우량-빈도에 대한 Matching table을 통하여 실측 강우와 연계 가능하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풍수해피해예측시스템에 활용하여 재난관리단계별 예방 및 대응 단계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