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된 행위 이론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4초

지능적인 웹서비스를 위한 강건한 계획 생성과 동적 실행 방법 (Robust Plan Generation and Dynamic Execution for Intelligent Web Service)

  • 황경순;이승희;이건명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320-323
    • /
    • 2007
  • 웹 서비스와 같은 분산된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격의 컴퓨터나 사이트상에서 다중 에이전트들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서비스는 여러 에이전트들의 복잡한 행위들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지능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에이전트들의 상태정보, 목적정보, 그리고 계획정보 등을 이용한다. 특히 계획정보는 에이전트들이 일련의 행위들로 구성된다. 하지만 계획수립을 위한, 기존 연구들 대부분은 정적으로 기술된 서비스 명세와 초기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목표를 만족시키는 단일 계획 생성 방법을 연구해왔다. 따라서 계획수립이 실행 도중에 기대하지 않은 네트워크 장애나 방해 등으로 서비스 수행을 실패하는 경우, 그 계획은 무효가 되고 다시 계획을 생성 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시 계획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태스크 중복이 불가피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건한 계획수립과 그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즉, 계획수립의 재생성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일 계획수립 대신에 실행 가능한 다중 계획들로 표현된 강건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이다. 강건한 계획의 행위들이 실행되는 동안, 각 단계마다 실행 가능한 행위를 선택한 후, 그 행위를 실행한다. 그러나 선택된 행위가 실행결과를 낼 수 없을 경우, 대체 가능한 서브 계획 경로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강건한 계획을 표현하기 위해 페트리 넷 기반의 방법을 제안한다. 강건한 계획 생성 방법에서는 이용 가능한 모든 계획들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그 계획수립 방법은 HTN 계획수립기로 잘 알려진 JSHOP2 계획수립기내에 구현하였다. 계획 실행 방법으로는 주어진 강건한 계획에 대하여 행위들이 직접 실행하수 있도록 한다.며 용량에 의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H_2O_2$에 의해 유발(誘發)된 DNA의 손상은 catalase와 deferoxamine에 의해 억제되었지만 DPPD는 억제시키지 못했다. 배기음(排氣飮)은 $H_2O_2$에 의해 유발(誘發)된 ATP의 소실을 회복시켰다. 이러한 실험결과 $H_2O_2$에 의해 유발(誘發)된 세포(細胞)의 손상(損傷)은 지질(脂質)의 과산화(過酸化)와는 다른 독립적인 기전에 의해 일어남을 나타낸다. 결론 :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Caco-2 세포(細胞)에서 배기음(排氣飮)이 항산화작용(亢酸化作用)보다는 다른 기전을 통하여 Caco-2 세포안에서 산화제(酸化劑)에 의해 유발(誘發)된 세포(細胞)의 사망(死亡)와 DNA의 손상(損傷)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연구(硏究)는 배기음(排氣飮)이 반응성산소기(反應性酸素基)에 의해 매개된 인체(人體) 위장관질환(胃腸管疾患)의 치료(治療)에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에 이를 이용하여 유가배양시 기질을 공급하는 공정변수로 사용하였다 [8]. 생물학적인 폐수처리장치인 활성 슬러지법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아직 그다지 개발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의 주 구성원이 미생물인 점에 착안하여 침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 PDF

기혼여성의 피임행위 예측을 위한 계획적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검증 연구 (Tes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ontraceptive Behavior among Married Women.)

  • 김명희;백경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50-56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ontraceptive behavior among married women.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Eighty married women in Seoul and Kyungk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instruments used were the tool for measuring TPB variables search as attitude toward contraception,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 and the tool for measuring contraceptive behavior. The former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Ajzen & Fishbein(1980)'s guidelines for tool development and Jee (1993)'s tool. The latter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0, 1996 to October 25, 1996.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three factor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contraception can explain 30% of the variance in contraceptive intention. Inspection of path coefficient for each of the three predictor variables revealed that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the predictor variables on intention, while attitude was not. ; and intention and percevied behavioral control factors can explain 42% of the variance in contraceptive behavior. Inspection of path coefficient for each of the two predictor variables revealed that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the predictor variables on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a useful model in the prediction of contraceptive behavior, and the contraceptive service program based on the TPB variables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change in contraceptive behavior.

  • PDF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한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관련 요인분석 (Factors Affecting Dietary Behavior Change of Vulnerable Elderly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 고영;임은실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695-708
    • /
    • 2010
  • 본 연구는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하여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변화단계를 파악하고, 식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자 중 노인 사례관리 대상에게 수집된 기초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1,262명 중 설문문항에 모두 응답한 98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변화단계이론을 기반으로 한 식 행위 변화단계 문항과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행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담당 사업부서의 협조로 제공받았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분석, 경향성 분석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24.6%가 계획전단계였으며, 46.1%는 계획단계로 나타났다. 우울할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의존적일 수록, 의료급여의 경우가 식 행위 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 노인의 영양 상태는 생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노인에서의 식 행위 변화단계와 행위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에 중점을 둔 맞춤형 영양중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식 행위 이행을 위해서는 보유능력을 유지하고 정서적 지지를 함께 제공한다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중년기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의도 및 행위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on Breast Self-Exami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배필원;서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49-2359
    • /
    • 2013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중년기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의도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년기 여성 217명을 대상으로 1차 의도조사를 실시한 후 1개월 이내의 유방자가 검진 실천 횟수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 도는 ${\chi}^2$=1246.6 (p<.001), ${\chi}^2$/df=2.72, CFI=.831, TLI=.817, RMSEA=.089이었으며, 1개월 이내 유방자가검진 실천 율은 56.2%였다. TPB 변수의 설명력은 의도에 43.9%, 행위에 10.9%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beta}$=.364, p<.001)과 지각된 행위통제(${\beta}$=.553, p<.001)가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행위에는 행위의도(${\beta}$=.768, p<.01)가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모형은 중년여성의 유방자가검진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며, 중년여성의 유방자가검진행위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은 행위의도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대학생의 절주행위 의도와 관련요인 조사 연구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ntention, Attitude, Perceived Control, and Social Pressure for Moderate Drinking Behavior)

  • 유혜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47-357
    • /
    • 2000
  • The purs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salient beliefs, perceived self-control and intentions for moderate drinking behavior of their own. Two hundred and twenty fiv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in Seoul and Suw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is investigator under the guidanc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re used to collect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moderate drinking behavior. Students perceived conflict messages. however. from their significant others about their moderate drinking behavior. While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as sisters and brothers strongly supported the moderate drinking behavior of students, friends and school-mates did no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intend to reduce their alcohol consumption in the near future. Students' attitudes and perceived self-control were the predictor variables of the intention while subjective norms were not. Students who intended to reduce their alcohol consumption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higher perceived self-control scores than who did not. These students who were intent for moderate drinking behavior spent less money for drinking, had less opportunities to drink, and drank small amounts of alcohol Moderate Drinking Behavior programs focusing on students who were heavy drinkers, however, did not intend to reduce their alcohol consumption should be developed focused on their characters. Programs for students who intended to reduce their alcohol consumption also recommended to help the students' positive intention continued.

  • PDF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COVID-19 환자 간호의도 예측요인: 지각된 행위통제의 조절효과 (Predicting Factors of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COVID-19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 안법왕;유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1호
    • /
    • pp.24-3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COVID-19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nurses' intention to car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7 nurses working at two designated hospitals for infectious diseases located in J and C city,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0th to 25th, 2020, and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95% confidence interval, 10,000 bootstrapping), and a simple slop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were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β=.32, p<.001)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37, p<.001) in model 1,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β=.28, p<.001)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36, p<.001), and perspective taking (β=.26, p<.001) in model 2.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model was 65.0% (F=18.41, p<.001).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F=16.37, p<.001). In the simple slope analysis, the reinforcement effect was greatest when the level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at the mean (95% CI=0.46~0.67) and high (95% CI=0.70~1.08). Conclusion: Developing and applying a training program that enhances confidence and improves empathy is necessary to increase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COVID-19 patients.

소셜 미디어 사용 강도 및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성과기대의 조절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Fatigu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cess Incentive Expectations)

  • 박기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15-227
    • /
    • 2021
  •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미디어 사용 강도와 사용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프레임워크를 위한 이론으로는 계획된 행위 이론, 사적정보보호 이론, 몰입 이론, 절차적 성과 이론을 기반으로 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자기 효능감, 사용자 습관 및 몰입 경험이 모바일 소셜 미디어 사용 강도(intensity)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정보 보호 문제는 모바일 소셜 미디어 사용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사용행위에는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미디어 사용 강도는 미디어 피로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모바일 소셜 미디어 사용강도가 높아질 경우 피로감은 증가하였다. 절차적 성과 기대 변수는 미디어 사용 강도와 소셜 미디어 피로감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 도구를 비즈니스 및 공공 서비스에 활용하고자 하는 소셜 미디어 관련 기업 및 조직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인지가치와 계획행위 이론에 기초한 인삼제품 구매의지 연구 (A Study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Ginseng Products based on the theory of Perceived Value and TPB)

  • 백수나;정기영;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5-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식가치 차원의 계획행동에 대한 이론적 확대모형을 바탕으로 길림성 특산품 중 하나인 인삼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인삼제품 구매행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길림성 거주 인삼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효 응답 360개의 샘플을 SPSS 23.0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 가격 가치, 감정 가치, 사회적 가치가 인삼 제품을 사려는 소비자들의 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가치의 영향은 계획된 행동 이론의 세 가지 요인보다 현저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적 가치는 소비자들의 인삼제품 구매 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출산의도 관련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Intention in General-hospital Nurs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경미;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 of nurse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are 674 nurses at the peak fertility age of 20-39 years old, who work in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 The mean score of subjects' fertility intention is 3.69 in 5-point scale. The fertility inten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ertility intention of the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as influenced by the TPB variables such as the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Thus, a comprehensive approach strategy is needed considering thes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