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된 행위 이론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3초

디지털 게임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중요한 타인과 균형관계를 중심으로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igital Gaming: Focusing on the Balance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 호규현;나은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275-304
    • /
    • 2023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과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디지털 게임이용행위의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감이 디지털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개인과 중요한 타인, 디지털게임 간의 균형 상태에 따라 계획행동이론 모형 적용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1.10.21.~25 사이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15건의 성인 PC게임 이용자 응답을 수집했으며 이를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태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감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균형 관계에 따라 집단을 균형, 무균형, 불균형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계획행동이론 모형을 적용한 결과 균형관계가 불균형, 무균형인 경우 지각된 행위 통제감과 태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균형인 집단에서는 태도만 지속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이용행위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타인의 영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게임 이용자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정보기술의 행위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우리나라 학회지에 게재된 관련연구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the Related Research in Korea)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6
    • /
    • 2013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여러 가지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계속 연구되고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과 정보통신 분야가 가장 큰 이슈이다. 이러한 시점에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에 대한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이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계획된 행동이론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총 3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행위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71로 보였으며, 주관적 규범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381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행위통제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58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에서 행동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21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실증적 연구 (Understanding the Use of Community Informatic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 권나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4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주민을 위한 정보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기본모형으로 선택하였는데, 이 이론은 (1) 지역정보 서비스 이용 결과에 대한 기대, (2) 주변 사람들의 권유, (3)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내외적 요인에 대한 자신의 통제 능력의 지각 등을 기본 골격으로 한다. 계획적 행위 이론은 일반적인 사회행동의 설명에 적용되어온 사회심리 이론이므로 필자는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의 행동적 특성을 연구 모형에 반영하기 위하여 두 이론 즉, 인터넷 등 매체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널리 적용되어온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과 경영정보시스템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용되어 온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추가적으로 검토했다. 417명의 지역정보망 시스템 이용자로 부터 수집된 실증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여 제안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검증한 후 향상된 수정 모형을 제안했다. 그 결과,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 지역정보를 이용하고자하는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정보습득에 대한 기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 지역 연계에 대한 기대, 및 개인관련 규범 신념 등을 밝혀 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과제가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온라인 비디오 공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Sharing Online Video : Focusing on Need to Belong,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유수민;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13-22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공유행위의도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 변인(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과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 비디오 공유 경험이 있는 959명의 참가자들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소속 욕구는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성장주도성 역시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3가지 변인 모두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과 함께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구성 변인을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이크로 블로그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xplicating Factors explaining Self-Disclosure in the Usage of Micro-blog)

  • 이성준;김용원;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7-136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마이크로 블로그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발적인 자기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마이크로 블로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정보를 자발적으로 노출하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마이크로 블로그 상에서 자발적인 자기 노출의 과정을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기노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 통제 등의 변수를 자기 노출 행위의 선행변수로 설정하였다. 또 프라이버시 염려, 인지된 즐거움, 사회적 참여를 위한 정보 동기, 관계적 동기의 자기 노출 태도에 대한 영향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자기노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 통제 등의 변수는 자기노출 행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지된 즐거움을 제외하곤 프라이버시 염려, 정보 동기 및 관계적 동기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의 헌혈 의도 영향요인 : 소방직과 교정직 중심으로 (Predictive Factors on Blood Donation Intention in Middle Aged Base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Focused on the Firefighter and Prison Officer)

  • 이다정;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9-209
    • /
    • 2023
  • 본 연구는 Ajzen(1991)의 계획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중년 소방관 및 교도관의 헌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B군에 소재한 소방서 및 교도소의 중년 소방관 및 교도관 22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헌혈 경험, 1년 이내 헌혈 시도, 3개월 이내 헌혈 참여 계획에 따라 헌혈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헌혈의도는 헌혈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헌혈의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3개월 이내 헌혈 참여계획, 지각된 행위통제, 주관적 규범, 헌혈태도, 1년 이내 헌혈시도 순이었고, 설명력은 69% 이었다. 이에 중년의 헌혈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일부 대학생의 금연의도 예측을 위한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검증 (Tes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and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 현혜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7-127
    • /
    • 1998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s been shown to yield great explanatory power in health behavior as well as social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and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 smokers. We conveniently sampled 204 university student smokers and investigated using questionaries, analyzing the data with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of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2. Behavior belief is significant in predicting attitudes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Normative belief is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subjective norm. Control belief is significant in predicting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3.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re significant in predic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strong support for the Theory of the Planned Behavior and its use to predict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smokers. But, a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not significant in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usefullnes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Reasoned Action Theory.

  • PDF

대학생의 금연 행위에 대한 연구- 계획된 행위이론, 자기효능, 건강통제위와의 관계 고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elf Efficacy, Health Locus of Control -)

  • 안혜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371-38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self efficacy and health locus of control about smoking cess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 We sampled 204 university student smokers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planned behavior(intention : r=.215, p=.005, attitude : r=.160, p=.025, perceived behavior control : r=.298, p=.000) and self efficacy. 2.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planned behavior(attitude : r=.228, p=.002)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planned behavior(attitude : r=.203, p=.004, subjective norm : r=.141, p=.047) and ex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planned behavior(perceived behavior control : r=-.152, p=.034) and accidental health locus of control. This study has shown a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elf efficacy and health locus of control. As a result of these findings, I suggest to develop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 PDF

간호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준수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 Influencing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f Nursing Students)

  • 송미옥;문정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89-198
    • /
    • 2019
  • 이 연구는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수행에 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융합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서 시행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일 지역 간호학과 2학년 18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1.0과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는 ${\chi}^2=52.06$(df=9, p<.01), GFI=.93, RMSEA=.16, NFI=.85, CFI=.90 이었으며, 설명력은 26.2%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수행의도의 설명에 계획된 행위이론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간호 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준수를 높일 수 있도록 계획된 행위이론의 하위개념들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HPV예방교육 효과 (Effect of HPV Prevention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Planned Behavior Theory)

  • 이선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22-173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HPV 예방교육이 대학생의 HPV 백신지식, 자궁경부암 지식, HPV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 HPV 백신접종에 대한 주관적 규범, HPV백신접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HPV 백신접종에 대한 의도, HPV 예방백신 접종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대상자는 실험군 32명, 대조군 34명으로 임의표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χ2-test, Fisher's exact test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HPV 예방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HPV 백신지식(t=5.66, p<.001), 자궁경부암 지식(t=4.13, p<.001), 태도(t=2.24, p=.032), 주관적 규범(t=2.83, p=.008), 지각된 행위통제(t=2.65, p=.013), 의도(t=3.91,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PV 예방교육 중재 4주 후 HPV 백신접종 의도는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95, p=.002). 따라서 HPV 예방교육은 대학생에게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