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기법

Search Result 2,60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ountable-grid Scheduling Method (CSM) and CSM-based Soft-logic Algorithm Development for Automated Construction Scheduling and Visualization (건설 공정계획 자동화와 시각화를 위한 가산 그리드 공정계획 기법(CSM)과 CSM기반 소프트로직 알고리즘 개발 연구)

  • Choi, Heungsoon;Moon, Seonghyeon;Chi, Seok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4
    • /
    • pp.65-77
    • /
    • 2022
  • Schedule management is one of pivotal project success factors during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apid scheduling and controlling since the existing planning techniques require considerable amount of manual work and manager's judgment in a construction proje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new scheduling method and algorithm for automating and visualizing the planning process, which is called Countable-grid scheduling method. In this method, if the scope of work is defined via a visualized tool, the schedule plan is cre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and workable conditions of each activity. The location of the work for each date can be visualized in grid-based approach. Moreover, the work schedule can be upd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ogress.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in construction projects via case study with sample data.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utomat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process.

A Hybrid of Neighborhood Search and Integer Programming for Crew Schedule Optimization (승무일정계획의 최적화를 위한 이웃해 탐색 기법과 정수계획법의 결합)

  • 황준하;류광렬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6
    • /
    • pp.829-839
    • /
    • 2004
  • Methods based on integer programming have been shown to be very effective in solving various crew pairing optimization problems. However, their applicability is limited to problems with linear constraints and objective functions. Also, those methods often require an unacceptable amount of time and/or memory resources given problems of larger scale. Heuristic methods such as neighborhood search, on the other hand, can handle large-scaled problems without too much difficulty and can be applied to problems having any form of objective functions and constraints. However, neighborhood search often gets stuck at local optima when faced with complex search spaces. This paper presents ,i hybrid algorithm of neighborhood search and integer programming, which nicely combines the advantages of both methods. The hybrid algorithm has been successfully tested on a large-scaled crew pairing optimization problem for a real subway line.

사출 금형 자동공정계획시스템

  • 조규갑;임주택;오정수;노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1.10a
    • /
    • pp.261-267
    • /
    • 1991
  • 다품종소량생산의 특징을 갖고 있는 금형공업에서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CIMS)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부품설계도면으로부터 최종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계획의 자동화,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정계획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자동공정계획시스템(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CAPP) 기술의 개발이다. 국내외적으로 CAPP분야의 연구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자동화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지난 20여년 동안에 기계가공품에 관한 CAPP은 약 150여가지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설계의 자동화(Computer Aided Design;CAD)나 컴퓨터 지원에 의한 제조의 자동화(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M)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형편이다. 특히 금형을 대상으로 한 CAPP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출금형을 대상으로 하여 실용성이 있는 공정설계시스템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계획은 "소재로부터 제품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제조공정의 체계적인 결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정계획은 제품의 종류와 수량, 재료와 부품의 종류, 보유 생산설비와 제조기술의 수준에 따라 다르나, 공정설계(Process Design)와 작업설계(Operation Design)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계획을 광의의 공정설계로 정의하고, 공정설계와 공정계획을 동의어로 통용토록 한다. 기존의 CAPP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변성형방법(Variant method), 창성형방법(Generative method) 및 자동화방법(Automatic method)이 있다. 이들 CAPP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기법은 크게 5가지- (1) GT(group Technology) 접근기법, (2) Bottom-up 접근기법, (3) Top-down 접근기법, (4) AI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접근기법, (5)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 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

  • PDF

An Route Planning for the Navigation System of Autonomous vessel (무인선박의 항해시스템을 위한 항로계획 기법)

  • Cho, Jae-Hee;Ji, Min-Su;Kim, Yong-G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4
    • /
    • pp.418-424
    • /
    • 2005
  • For the safety and cost reduction of the navigation in the sea, we need automatic and intelligent system for the ship. For the ship automation, we need a route planning based on GPS and the nautical chart.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ute planning technique using point of contact of the obstacle and treecreation techniqu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proved by comparing with A* search technique that is the most famous search technique for route planning from the optimal point of view.

Evaluation of Road Plan using Information Measure Technique and GIS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도로계획의 평가)

  • Na, Joon-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39-246
    • /
    • 2007
  • 공공시설 중 도로계획의 경우 건설과정 및 건설 후의 소음 및 오염 등의 환경 사회적 비용 및 주행성 안전성 등 요소의 평가 등을 수량화가 어려운 대표적 비용으로 들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량화가 어려운 비용 효과들을 포함하여 고려한 도로노선계획결과를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량'이라는 통일된 단위로 표현하고, 기존 시설물과의 관계로부터의 '정보편익' 개념으로 평가하였다. 정보계측기법은 인간은 언어를 통하여 모든 사물을 정보로 표현하므로 '정보'라는 통일 된 단위를 사용하여 모호한 가치를 평가해 보고자 하는 방법이며, 따라서 공공시설의 계획과정에서 최적해를 찾기 위한 비용, 편익 및 환경 사회적 요소 등의 정량화되기 어려운 가치를 평가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건설시 발생하는 비용과 직접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계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도로 주변 시설간의 편익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편익모형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실제 도로계획 사례에 적용한 결과 비용과 직접효과만을 고려한 시설정보계측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설계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시설정보편익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계획 평가에서 고려할 수 없었던 요소들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였다.

  • PDF

Route Planning Applying the Poly-line for Intelligent Navigation (지능형 항해를 위한 응용 폴리선 항로계획)

  • Park, Jeong-Seon;Kim, Chang-Min;Kim, Y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321-324
    • /
    • 2001
  • 선박 운항시 운항소요인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자동화 및 지능화가 필요하다. 특히 선박의 지능화된 운항을 위해서는 항해전문가의 지식을 저장, 관리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항해전문가의 임무를 대신 수행하는 지능형 항해시스템(intelligent navigation system)이 요구된다. 지능형 항해시스템은 GPS, 전자해도, 항로계획, 항로감시, 항로관리, 경로계획, 경로감시, 경로관리, 유도, 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항해시스템의 자동화된 항로계획을 위해 폴리선기능을 응용한 항로계획(RPAP, Route Planning Applying the Poly-line)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대표적 항로계획 기법인 $A^{*}$탐색기법과 비교 평가하여 그 효용성을 증명한다.

  • PDF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bas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효율적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도시계획지원시스템 적용 연구)

  • Jeon, Byeong-Kuk;Kim, Chul-Joo;Kim, Chang-Seok;So, Jin-Kwa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2
    • /
    • pp.105-115
    • /
    • 2012
  • This paper is aimed at offering preliminary data that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trict unit planning, which has adopted to make comfortable environment of national land, to prevent urban sprawl rural area and to perform systematic maintenance of the existing urban area, by case study analysis about the applied possibility of GIS-based augmented reality. To do this, we developed the augmented reality bas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 and checked the parts that can be applied of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district units planning. And we analysed about merits and demerits of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hich is about form, arrangement, use, and height of building, 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area ratio and landscape planning in the case study area, the Yeosu district(located in Seongnam).

Quality-Based Software Project Staffing and Scheduling with Project Deadline (제한된 프로젝트 기간을 고려한 품질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계획 생성 기법)

  • Seo, Dongwon;Shin, Donghwan;Bae, Doo-Hwan
    • Journal of KIISE
    • /
    • v.42 no.7
    • /
    • pp.878-888
    • /
    • 2015
  • Software project planning includes several processes for estimating the effort required to complete software project tasks, allocating human resources to tasks, and creating a project plan. Because software planning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s the size of software projects grow, it is difficult for project managers to decide on a reasonable project plan. To help them, many automatic software project planning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he approaches all focus on minimizing project duration. But if the plan is simply to minimize the duration, without considering software quality, the plan can harm the eventual software quality. In our research to create a reasonable project plan, we consider software quality as well as duration of the project, by defining a software quality score. The project manager can plan the project to maximize software quality for a specific project duration.

Intelligent Route Planning Using Obstacle′s Point of Contact and Waypoint-Tree(IRCT) (장애물 접점과 경유점 트리를 이용한 지능형 항로계획)

  • 지민수;박정선;이영일;최중락;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1-134
    • /
    • 2002
  • 운항경비의 절감과 같은 경제적 제한과 3D직종 회피현상과 같은 사회적 제한으로 인해 선박의 운항에 소요되는 인원을 최소화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선박의 자동화 및 지능화기술이 요구된다. 선박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GPS와 전자해도에 기반한 지능형 항해시스템의 항로계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항해시스템의 자동화된 항로계획을 위해 S-57에 정의되어 있는 좌표쌍을 기반으로한 접점산출기법과 이를 이용한 트리생성 기법, 그리고 생성된 트리구조를 기반으로한 항로산출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항로산출기법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최적화 관점에서 대표적 항로계획 기법인 $A^{*}$ 와 이를 개선한 RPAP 기법과 비교.분석한다.

  • PDF

Design frequency estimation in small basin and proper flood defense alternative (도시 소유역의 설계빈도 산정 및 적정 홍수방어대안)

  • Lim, Woo-Saeng;Lee, Jung-Ki;Choi, Kang-So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73-378
    • /
    • 2008
  • 기존에는 잠재위험도와 해당지역 하나의 강우관측소에서의 기왕최대강우량을 이용하여 계획빈도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기왕최대강우량은 이미 발생한 최대강우량이기 때문에 안전치를 고려해 산정한 계획빈도를 따라가지 못하였고, 잠재위험도에 따른 계획빈도의 범위가 매우 작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산천 유역의 기왕최대강우량과 잠재위험도를 이용하여 계획빈도를 산정하는데 필요한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지역 6개의 기상청 강우관측소 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여 크리깅기법으로 공간분포를 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기왕최대강우량으로 계획빈도를 연결시키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빈도의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문산천 유역에 잠재위험도 산정에 따라 계획빈도를 결정한 결과, 크리깅기법으로 문산천 유역에 기왕최대강우량에 해당하는 계획빈도는 160년 정도이며, 회귀식으로 각 소유역별로 계획빈도를 산정한 결과 약 110년에서 120년까지 분포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계획빈도를 공시지가와 홍수량으로 가중치를 구하여 소유역별로 분포시킨 계획빈도 값은 대략 100년에서 200년으로 산정되었다. 잠재위험도와 피해액 산정기법을 이용하여 문산천에 최적 홍수방어대안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최적 대안을 선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잠재위험도를 산정하고 유역 분담량을 결정하여 적합한 구조적 홍수방어시설물을 Decision Tree라는 의사결정을 통하여 계획하고 조합하여 3개의 적정 홍수방어대안을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