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기법

Search Result 2,60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ilestone States Creation in Planning Systems (계획 시스템에서 이정표상태 생성에 관한 연구)

  • Shin Jae-Hyuk;Han Hyu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29-332
    • /
    • 2006
  • 계획기법 이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행동 순서를 찾는 것이다. 계획 기법을 통해 수립된 많은 행동들을 로봇 등 에이전트가 실행할 때 예기치 않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실시간으로 해결하여 에이전트가 주어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반응 계획기법, 재 계획기법, 그리고 지역 복구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 계획기법과 지역 복구기법의 장점을 가지는 이정표상태 계획기법을 간단히 제안하고 이정표 상태의 생성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정표 상태들은 수립된 계획의 모의 실행을 통하여 생성하였으며 행동 실행에 관련된 조건들의 criticality value를 이용하는 방법과 계획에 나타나는 행동들의 빈도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 PDF

Optimal Berth and Crane Scheduling Using Constraint Programming and Heuristic Repair (제약만족 및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이용한 최적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 백영수;류광렬;박영만;김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1-157
    • /
    • 1999
  •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계획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입항하는 선박들의 빈번한 변동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유연하면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여러 명의 전문가가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해 나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사 및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최적의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수립을 위하여 제약만족기법과 휴리스틱 교정(Heuristic Repair)기법을 이용하였다.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 계획문제는 기본적으로 제약조건 만족문제로 정형화할 수 있지만 선박의 접안위치를 결정하는 문제는 목적함수를 가지는 최적화문제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제약조건 만족문제와 최적화문제가 혼합된 문제(CSOP, Constraint Satisfaction and Optimization Problem)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선박의 최적 전압위치를 찾고 최우선 순위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로부터 주어진 모든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는 탐색기법을 활용했고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사용해서 제약만족기법에서 찾은 해를 교정했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선박부터 탐색을 하기 위해 Variable Ordering 기법을 사용했고 그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부터 탐색을 해 나가는 Value Order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제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계획자료를 사용해서 실험을 하였다.

  • PDF

Urban Planning Strategy and Technique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계획기법 및 도시계획 전략 연구)

  • Lee, Sung-Hee;Kim, Jong-K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4
    • /
    • pp.153-164
    • /
    • 2015
  • This paper aimed at drawing out urban plann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following specific objectives were carried out: First,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thirty-three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five sectors and twelve planning goals. Second, current application level was analyzed and applicable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from urban cases in US and Europe. Third, final planning techniqu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derived through working group and experts' brainstorming. Lastly,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posed. This paper would be the basic sourc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ath Planning for a Mobile Robot in a Partially Unknown Environment (부분적 미지 환경에서의 이동로보트 경로계획)

  • Chung, Hak-Young;Kim, Ki-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4 s.97
    • /
    • pp.189-196
    • /
    • 1999
  • 환경지도를 갖고 있는 이동로봇은 정확한 경로계획에 의하여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주행 중 예상하지 못한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 새로운 경로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인 환경정보를 갖고 있는 이동로봇의 경로계획기법을 제시한다. 경로계획은 전체경로계획과 지역경로계획으로 구분되면 전체환경을 노드와 아크로 표시한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경로계획시간과 메모리 부담을 개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할기법을 이용한 경로계획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역경로계획에서는 정보가 변경된 부 네트워크에 대하여 경로계획을 수행하여 계산시간을 적게 소요하며 새로운 경로를 계산한다. 제안한 기법을 자동화 공장에서 주행하는 이동로봇에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보였다.

  • PDF

Goal Programming as a Modern Management Technique (현대 경영관리기법으로서의 목표계획법)

  • 노부호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 /
    • v.7 no.1
    • /
    • pp.5-9
    • /
    • 1982
  • 우리나라 경영학계 내지는 기업경영에 경영과학(Management Science)의 여러가지 기법이 정식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70년대 후반이라고 생각된다. 경영과학의 기법에는 선형계획법·재고관리모형·대기행렬모형·모의(Simulation) 모형·네트웍(Network) 모형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중 선형계획법이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모형이고 기업의 실제 문제해결에도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목표계획법도 경영과학기법의 하나로 모형계획법과 매우 유사한 기법이다.

  • PDF

A Study on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 of Smart Green City : Focus on Application Condition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 Oh, Deog-Seong;Park, So-Yeon;Lee, Seo-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9
    • /
    • pp.6368-6375
    • /
    • 2015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s of Smart Green City and to establish the realized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For the research, eighteen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sectors and six basic direc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rain-storming analysis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three goals of Smart Green City and expectation of planning technique. And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as analyzed for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s focus on two application aspects. In conclusion, 'Establishing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for Urban Energy',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uilding Automation System', 'Green Transport System',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troduction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planning techniques in reduction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sector and green-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ecto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techniques for Smart Green City.

The Study on CPM/MRP Algorithm (CPM/MRP 계획기법(計劃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 Won, Chin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5 no.1
    • /
    • pp.113-122
    • /
    • 1985
  • Although PERT/CPM has been used for over twenty years as a technique for scheduling in a variety of industries and various extention to the basic model have been improved the realism of considering resource constraints, none of these techniqueis have integrated resource acquistion load times and inventory records into scheduling technique. This paper is to designed to over-come basic shortcoming of previous CPM into incorperate with MRP technique.

  • PDF

Long-term Power System Planning by using Mixed-Integer Programming (선형계획법을 활용한 장기 전력계통 계획수립 기법개발)

  • Ryu, Heon-Su;Cho, Kang-Wook;Lee, Jo-Lyeon;Kim, Tae-Hoon;Kim, Jin-Yi;Park, Marn-G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100-10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혼합정수 선형계획 법을 이용하여 장기 전력계통 계획수립시 최적의 설비를 투자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발전설비와 송변전설비는 하나의 망으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통계획시 두 설비를 동시에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계획기간 전체에 대해 투자비를 고려하여 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형계획법을 계통계획에 도입하여 최소비용의 투자비를 가지고 공급 신뢰도 기준를 만족할 수 있는 최적 장기 전력계통 계획 수립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을 Garver 6모선 계통 및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해 모의하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ritical Planning Methods and Application Condition of Low-carbon Green City (저탄소 녹색도시의 주요 계획기법과 적용실태 비교분석)

  • Jeon, Woo-Seon;Lee, Eunghyun;Oh, Deog-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2491-2502
    • /
    • 201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ain fields and methods to create a low carbon green city. Through the findings, we hope to figure out the matters that must be focused on in order to realize a low carbon green c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organized the main fields and methods of fulfilling this accomplishment by taking a look at recorded documents and past studi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low carbon green cities and related concepts. Then a FGI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suitability and deduct a planning technique. Also, through professional surveys and AHP analysis, we figured out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 low carbon green city. We also sele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alysed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the deducted planning techniques, and compared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our plans and real results. 15 planning techniques were deducted and divided into 5 groups. The importance analysis and cas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o be the main elements in planning the creation of a low carbon green city: compact high-density development, a traffic system revolving around pedestrians, active utiliz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stablishment of a recycling system for waste.

A 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design method·purpose for eco-archipelagic city (생태 군도도시 개발을 위한 계획기법·목적의 연관성 분석)

  • Han, Ju-Hyung;Chang, Dong-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5251-5259
    • /
    • 2013
  • This study aims to make sustainable and future-oriented eco-archipelagic city through developed trend of analysis physical design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sign method and development purpose for archipelagic development. First, EU cases had variety developed thema and identity such as science city, leisure and resort city, commercial city, ecology city in environmental theory aspects but, Korean cases have plenty of problems such as focused development of leisure and resort city for fund profit, imperfected native people's developed knowledge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figure out that they will not mak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islands of archipelagic. Second, as a in-depth analysis, the application of methods and developed trend were figured out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esign methods and development purpose through result(physical design methods) of case studies. As a result, contents and design methods from development purposes have to develop by multilateral aspects and also, native resident will have to require infrastructure expansion about service contents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sustainable information sharing.